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양대 물리진자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최초 생성일 2025.05.26
3,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한양대 물리진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물리진자 실험
1.1. 실험 목적
1.2. 실험 이론
1.2.1. 단진자 운동
1.2.2. 물리진자 운동
1.3. 실험 과정
1.3.1. 실험 준비
1.3.2. 실험 진행
1.4. 실험 결과 및 분석
1.4.1. 회전축의 위치에 따른 주기 측정
1.4.2. 질량에 따른 주기 측정
1.4.3. 각도 변화에 따른 주기 측정
1.5. 결과 토의
1.5.1. 추의 질량에 따른 단진자 근사
1.5.2. 각도 증가에 따른 오차 증가

2. 물리진자 결과 레포트
2.1. 실험제목
2.2. 실험목적
2.3. 실험결과
2.3.1. 회전축의 위치에 따른 주기 측정
2.3.2. 질량에 따른 주기 측정
2.3.3. 각도 변화에 따른 주기 측정
2.4. 결과분석
2.5. 토의
2.5.1. 추의 질량과 단진자 근사
2.5.2. 각도 증가와 오차 증가

3. 일반 물리학 실험1
3.1. 개요
3.1.1. 단진자
3.1.2. 물리진자
3.2. 실험방법
3.2.1. 실험 장치
3.2.2. 실험 진행
3.3. 실험 결과
3.4. 분석 및 토의
3.4.1. 진폭에 따른 오차 증가
3.4.2. 진자 길이와 주기의 관계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물리진자 실험
1.1. 실험 목적

물리진자 실험의 목적은 진동하는 물리진자의 운동을 관찰하여 진자의 주기를 구하고 이를 이론값과 비교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물리진자 운동을 선형의 단순조화운동으로 근사할 수 있는 조건과 비선형 효과를 고려해야 할 경우를 알아보고 단진자와 물리진자의 차이점을 고찰하고자 한다.

물리진자의 존재는 길이가 l이고 질량이 m인 줄에 매달려 있는 원운동하는 진자로 정의할 수 있다. 진자를 매단 줄이 지면에 대한 수직선과 θ 의 각도를 이룰 때 중력에 의해 진자에는 mg cos θ 만큼의 수직 방향 힘과 mg sin θ 만큼의 접선 방향 힘이 작용한다. 수직 방향 힘은 줄의 장력에 의해 상쇄되고, 접선 방향 힘이 복원력 역할을 하여 운동 방정식을 유도할 수 있다.

만약 θ가 충분히 작다면 sin θ ≈ θ로 근사할 수 있어 단순조화운동 방정식이 성립한다. 이때 진자의 주기 T는 T = 2π√(l/g)로 표현된다. 그러나 진자의 크기를 무시할 수 없을 때 관성 모멘트를 고려한 물리진자의 주기 식은 T = 2π√(1/g(1 + 2/5(R/l)²))로 도출된다. 여기서 R은 진자의 반경이다. 실험에서는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회전축의 위치, 질량, 각도 변화에 따른 물리진자의 주기를 측정하고 분석한다.

실험 준비에는 저울, 버니어캘리퍼스, 자, 물리 진자장치 스탠드, 컴퓨터, 카메라, 스크린 등이 사용된다. 실험 과정은 진자의 질량, 직경, 길이 측정, I-CA 시스템 설정, 진자 운동 촬영, 분석 및 주기 측정 등으로 이루어진다. 측정 결과, 회전축이 질량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주기가 길어지고 질량이 증가할수록 주기가 길어지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각도가 증가할수록 단순조화운동 가정이 부적절해져 오차가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진자의 질량 및 크기가 클수록 단진자 근사가 가능하고, 각도가 작을수록 오차가 감소한다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다. 현실 세계에서는 공기 저항, 열 손실 등의 요인으로 인해 이상적인 진동 운동을 관찰하기 어려우므로 이러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실험 조건을 최적화해야 한다.


1.2. 실험 이론
1.2.1. 단진자 운동

단진자는 늘어나지 않는 줄에 매달린 질점으로 구성된 이상화된 계이다. 평형점에서 한쪽으로 당겨졌다가 놓으면 중력의 영향으로 수직 평면상에서 추가 왔다 갔다 하는 주기적인 진동운동을 한다. 단진자의 운동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mg sin θ = m d²s/dt²

여기서 s는 호를 따라 특정된 변위이고, 음의 부호는 힘이 평행위치를 향해 작용함을 나타낸다. 만약 θ가 작다고 가정하면 sin θ ≈ θ의 근사를 할 수 있고, 이때 운동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d²θ/dt² = -(g/L)θ

이는 단조화운동에 관한 식이며, 해는 다음과 같다.

θ = θ₀ cos(ωt + δ)

여기서 θ₀는 최대각변위이고, 각 진동수 ω는 √(g/L)로 주어진다. 따라서 단진자의 주기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T = 2π/ω = 2π√(L/g)

즉, 단진자의 주기는 중력 가속도 g와 줄의 길이 L에 의해 결정되며, 질량 m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를 통해 단진자 운동이 선형의 단순조화운동으로 근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2.2. 물리진자 운동

물리진자는 질량중심을 지나지 않는 고정축에 매달린 임의의 강체이다. 평형위치로부터 움직일 때 그 계는 진동한다. 질량중심으로부터 거리 d인 점 O에 매달려 있는 강체를 가정하면, 점 O에 대한 토크는 중력에 의해 만들어지며 크기는 mgdsinθ이다. O를 지나는 축에 대한 관성모멘트 I와 식 τ=Iα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식을 얻을 수 있다.

-mgdsinθ=I{d^2θ/dt^2}

θ가 작다고 가정하면 근사식 sinθ≈θ를 사용할 수 있다. 그때의 운동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d^2s/dt^2}=-(mgd/I)θ=-ω^2θ

이 식의 해는 θ=θ0cos(ωt+δ)이며, θ0는 최대각변위이고 각 진동수 ω는 √(mgd/I)이다. 주기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T=2π/ω=2π√(I/mgd)

이 식은 진자의 크기와 진폭(각도)이 고려되지 않은 주기를 나타낸다. 진폭을 고려하여 보정한 식은 다음과 같다.

T=2π√(L/g)[1+(2/5)(R/L)^2](1+θ^2/16)

여기서 L은 진자의 길이, R은 진자의 반경, θ는 최대 진동각이다. 이 식에서 알 수 있듯이, 진자의 크기와 진폭이 클수록 주기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진자의 길이가 짧을수록 주기가 짧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진자의 이동거리가 짧아져 관성력이 작아지기 때문이다.

한편, 진폭이 커질수록 오차가 증가하는데, 이는 이론에서 θ가 충분히 작을 때 sinθ를 θ로 근사하여 사용한다는 조건이 만족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진폭(각도)이 커질수록 이 근사가 적절하지 않아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1.3. 실험 과정
1.3.1. 실험 준비

전자저울을 이용하여 진자의 질량을 측정하고 버니어캘리퍼스를 이용하여 진자의 직경을 측정한다. 자를 이용하여 진자의 길이를 측정한다. I-CA를 실행시키고 카메라 설정에서 스탠드가 카메라의 중심에 위치해 있는지 확인하여 필요하다면 카메라의 위치를 조정한다. 카메라 분석의 화면 캡쳐에서 파일 이름을 지정하고 저장한다. 진자를 적당한 각도로 진동시킨 뒤 진자가 약 3~5회 진동하면 중지 버튼을 누른다. 카메라 분석의 분석에서 저장한 파일을 불러오고 분석할 프레임을 지정한다. 진자를 클릭하여 분석할 피사체를 지정하고 분석을 시작한다. 분석 결과의 x,y 좌표를 이용하여 T-X 그래프를 그리고 주기를 구한다. 각도 구하기 기능을 이용하여 진자가 이루는 각도를 측정한다. 위 과정을 진자의 길이를 바꿔가며 3차례 반복한다.


1.3.2. 실험 진행

I-CA를 실행시키고 카메라 분석의 카메라 설정 버튼을 눌렀다. 이때, 진자가 달린 스탠드가 카메라의 위치에서 약간 오른쪽으로 벗어나 있었다. 본래는 카메라가 달린 스탠드의 나사를 이용하여 위치를 조절해야 했으나 간편하게 진자가 달린 스탠드를 왼쪽으로 옮겼다. 파일을 저장한 뒤 캡쳐 버튼을 눌렀고 진자를 운동시켰다. 이때, 진자의 운동 방향과 카메라가 촬영하는 방향이 수직을 이루어야 했다. 진자의 운동 방향이 어긋날 경우 오차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카메라 분석의 분석에 들어가 시작 프레임과 마지막 프레임을 설정했다. 시작 프레임은 진자가 한 번 진동하고 시작점에 다시 돌아온 시점으로 지정하였다. 만약 한 번도 진동하지 않은 시작점을 시작 프레임으로 지정하였다면 진자를 잡고 있는 손가락에 의해 색상인식에 오류가 생길수 있기 때문이었다. 마지막 프레임은 진자가 약 3회 진동한 시점으로 지정하였다. 진자를 클릭하여 분석 버튼을 누른 결과로 도출된 x,y 값으로 T-X 그래프를 그릴 수 있었다. 이웃한 골의 x값의 차가 주기(s)이다....


참고 자료

일반 물리학 실험/ 판수: 4/ 저자: 한양대학교 물리 위원회/ 발행일: 2020년 2월 20일/ 출판사: 한양대학교 출판부
Principles of physics/ 11판/ 저자: David Halliday,Robert Resnick, Jearl Waler/ 발행일: 2021년 2월 25일/ 출판사: 텍스트북스
한양대학교 물리학과 물리교재 연구실, 실사구시의 물리학, 실험8. 물리진자, p.138-146
대학 물리학연구회, ⟪대학 물리학⟫, 대학서림, pp. 170-174
Walker, Halliday, Resnick, 일반물리학, 11판, 15장, 텍스트북스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