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이상적인 지역사회의 개념
1.1. 지리적 지역사회와 기능적 지역사회
지리적 지역사회는 지리적으로 가까운 지역 주민들이 함께 활동하는 지역사회이다. 기능적 지역사회는 공통된 관심사나 목적을 가진 사람들이 모여 활동하는 지역사회이다.
지리적 지역사회로서 광주광역시는 대한민국 전남 지역에 위치한 도시로, 2019년 기준 약 1,465,000명의 인구가 거주하고 있는 대도시이다. 광주는 전남 지역의 중심도시이자 전남대학교를 비롯한 여러 대학교와 문화예술 시설, 공원 등이 위치한 문화적, 교육적인 중심지이다. 또한 5.18 민주화 운동으로 유명한 역사적 의미를 지니며, 현재는 다양한 문화와 산업이 공존하는 도시로 발전하고 있다.
기능적 지역사회로는 취미 동호회인 '광주 산악회'가 있다. 필자는 광주 산악회에 가입하여 다양한 산행과 등산활동을 함께 하며, 지역 내 다양한 사람들과 교류하고 산악활동과 문화재 탐방 등을 수행하고 있다. 취미 동호회는 공통된 관심사나 취미를 가진 사람들이 모여 활동하는 공간으로, 서로 교류하며 취미를 발전시킬 수 있고 지역사회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1.2. 지역사회 기능의 온전한 발현
지역사회는 생산·분배·소비기능, 사회화 기능, 사회통제기능, 사회통합기능, 상부상조기능 등 다양한 고유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지역사회 기능이 온전히 발현될 때, 지역사회가 직면한 다양한 문제들이 자연스럽게 해결될 수 있다.
먼저, 지역사회의 경제적 기능이 온전히 작동하는 것이 중요하다. 생산·분배·소비기능이 활성화되면 지역경제가 활성화되어 지역사회 발전의 토대가 마련된다. 하지만 제조업체가 부족하고 농업과 어업 등 1차 산업이 주를 이루는 지역사회의 경우, 경제적 기능이 온전히 발휘되기 어려워 지역경제가 장기간 침체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내 제조업체 유치와 같은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지역사회는 도덕적이고 법적으로 문제가 없는 사회적 가치와 행동양식을 지역주민에게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도덕적·법적 문제가 만연한 지역사회의 경우, 지역주민 간 갈등이 심화되고 사회통합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지역사회는 주민들에게 건전한 사회적 규범을 전달하고, 이를 실천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더불어 지역사회는 사회통합 기능을 발휘하여 주민 간 상호작용과 유대감을 증진시켜야 한다. 이웃 간 다툼이 잦고 상호 갈등이 심각한 지역사회의 경우, 지역사회 통합이 어려워져 지역발전을 저해할 수 있다. 따라서 지역사회는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