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사회복지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사회복지법의 형성과 우리나라 사회복지법의 특성
1.1. 사회복지법이란 무엇인가
1.2. 사회복지의 이념
1.3. 사회복지법의 형성
1.4. 우리나라 사회복지법의 형성과정
1.5. 우리나라 사회복지법의 특성
2. 사회복지법제와 실천
2.1. 사회복지법 학습 이유와 사회복지실천과의 연계 중요성
2.2. 관심 있는 사회복지법 선정 및 검토
3. 전남 목포시의 사회복지 관련 조례
3.1. 조례 제정 배경
3.2. 조례 내용
3.3. 해당 조례에 대한 생각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사회복지법의 형성과 우리나라 사회복지법의 특성
1.1. 사회복지법이란 무엇인가
사회복지법은 사회복지와 법이 합쳐진 복합적 용어로, 내용상 사회복지를 다루고 있는 법을 의미한다. 우리나라는 사회복지법이라는 통일 법전이 없으므로 개별적으로 규정된 사회복지 관련 법률 전체를 일컫는다. 현재 우리나라의 사회복지 관련 법 체계는 「사회보장 기본법」이 있으며 이는 헌법의 기본이념을 실현하기 위한 최상위법으로, 이를 근거로 각각의 사회복지법들로 구성되어있다.
사회복지법은 다양한 법률적 측면에서 논의된다. 첫째, 사회복지법에는 헌법의 기본원리인 민주국가의 원리, 법치국가의 원리, 복리·사회국가의 원리가 적용된다. 따라서 사회복지법은 법체계상 헌법을 구체화한 법이라고 볼 수 있다. 둘째, 사회복지법에는 비례의 원칙, 보충성의 원칙, 평등의 원칙, 신뢰 보호의 원칙 등과 같은 행정법상의 일반원칙이 적용된다. 사회복지법은 수급이 요구되는 상황에 맞게 적절한 혜택을 줄 수 있도록 행정법적 체계가 확립될 필요가 있다. 셋째, 실질적 의미의 지방자치법은 헌법의 이념과 원리에 따라 사회복지법의 내용을 구체화해야 한다. 사회복지법을 이해함에 지방자치법적 접근은 국가와 지방 간 지역 특성이 반영된 기능 분담과 이를 바탕으로 한 입법 분담, 지역복지 격차 해소를 통한 생활 균질성 보장 및 재정 분담 등으로 인해 필수적인 요소이다. 넷째, 융합법적 측면에서 취약계층을 비롯한 다양한 구성원의 수요에 맞는 사회복지시스템 구축을 위해 민법, 인권법, 노동법 등 다양한 사법 분야의 융합 연구가 필요하며, 타 학문 분야와의 융합적 연구 역시 요구된다. 다섯째, 기술법적 측면에서 정보사회에서의 사회복지는 디지털 격차 해소라는 과제와 연결되므로, 전자 인프라의 구축이 긴밀하게 필요하다.
1.2. 사회복지의 이념
인간다운 생활의 보장이다. 국가나 사회가 개입하여 해결해야 할 이유는 사회적 위험이나 빈곤이 개인적 원인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자본주의 사회의 발전에 따른 사회적 원인에 의해 발생했기 때문이다.
사회복지의 증진: 사회적 약자(사회적 기능 상실자, 손상자)에게 현금이나 현물급여보다는 사회복지서비스 형태가 더욱 기본적이고 실질적인 급여형태이다. 상담, 재활, 직업소개 및 지도, 사회복지시설 이용 등으로 손상된 사회적 기능을 회복하여 정상적인 사회생활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활·자립이다. 국가로부터 사회복지급여를 받아서 생활하는 의존적인 삶이 아니라, 스스로 자주적이고 독립적인 생활을 영위하도록 하는 것이 사회복지법의 또 다른 목적이다.
소득재분배이다. 사회복지법에 의한 소득재분배는 그 규모에 있어 대규모적이고, 그 효과가 크며 지속적이다.
사회통합이다. 사회복지제도는 계급간 적대감과 계층간 위화감을 완화시켜 국민적 통합을 달성함으로써 정치적, 사회적 안정을 도모한다. 사회구성원 즉, 국민의 통합과 연대감을 조성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사회복지제도의 기능이다. 결국 사회복지법은 소득보장, 의료보장, 사회복지서비스 등으로 저소득자, 사회적 요보호자의 사회생활문제를 해결함으로써 국민적 통합목적을 달성한다.
1.3. 사회복지법의 형성
산업혁명을 계기로 자본주의가 고도화되면서 여러 가지 사회병리 현상이 등장하게 되었다. 농촌주민들의 도시 공장지역에로의 집중은 도시빈민가를 형성하게 되었고 노동문제, 보건위생문제, 환경문제, 주택문제 등 여러 문제를 야기시키게 되었다. 빈부의 격차도 더욱 심화되어져서 생활영위가 어려운 극빈층도 대량으로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이에 20세기에 들어와서 국가는 적극성을 띠고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는 법적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안되게 되었다. 이를 사법의 공법화라고 하고 혹은 전통적인 공사법의 구별이 불분명하게 된 제3의 법영역으로서 사회법(Social Law, Sozialrecht)의 등장이라고도 말한다. 사회법은 처음에는 근로자의 지위를 보장하기 위하여 노동관계법의 출현을 보게 되었고 다음으로 급격히 변천하는 경제관계를 통제하기 위한 경제법의 출현을 보게 되었다. 그리고 국민의 최저생활을 실질적으로 보장하기 위한 사회보장법, 사회복지법의...
참고 자료
김광병, 「사회복지법상 인권에 관한 연구-사회복지사업법을 중심으로-」, 『사회복지법제연구』, 제7권 제1호, 2016.
김남식·최건식, 「우리나라의 사회복지법 체계에 관한 小考」, 『21세기사회복지연구』, 제7권 제2호, 2010.
김철주, 「4차 산업 혁명과 사회복지법제의 방향성 고찰」, 『사회법연구』, 제35호, 2018.
방동희, 「사회복지법제 현황 및 개선방향-사회복지법제의 법치주의적 수용-」, 『公法學硏究』, 제12권 제2호, 2011.
윤찬영, 「사회복지법운동의 전게-참여연대의 공익소송과 입법청원 운동을 중심으로-」, 『사회복지법제연구』, 통권 제1호, 2010.
최승원, 「사회복지법의 기초」, 『사회복지법제연구』, 통권 제1호, 2010.
김다솜, 자립준비청년 절반, ‘죽음’ 생각한다…원인 1위 ‘경제적 문제’ , 2023.08.22. 데일리팝. https://www.dailypop.kr/news/articleView.html?idxno=71409
김정훈, 최지선 시의원 '목포시 보호대상 아동 및 자립준비청년 지원 조례안' 대표 발의, 서울시티, 2023.11.27. https://www.seoulcity.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0201
내 손안에 서울, '자립준비청년' 정서적 지원 강화하고 정착금도 올린다, 2022.09.07.
https://mediahub.seoul.go.kr/archives/2005542
뉴시스, 경기도, 취업·자립 준비 청년 수강료·응시료 지원한다, 2024.04.03.
https://www.newsis.com/view/?id=NISX20240403_0002685706&cID=14001&pID=14000
뉴시스, 배달앱 요기요, 서울 자립준비청년에 노트북PC 168대 기증, 2024.04.03.
https://www.newsis.com/view/?id=NISX20240403_0002685543&cID=14001&pID=14000
「목포시 보호대상아동 및 자립준비청년 지원 조례」
이두경, '자립준비청년' 잇따른 자살...정신·건강 고위험군임에도 지원 대책 '미흡', 공감신문, 2023.08.17. https://www.gokorea.kr/news/articleView.html?idxno=743927
이재봉, "자립 준비 청년들을 응원합니다", 전라일보, 2024.04.03.
https://www.jeolla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726586
정하연, 자립준비청년의 잇따른 자살, 무엇이 문제인가?, 2023.08.17. 데일리뉴스.
https://www.idail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0672
네이버 백과사전
(제11판)사회복지법제론, 양서원
남기민, 현대사회복지학의 이해, 양서원, 2001
한국복지연구회, 사회복지의 역사, 이론과 실천, 1990
남세진, 조흥식 공저, 한국 사회복지론, 나남출판, 1995
양정하 and 황인옥. (2021). 한국 노인복지법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상담심리교육복지, 8(1), 113-128.
김영애, 임유진. (2022). 사회복지법제와실천.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김동석. (2003), 노인학대방지를 위한 사회복지적 개입방안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