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아동 케이스 기관지폐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아동 폐렴의 정의
1.2. 병태생리
1.3. 원인 및 위험 요인
1.4. 폐렴의 분류
2. 진단 및 검사
2.1. 임상 증상
2.2. 진단 검사의 종류
2.3. 검사 결과의 의의
3. 치료 및 간호
3.1. 약물 치료
3.2. 호흡 관리
3.3. 수분 및 영양 공급
3.4. 증상 완화 간호
3.5. 가정 간호
4. 합병증 및 예방
4.1. 폐렴의 합병증
4.2. 예방법
5. 사례 연구
5.1. 환자 정보
5.2. 간호 진단
5.3. 간호 중재 및 평가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아동 폐렴의 정의
폐렴은 폐의 실질조직인 폐포와 세기관지에서 부종을 동반한 염증 과정으로, 폐포 내로 수분이 이동하여 저산소혈증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아동기에 자주 발생하며, 특히 영아와 어린 아동에서 더 많이 나타난다. 폐렴은 원발성이거나 다른 질환의 합병증으로 발생하며, 병원체가 직접 폐로 흡입되거나 혈류를 통해 침입하여 발생한다. 기관지 폐렴의 경우 이미 앓고 있던 기관지염이나 세기관지염이 주위 폐실질로 퍼져 생기며, 폐실질에 여러 개의 작고 불규칙한 점 모양의 경화가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염증은 간질강과 폐포, 세기관지에서 발생하고, 병원체가 기도점막을 침범하고 폐포에서 번식하면서 시작된다. 세균이 번식한 부위에 수분과 삼출물이 고이고 백혈구가 폐포 내로 이동하여 폐포벽이 두꺼워지며 적혈구와 섬유소가 들어온다. 이 염증성 삼출물은 세균이 다른 폐포로 이동하며 감염을 확산시킨다. 병원체가 혈관으로 침입하면 패혈증이 되고, 흉막강으로 퍼지면 농흉이 발생한다. 염증성 섬유소 형성과 부종으로 폐탄력성과 폐활량이 감소하며, 표면활성제 생산 감소로 무기폐에 이르게 된다. 이로 인한 환기 부족은 저산소혈증을 유발하고, 대사 요구 증가로 빠른 맥박, 빠른 호흡, 울혈성 심부전, 쇼크, 부정맥 등이 발생한다. 숙주의 방어력에 따라 세균의 침습 정도가 달라지며, 면역력이 저하되면 세균이 급속히 번식하고 고름집을 만들며 조직을 괴사시킬 수 있다. []
1.2. 병태생리
폐렴은 폐의 분절 또는 폐엽에서 경화가 발생하는 대엽성폐렴이나 기관지 주위에 널리 반점이 퍼지는 기관지폐렴이 있다. 대엽성폐렴의 경우 폐포에서부터 시작하지만 기관지폐렴은 항상 급성 기관지염으로 시작하여 기관지에서부터 폐렴이 시작된다. 따라서 기관지가 분지해 있는 여러 군데에서 폐렴이 시작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폐렴이 점점 진행되어 미만성 경화 형태를 띄게 된다. 또한 기관지폐렴의 경우에도 흉막을 넘어가진 않지만 여러 엽에서 시작하기 때문에 미만성 경화를 야기한다.
염증은 간질강과 폐포, 세기관지에서 발생하고 병원체가 기도점막을 침입하고 폐포에서 번식하면서 시작된다. 세균이 번식한 부위에 수분과 삼출물이 고이고 백혈구가 폐포 내로 이동하여 폐포벽이 두꺼워지며 적혈구와 섬유소가 폐포 내로 들어온다. 액체가 폐포를 채우면 세균은 포식작용을 피할 수 있으며, 이 액체는 세균을 쉽게 다른 폐포로 이동하게 만들어 감염을 확산시킨다. 병원체가 혈관으로 들어가면 패혈증이 되고, 감염이 흉막강으로 확장되면 농흉이 발생한다. 염증성 섬유소 형성과 부종으로 폐탄력성과 폐활량이 감소한다. 표면활성제의 생산 감소로 폐탄력성이 더욱 감소하여 무기폐에 이르게 된다. 폐의 환기부족으로 저산소혈증이 유발되며, 저산소혈증과 대사요구의 증가로 빠른맥과 빠른호흡, 울혈성심부전, 쇼크, 부정맥 등이 발생한다. 세균이 침입한 후 폐의 침습 정도는 숙주의 방어력에 달려있으며, 면역력이 저하되면 세균이 급속히 번식하고 세균이 증식하면 고름집을 만들고 농양이 기관지벽을 관통하면 조직을 괴사시킨다.
1.3. 원인 및 위험 요인
폐렴은 병원체가 기도점막을 침입하고 폐포에서 번식하면서 시작된다. 폐의 정상방어기전이 손상되거나 유발 위험요인에 노출되면 폐렴균을 흡인하거나 혈액을 통해 균이 침입하여 폐렴이 발생한다. 신생아는 그룹B 연쇄상구균, 그람음성 장내 세균,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 등에 의해 폐렴이 발생하며, 유아는 RSV,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등의 호흡기 바이러스가 원인이 된다. 취학 전 아동은 RSV,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등의 호흡기 바이러스와 함께 폐렴구균, 인플루엔자균, 마이코플라즈마, 클라미디아 등의 세균도 폐렴의 원인이 된다. 학령기 아동은 마이코플라즈마, 클라미디아 폐렴, 결핵 및 호흡기 바이러스에 의해 폐렴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조직진균, 콕시디오이디즈진균증, 기타 진균류도 폐렴의 원인이 된다. 이처럼 폐렴의 원인은 임상병력, 아동의 연령, 일반적인 건강력, 신체검사, 방사선검사 및 임상검사를 통해 확인된다. []
1.4. 폐렴의 분류
③ 원발성 비정형성 폐렴
비정형성 폐렴(atypical pneumonia)은 전통적으로 가장 일반적이며, 배양된 균보다는 병원체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에 폐렴이라고 언급한다.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은 5~15세 아동에게 지역사회획득폐렴(community acquired pneumonia)을 일으키는 원발성 비정형성 폐렴의 흔한 원인균이다. 이 질병은 가을과 겨울철에...
참고 자료
윤은자 외 , 「성인간호학1 9판」, 수문사, 2021, 398p~405p
이수연 외, 「아동간호학 각론」, 수문사, 2019, 660p~662p
‘폐렴(소아)’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
‘소아폐렴’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764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질병관리청 소아청소년성장도표_ 연령별 신장, 체중, 머리둘레 성장표
소아폐렴 . (n.d.).
http://child.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764.
Susan Rowen James 외, 아동간호학 하권 (n.p.: 현문사, 2014), 221-224.
김영혜 권봉숙 외 15명, 아동간호학 각론, 현문사(2018), 229~233, 131~134
문선숙, 아동간호학 실습지침서, (2019), 70~73
황옥남 유양숙 외 9명,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2018), 561~565
박은영 외 공역,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2016) 103~106
길숙영, 간호진단, 군자출판사(2014), 78, 195
서울대학교 간호본부,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2018), 94~97
기관지폐렴 X-ray 이미지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noxming7&logNo=220455550890&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m%2F
의약품 사전
https://www.kimsonline.co.kr/
https://www.druginf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