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암 완충작용"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암 완충작용
2. 완충용액과 암
2.1. 암의 종양 미세환경을 타깃으로 한 암치료
2.2. 종양미세환경은 왜 산성화 되어있을까?
2.3. 암세포는 정상세포보다 알칼리화 되어있다
2.4. 암조직의 산성화로 인한 결과
2.5. 완충용액
3. 완충용액과 암
3.1. 르샤틀리에의 원리
3.2. 공통이온효과
3.3. 완충용액
4. 완충용액과 암 결과 및 느낀점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암 완충작용
암세포는 포도당 섭취와 해당과정이 정상세포에 비해 항진되어 있으며, 미토콘드리아에서의 산소호흡은 상대적으로 억제되어 있다. 암세포의 해당과정 항진으로 인해 젖산과 수소이온(H+)의 생성이 증가하게 되고, 이를 세포 밖으로 배출하여 세포 내부를 알칼리화하는 특성이 있다.
암조직의 미세환경은 이렇게 세포 외부가 산성화되는데, 이는 혈액이나 림프액의 순환이 나쁘기 때문이다. 암조직 내 축적된 수소이온은 정상 조직의 pH를 7.3~7.4 수준의 알칼리성에서 6.2~6.9 수준의 산성으로 낮춘다. 이렇게 산성화된 암조직의 미세환경은 암세포의 생존과 증식, 침윤 및 전이에 유리한 조건을 제공한다.
암세포의 증식과 전이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암조직의 산성화를 개선하거나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pH 완충용액을 활용하는 방법이 고려되고 있다. 예를 들어 중탄산나트륨(sodium bicarbonate)은 수소이온과 반응하여 이산화탄소와 물을 생성함으로써 암조직의 산성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완충용액의 활용은 항암제 치료와 면역요법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대부분의 항암제가 염기성을 띄기 때문에 산성화된 암조직에서는 그 활성이 저하되는 반면, 완충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조절하면 항암제의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아울러 산성 환경이 면역세포의 기능을 억제하는 것을 완화함으로써 면역요법의 치료 효과도 향상될 수 있다.
완충용액을 통한 암조직의 pH 조절은 암세포의 증식, 침윤 및 전이를 억제하고 항암제와 면역요법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암 치료 전략으로 주목받고 있다.
2. 완충용액과 암
2.1. 암의 종양 미세환경을 타깃으로 한 암치료
20세기 말까지의 암 연구에서는 "암은 세포의 병"이라는 생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즉, 암세포에서 일어나는 신호전달계와 유전자의 이상 해명이 암 연구의 주체가 되었다. 그리고 암 치료도 암세포만을 타깃으로 생각하였다. 때문에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세포사를 유도하는 방법이 암 치료의 중심으로 생각되었다. 그러나 암 치료는 암세포만을 타깃으로 하면 치료가 되는 간단한 것이 아니다. 암 조직은 정상 조직에서 혈관이나 기질세포를 흡수하고, 암세포의 생존과 증식에 유리한 특수한 미세환경을 형성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암 조직 중 70% 이상이 정상세포로 알려져 있다. 암세포 덩어리처럼 생각해도 암세포를 키우는 혈관이나 증식의 기반이 되는 결합 조직을 만드는 섬유아세포가 필요하다. 즉 암 조직 속에는 암세포가 차지하고 있는 비율은 매우 적다. 암 조직 속의 정상세포가 결합 조직이나 세포외 기질, 성장인자, 사이토카인, 혈관 망을 제공하고 암세포의 증식이나 전이를 지배하고 있다. 정리해보자면, 종...
참고 자료
The Potential Role of Systemic Buffers in Reducing Intratumoral Extracellular pH and Acid-Mediated Invasion(종양조직 내 세포 밖 산성화와 산 유도성 침윤 감소에 전신성 완충제의 가능성) Cancer Res. 2015
Tris-hydroxymethyl aminomethane and sodium bicarbonate to buffer metabolic acidosis in an isolated heart model(분리된 심장 모델에서 대사성산증을 완충하기위한 트리스 하이드록시메틸 아미노메탄과 탄산수소나트륨) Am J Respir Crit Care Med. 2018
Cotreatment with dichloroacetate and omeprazole exhibits a synergistic antiproliferative effect on malignant tumors(디클로로아세트산과 오메프라졸 병용 투여는 악성 종양에 대해 상승적인 증식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2012
이수진, 최명애, 안경주. 『기초간호과학』, 2021. 01.
질병관리청. 「항생제 내성 정책정보」.
https://www.kdca.go.kr/contents.es?mid=a20301150500
이수진, 최명애, 안경주 공저(2022). 기초간호과학.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기초간호학회, 대한미생물학회(2018). 간호미생물학. 서울: 현문사.
김연정 등(2017). 병태생리학과 임상적용. 서울: 엘스비어코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