소개글
"특허와 디자인이라는 양 측면을 어떻게 활용하는 것이 효율적이고 전략적인지에 대해 설명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특허법과 디자인보호법의 이해
1.2. 기능 위주의 제품에 대한 디자인 보호 필요성
2. 본론
2.1. 특허법과 디자인보호법의 차이
2.2. 디자인 보호의 중요성 증대
2.3. 기능 제품에서의 디자인 활용 전략
2.4. 특허와 디자인의 병행 출원의 효과
2.5. 디자인 보호를 위한 법적 고려사항
3. 결론
3.1. 특허와 디자인의 균형잡힌 활용
3.2. 기업의 디자인 보호 전략 수립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특허법과 디자인보호법의 이해
특허법은 근대 초기부터 존재하는 개념이다. 특허법의 목적은 기술 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하는 것이다. 특허법상 보호 대상인 '발명'은 자연법칙을 이용한 기술적 사상의 창작이다.
디자인보호법은 특허법에 비해 훨씬 늦게 고안된 개념이다. 디자인은 물품의 형상, 모양, 색채 등으로 구성되며, 시각적 미감을 주는 것을 의미한다. 디자인보호법의 보호대상이 되려면 심미성을 갖추어야 하며, 시각성이 있어야 한다.
디자인은 제품의 기능적 측면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구매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특히 패션, 뷰티, 하이테크 제품 등에서 디자인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애플의 사례와 같이 디자인이 고객의 구매 결정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에 기업들은 특허 출원과 더불어 디자인 보호를 위해 디자인 출원을 병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허권 확보가 어려운 경우라도 디자인에 대한 법적 보호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디자인은 기능성과 함께 소비자의 선호도와 구매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1.2. 기능 위주의 제품에 대한 디자인 보호 필요성
오늘날은 기술뿐 아니라 디자인이 소비자들이 어떤 물건을 선택할 때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가 되었다. 같은 기능의 제품이라면 기왕이면 디자인이 예쁘거나 참신한 것을 고르게 되는 것이다. 문제는 유일무이한 기술을 사용한 제품이 아니고서야 대부분의 제품이 여러 개의 선택지를 갖는 경우가 많다는 점에 있다. 쉽게 말해서 소비자 입장에서는 스마트폰을 새로 구매하려고 할 때 대부분의 스마트폰의 성능이 상향평준화됐기 때문에 가격과 더불어 디자인을 중요한 구매 요소로 고려하게 된다. 즉, 기능 위주의 제품이라고 하더라도 디자인의 보호 필요성이 커졌다.
이를 알 수 있는 대표적인 사례가 애플의 제품들이다. 사람들은 애플의 아이폰이나 에어팟, 맥북 같은 디바이스의 성능 자체에 매력을 느껴서 이 제품을 구입하기도 하지만, 애플 특유의 간결하면서도 세련된 디자인에 매력을 느껴서 제품을 구매하는 경우가 있다. 애플의 제품은 다른 경쟁사의 제품에 비해 가격이 비싼 편인데도 소비자들은 기꺼이 비용을 지불한다. 맥이 제공하는 OS인 iOS가 반드시 필요해서 애플의 제품을 구매하는 사람들이 아니고서야 소비자들은 애플의 디자인에 대해 비용을 지불하고 있는 셈이다. 애플은 자사 제품의 디자인이 소비자들에게 얼마나 매력적으로 인식되는지를 잘 알고 있다. 그래서 자사의 아이폰의 고유한 디자인성을 주장하며 삼성전자가 갤럭시를 처음 시장에 출시했을 때 특허권 분쟁을 벌였는데, 이는 오늘날 디자인이 얼마나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지를 잘 보여준 사례이다. 실제로 삼성전자는 애플에 거액의 배상금을 물어줘야 했다.
이처럼 오늘날 제품의 성능 못지 않게 디자인이 중요해졌기 때문에 기업은 특허 못지 않게 디자인에 대한 법적 보호를 신경써야 한다. 제품에 대한 특허를 출원함과 동시에 디자인도 출원해서 디자인에 대해서도 고유한 권리를 인정받...
참고 자료
특허법
디자인보호법
박순찬, 강동철, 2018.6.29. 삼성-애플, 7년 특허전 종지부... “누구도 승리 못한 소송”, 조선비즈
김신, 「글로벌자동차기업의 경영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기업경영학회, 2007
전찬호, 「현대자동차그룹의 계열 및 비계열 부품업체의 경영성과 비교」,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1
송주영, 성형석, 「기술자원의 전략적 자원속성과 경쟁우위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기술혁신학회, 2015
신형덕, 경영전략론 강의록 1-15강,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21
룰루레몬 애슬레티카, 디자인,
https://mdesign.designhouse.co.kr/article/article_view/105/72936?per_page=89&sch_txt=
룰루레몬 결국 답은 브랜드력, 하이투자증권,
https://www.hi-ib.com/upload/R_E14/2022/09/[13074405]_221675.pdf
팬데믹에도 끄떡없는 룰루레몬의 비결, 임성희, 더피알, 2022.01.12.
[인사이트] 룰루레몬의 고객 커뮤니케이션의 방식, 트렌드 m,
https://www.trend-m.com/insight/?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9554501&t=board
커뮤니티&팬덤 창출하는 브랜드 시그니처, 패션인사이트, 2022.06.22.
매년 철인3종 뛰는 자기관리神…룰루레몬 '근육·덩치' 다 키웠다, 오현우, 한국경제, 2022.06.27.
룰루레몬, 더이상 레깅스 기업이 아니다, 정혜민, 딜사이트, 2022.05.19
룰루레몬이 성공한 이유, 레깅스 한 장에 세계가 열광했다, 임경량, 패션포스트, 2020.0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