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응급실 장비 사용

미리보기 파일은 샘플 파일 입니다.

상세정보

소개글

"응급실 장비 사용"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응급실 장비 사용
1.1. Airway
1.2. Ambu bag
1.3. Chest drainage set
1.4. defibrillator
1.5. EKG Monitoring
1.6. Endotracheal tube
1.7. gastrolavage set
1.8. ICP monitoring
1.9. Infusion pump
1.10. Intubation set
1.11. Laryngoscope
1.12. Nasal canula
1.13. Nebulizer
1.14. Oxymetry(O2 satu.)
1.15. oxygen supplier
1.16. Suction set
1.17. Tongue block
1.18. Ventri mask
1.19. stylet
1.20. T-piece

2. 응급실의 주요 장비와 기구
2.1. Airway
2.2. Ambu bag
2.3. Chest drainage set
2.4. defibrillator
2.5. EKG Monitoring
2.6. Endotracheal tube
2.7. Oxymetry
2.8. oxygen supplier
2.9. Suction set
2.10. Tongue block
2.11. Ventri mask

3. Check List
3.1. 교대시간별 기본업무 메뉴얼
3.2. ER 처치준비
3.2.1. D-SET
3.2.2. S-SET
3.2.3. F-SET
3.2.4. nelaton
3.2.5. Burn dressing
3.2.6. para & thora centesis
3.2.7. L-tube 준비
3.2.8. splint
3.2.9. 관장(enema)
3.3. 수혈
3.4. Hypoglycemia
3.5. Epistaxis
3.6. CVC (Central Venous Catheter)
3.7. Lavage
3.8. 수술 환자 준비
3.9. 마약사용법/마약장, 약국처리
3.10. 물품세척 및 정리

4. 장비사용 매뉴얼
4.1. EKG lead
4.2. EKG monitor
4.3. 자동 혈압기
4.4. Wall O2 & Wall suction
4.5. Bed 사용법
4.6. BST 측정
4.7. Nebulizer
4.8. 초음파기
4.9. 혈액가온기
4.10. 체온유지기

본문내용

1. 응급실 장비 사용
1.1. Airway

응급실에서 환자의 기도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Airway는 의식이 없거나 자발 호흡이 없는 환자의 기도를 유지하기 위한 장비이다. 기도를 유지하기 위해 플라스틱이나 고무로 된 인공기도를 삽입하거나 기관 절개술을 시행한다.

Airway는 입인두기도기(Oropharyngeal airway, OPA)와 비인두기도기(Nasopharyngeal airways, NPA)로 구분된다. 의식이 없는 환자에게 사용되는 OPA는 환자의 입끝에서 귀 구슬(Tragus) or 외이도 입구까지 거리를 재어 맞는 크기를 선정한다. 구부러진 끝이 입천장을 향하게 경구개까지 넣은 후에 180도 회전하여 입에 넣거나, 어금니 쪽으로 넣고 90도 회전하여 넣을 수 있다. NPA는 의식이 있는 환자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며, 환자 콧구멍에서 귓볼이나 아래턱각까지 길이를 재어 맞는 크기를 선정한다. 젤리를 바르고 콧구멍에 돌리면서 넣으며, 한쪽 코에서 진행되지 않으면 반대편 코에 시도한다.

Airway는 의식이 없거나 자발호흡이 없는 환자의 기도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OPA는 의식이 없는 환자에게, NPA는 의식이 있는 환자에게 적용된다. 인공기도기를 삽입하거나 기관 절개술을 통해 기도를 유지하는데 이용된다.


1.2. Ambu bag

Ambu bag은 호흡 정지 시에 사용되는 구급소생백이다. 구급임상용으로 사용되는 비교적 간단한 기구를 지닌 인공호흡요법기구이다. Ambu bag 윗부분에 산소를 연결하여 풍선을 짜준다. Ambu bagging 시 산소농도는 10L의 고농도 산소를 공급해야 한다. 구급백을 사용하는 사람은 환자의 머리 뒤쪽에 앉고, 환자의 기도가 열리도록 턱을 사용자의 방향으로 당겨준다. Ambu백과 마스크를 연결한 후 마스크로 환자의 입과 코를 덮고 엄지와 검지를 이용하여 단단히 잡으면서, 다른 손가락으로는 뺨을 잡아 고정한다. 다른 손으로는 일정한 주기로 호흡낭을 눌러 폐에 산소를 공급한다. 1회 주입되는 공기양은 1L~1.2L가 된다. 환자가 제대로 호흡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환자의 가슴이 오르내리는지 관찰하고, 환자가 호흡을 내쉴 때 마스크 내부에 뿌연 김이 생기는지 확인한다.


1.3. Chest drainage set

흉부 배액 세트(Chest drainage set)

흉부 배액 세트는 흉부의 관통상 또는 이물을 제거하여 기도를 유지하고 분비물로 인한 감염이나 무기폐 등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검사물 채취 시에도 활용된다. 흉부 배액은 산소, 탄산가스 교환을 증진시키고 점막을 자극시켜 기침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흉부 배액 세트는 피부 소독 후 마취제 주사로 시작된다. 그 다음 늑막강 내에 삽입된 바늘을 통해 IntraCath로 카테터를 삽입한다. 이후 피부에 카테터를 고정시키고 카테터를 배액체계(밀봉배액병)에 연결한다.

배액 과정에서는 혈액/공기의 배액을 관찰하며, 추후 X-선 촬영을 통해 확인한다. 또한 출혈, 감염, 튜브 주변의 공기와 수액 유출 등을 지속적으로 관찰한다.

밀봉 흉부 배액을 하는 환자 관리 시에는 늑막강으로부터 나온 배액관을 소독 식염수에 잠겨있는 긴 관과 연결하고, 정기적으로 관의 연결 상태를 점검한다. 또한 배액량 증가를 시간/일 단위로 기록하며, 편안한 체위를 취하도록 하고 자주 체위를 변경해 준다. 빠르고 얕은 호흡, 청색증, 흉부의 압력, 피하기종 또는 출혈 증상을 관찰하고 즉시 보고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늑막강 내 공기의 역류를 예방하기 위해 배액체계를 흉부보다 낮은 곳에 두어야 한다.


1.4. defibrillator

defibrillator는 생명을 위협하는 부정맥을 제거하기 위해 심장에 전류를 전달하는 장비이다. 심실세동, 심실빈맥, 무수축 환자에게 적용된다.
심장에 단기간의 전류를 흘려보내면 개별 심근 세포가 순간적으로 탈분극을 일으켜 각 심근세포의 흥분과 자극 전도가 정상으로 회복된다.
defibrillator 사용 전에는 반드시 주변 사람들이 대상자에게서 떨어져있게 해야 하며, 사용 후에는 반드시 제자리에 두고 항상 전원을 꽂아 충전 상태를 유지한다. defibrillator 사용 시 CPR box를 옆에 준비해 두어야 하며, 기록용지도 항상 끼워져 있는지 확인하고 여분의 용지와 젤리를 준비해 두어야 한다.
defibrillator는 심근경색증, 심부정맥, 동맥경화성 심질환, 전해질 불균형 등의 진단에 활용되며, 환자 활력징후와 심장 리듬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치료에 도움을 준다.
또한 defibrillator는 방전 전에 일정 시간 충전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사용 후에는 젤리를 제거하고 기기를 소독해야 한다. defibrillator 사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으로는 화상, 근육 자극 등이 있다.


1.5. EKG Monitoring

EKG Monitoring은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계속적으로 감시하기 위한 검사이다.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하여 비정상적인 리듬을 예측하고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심근경색증, 심부정맥, 동맥경화성 심질환, 전해질 불균형 등의 진단을 위해 사용된다.

환자는 침대에 앙와위로 누워 전극을 부착할 부위의 피부 준비를 한다. 분비물을 제거하기 위해 알코올 솜으로 닦아주고, 피부 모발이 많은 경우 부분적으로 면도를 한다. 전기의 전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전극연고나 젤리를 발라준다.

6개에서 15개의 전극을 흉부와 사지에 부착한다. 기계와 전극을 연결하고 기계를 작동하여 표준화와 속도를 확인한다. 검사는 5분 이내로 소요된다.

EKG Monitoring을 통해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하고 분석하여 진단에 활용할 수 있다. 비정상적인 리듬을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치료를 제공할 수 있다.


1.6. Endotracheal tube

기관내 삽관(Endotracheal tube)은 의식이 없거나 심정지(cardiac arrest) 상태인 환자, 기계적 환기가 필요한 환자, 호흡부전이 있는 환자, 전신마취가 필요한 환자에게 사용된다. 기관 내 삽관은 환자의 기도를 유지하고 기계적 환기를 가능하게 하는 침습적인 시술이다.

기관 내 삽관 시 먼저 후두경을 사용하여 기관을 확인한 후, 기관 내 튜브를 삽입한다. 삽입 시 커프를 팽창시켜 기관과 밀착되게 하여 기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한다. 기관 내관은 매일 소독하며, 제거 전에는 가래를 먼저 제거한다. 기관 내관 제거 시에는 커프를 수축시킨 후 부드럽게 당겨서 제거한다. 기관 내관에 붙은 가래는 solvent로 세척하여 제거한다.

기관 내 삽관은 비강점막 손상, 성대 손상, 후두 부종, 후두 궤양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깊게 시행해야 한다. 장기간 기관 내 삽관이 필요한 경우에는 기관절개술을 고려해야 한다. 기관 내 삽관은 전문적인 기술이 요구되므로 숙련된 의료진에 의해 시행되어야 하며, 시술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면밀히 관찰해야 한다.


1.7. gastrolavage set

gastrolavage set은 위장관 정화로 중독물질의 제거에 도움이 되지만 안전한 구토 유발을 할 수 없는 환자(예: 혼수, 구역반사 소실, 경련, 심한 의식저하 등)나 의식은 있지만 고독성 물질을 다량으로 삼킨 환자, 장음이 들리지 않을 때 사용된다. gastrolavage set은 위카테타를 이용해 경구적 또는 경비적으로 위내에 삽입하여 사용한다. 위내에 달하면 산취의 가스 및 유동물이 심하게 분출되는데 위내용물이 농후하여 분출되기 어려운 때는 카테타를 통해서 미온수를 주입해서 유출을 촉진시킨다. 세척은 유출액이 무색이 될 때까지 실시하며 이어서 소화제를 내복시키고 조용히 카테타를 제거한다. gastrolavage set은 중독물질 제거에 도움이 되며, 안전한 구토 유발이 어려운 환자에게 활용된다.


1.8. ICP monitoring

ICP monitoring은 뇌압이 급격히 상승한 경우나 CT 스캔 결과가 비정상인 경우, 뇌척수액 채취와 배액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된다. 뇌압이 15mmHg 또는 180mmH2O 이상 지속적으로 상승되는 상태, 잠재적으로 생명이 위협받는 상황에서 사용된다. 두통, 투사성 구토, 유두부종, 외 저신경 마비와 같은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 ICP monitoring을 시행한다.

중환자실에서 집중치료 하에 ICP monitoring이 이루어져야 하며, 활력징후와 신경학적 이상증세를 예의주시해야 한다. 호흡기 부착을 통해 뇌압을 낮출 수 있으며, 뇌척수액을 배액하여 뇌 내 부종을 줄이는 약물 처방도 병행된다.

ICP monitoring은 고도로 숙련된 의료진이 필요하며,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대응해야 하는 응급 의료 장비이다. 환자의 상태 변화와 치료 과정을 면밀히 관찰하여 조치를 취해야 하므로, 신속하고 정확한 판단력이 요구된다.


1.9. Infusion pump

도파민, 스테로이드 등 각종 심혈관계나 호흡기계에 작용하는 약물에 사용되며, 수액을 소량 주입하거나 효능이 높은 약물의 저용량 투여가 필요한 신생아, 화상환자, 울혈성 심부전증이나 신부전 환자의 경우와 같은 성인 중환자실에서 많이 사용된다.

클램프와 수액병을 연결하고, 롤러 클램프를 열어 튜빙 내 filling & venting을 한다. 전원 스위치를 눌러 펌프를 작동시킨 후, 버튼을 눌러 키보드 앞면을 연 다음 위로부터 tdor 줄을 끼운다. 주입하고자 하는 용량과 시간을 입력하면, 주입율이 자동계산 된다. 마지막으로 시작 스위치를 눌러 주입을 시작한다.

이처럼 인퓨전 펌프는 필요한 약물이나 수액을 정확하고 안전하게 투여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특히 중환자실에서 다양한 약물이나 수액 주입이 필요한 경우에 많이 활용된다. 정확한 용량과 속도 조절을 통해 환자의 상태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1.10. Intubation set

Intubation set은 의식이 없거나 심정지(cardiac arrest) 상태인 경우, 기계적 환기가 필요한 경우, 호흡부전이 있는 경우, 전신마취가 필요한 경우에 사용된다. 튜브의 커프를 크린조에 담가 부풀려 새는 곳이 없는지 확인하고 스타일렛을 튜브에 밀어 넣어 적당하게 굽혀준다. 체위는 머리를 과신전시키지 않고 베개나 시트를 이용하여 약간 올리며 머리는 신전, 목은 굴곡시켜 환자의 입, 인두, 기관이 일직선상에 놓일 수 있도록 한다. 먼저 ambu bagging을 통해 100% 산소를 공급한 후 후두경을 삽입하고 기관 내 튜브를 삽입한다. 5cc가량의 공기를 syringe로 넣어 balloon을 시킨 뒤 청진과 x-ray 촬영으로 튜브의 위치를 확인한다. 마지막으로 튜브를 고정하고 인공호흡기를 달아준다. 튜브 제거 시에는 가래를 뽑아준 뒤 커프에서 공기를 빼고 부드럽게 당겨내며, 제거 후에는 과산화수소수에 담그거나 솔을 이용하여 튜브 내부의 가래를 제거한다. 이를 통해 기도를 확보하고 호흡부전 환자의 상태를 관리할 수 있다.


1.11. Laryngoscope

전신마취를 유도할 때나 환자의 기도 내로 기관튜브(endotracheal tube)를 삽관해야 할 경우에 사용된다. 손잡이를 손으로 잡고 날이 아래쪽으로 가도록 잡는다. 사용하기 전 반드시 건전지의 약이 들어있는지 확인한다. 이는 전신마취 유도와 기관 내 삽관 시 필수적인 기구이다. 전신마취 중 기관 내 삽관이 필요한 경우나, 호흡부전이 있는 환자의 기도 확보를 위해 사용된다. 손잡이를 단단히 잡고 날을 아래로 향하게 하여 후두개와 성대를 노출시켜 기관튜브를 삽입하는데 사용된다.


1.12. Nasal canula

Nasal canula는 비교적 낮은 농도의 산소를 투여할 때 사용하며, 비교적 간편하고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치이다. 1L/MIN의 산소를 투여할 경우 FiO2가 4%씩 증가한다. 6L/min 이상의 산소를 공급하게 되면 대상자가 공기를 삼키거나 비인두 점막에 자극을 주며 두통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Nasal canula는 비교적 낮은 농도의 산소를 투여할 때 사용하는 편리한 장치이지만, 과도한 산소 공급은 피해야 한다.


1.13. Nebulizer
1.14. Oxymetry(O2 satu.)

산소포화도 측정(Oxymetry)

산소포화도 측정(Oxymetry)은 외선을 인체 조직에 통과시켜 산화된 헤모글로빈이 흡수한 적외선을 측정하여 헤모글로빈의 산소포화도를 확인하는 검사이다. 이를 통해 환자의 혈액 내 산소 포화 정도를 비침습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산소포화도는 동맥혈 내 포화된 헤모글로빈의 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수치이다. 정상 범위는 95% 이상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수치가 낮을 경우 저산소혈증을 의미한다. 측정 방식은 환자의 귓볼, 손가락 끝 등 혈류가 풍부한 부위에 센서를 부착하여 비침습적으로 측정한다. 센서에서 보내는 적외선이 산화된 헤모글로빈에 흡수되는 정도를 감지하여 산소포화도를 계산한다.

산소포화도 측정은 호흡기 질환, 심혈관 질환 등 다양한 상황에서 활용된다. 호흡장애, 저산소혈증이 있는 환자의 경우 산소포화도 수치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산소 공급 및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마취 중 환자의 산소 상태를 확인하거나, 응급실에서 중증 환자의 상태 평가에도 활용된다.

산소포화도의 저하는 저산소혈증을 나타내는 지표이므로, 환자 상태 파악과 치료 방향 설정에 매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임상 현장에서 산소포화도 측정은 필수적인 생체징후 확인 절차로 자리 잡고 있다.


1.15. oxygen supplier

oxygen supplier는 호흡을 위한 산소를 공급하는 장치이다. 원터치 조작으로 산소가 발생되어 신속한 산소흡입이 가능케 하는 산소 공급장치이다.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산소가 들어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산소 공급 장치는 환자에게 산소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며, 환자의 호흡 상태에 따라 적절한 속도와 농도로 산소를 공급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산소는 생명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물질이므로, 응급 상황이나 산소 부족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신속하게 산소를 공급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산소 공급 장치는 응급실에서 필수적인 장비라고...


참고 자료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