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정신간호학 영화 서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영화를 보기 전
1.2. 정신분열증(=조현병, schizophrenia)이란?
1.3. 영화에 대한 소개
2. 본론
2.1. 정신간호학적 측면으로 본 조현병
2.2. 조현병 간호진단
3. 결론
3.1. 결론 및 느낀 점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영화를 보기 전
정신간호학이라는 과목을 배우면서 조현병에 대해서 처음 알게 되었다. 평소에 조현병이라는 정신병은 나에게는 그저 환청이 들리는 정도의 그렇게 심각할 것 같은 정신병은 아니었다. 그 이유는 조현병이라는 질병을 가진 사람이 주변에 없기 때문에 사실 이상한 정신질환이라는 편견이라는 생각도 가지고 있었던 것 같다. 그런데 이번 정신간호학 이론시간에 조현병을 배우면서 'A Beautiful Mind'라는 영화를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고 영화에 흥미와 관심을 가지고 볼 수 있었다.
1.2. 정신분열증(=조현병, schizophrenia)이란?
정신분열증이란, 뇌의 기질적 이상이 없는 상태에서 사고, 감정, 지각, 행동 등의 다양한 측면에 이상이 생겨 망상, 환각, 혼란스러운 사고와 행동과 함께 여러 가지 부적응적 증상을 보여주는 정신질환이다. 정신분열병(정신분열증) 이라는 용어는 2011년도에 조현병이라는 병명으로 바뀌게 되었는데, 이는 정신분열증이라는 병명이 사회적으로 거부감을 일으킨다는 이유로 인식의 변화를 위해 개명되었기 때문이다. 정신분열증의 평생 유병률은 대략 0.3~0.7% 정도이며 전형적으로 10대 말에서 30대 중반사이에 출현한다.
현대 의학 발달로 뇌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면서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되는 뇌 질환임이 밝혀졌다. 생물학적 요인으로는 유전적요인, 신경화학적 요인, 신경해부학적 요인, 면역학적 요인 등이 작용하며, 정신사회적 요인으로는 취약성 모델, 대인관계 요인 등이 작용한다. 결론적으로는 개인의 유전적 취약성과 환경적 영향이 상호작용함으로써 뇌에 이상이 발생하여 조현병이 나타나는 것이며, 이러한 원인은 두뇌 속 신경전달 물질의 불균형을 주요 원...
참고 자료
강문희, 강현욱, 김미정, 김상남, 김순옥, (2015), 정신건강 간호학, 퍼시픽북스, p.125~137, 183~230, 312~326, 421~433
김은자, 강미란, 김순옥, 송영옥, 이미옥, 최숙희 외 15인(2016), 최신 지역사회 정신건강간호학, 퍼시픽북스, p.41, 383, 416~425
도복늠, 김영숙, 김현경, 김효정, 김희숙, 박완주 외 9인(2016), 최신 정신건강간호학 각론, 정담미디어, p. 2~13, 129~138
신순옥 (1998), 정신간호학 실습지침서, 현문사, p. 49~77
양 수, 이경순, 이정섭, 권혜진, 이미형, 오경옥 외 2인 (2017), 정신건강간호학, 현문사, p. 197~222
질병관리본부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health.cdc.go.kr/health)
강리리, 고성희, 고현남, 권혜진. 김경희. 김근면, et al. (2016). 정신건강간호학 (5판). 서울:현문사. 197-227
David G. Kingdon, Douglas Turkington. (2015). 조현병과 망상장애의 인지치료. 경기도:군자출판사
[현문사] 정신건강간호학 이미형 외 (2021) P. 290~2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