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도서관 제공서비스

  • 1
  • 2
  • 3
  • 4
  • 5
  • 6
>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고려대학교도서관 제공서비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고려대학교도서관 제공서비스
1.1. 사물인터넷 서비스
1.1.1. 교육 현장에서 제공되는 사물인터넷 서비스
1.1.1.1. 고려대학교의 SK미래관
1.1.1.2. 스마트 캠퍼스
1.1.2. 산업 현장에서 제공되는 사물인터넷 서비스
1.1.2.1. 크레인 충돌 방지 시스템
1.1.2.2. 디지털카트

2. 미래사회 대학도서관의 발전방향 모색
2.1. 데이터센터로서의 도서관
2.2. 활용하는 도서관
2.3. 미래도서관에서의 사서의 역할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고려대학교도서관 제공서비스
1.1. 사물인터넷 서비스
1.1.1. 교육 현장에서 제공되는 사물인터넷 서비스
1.1.1.1. 고려대학교의 SK미래관

고려대학교의 SK미래관은 사물인터넷으로 캠퍼스를 구현한 곳이다. 학교를 이용하는 사람들은 스마트폰을 이용해 공간을 예약할 수 있으며 출입관리, 재실관리, 센서 모니터링 등을 할 수 있다. 스터디룸을 예약하면 스마트폰으로 예약과 대여가 가능하다. 강의실에는 온도, 습도, 비명 센서가 설치되어 학생들의 안전을 제공하고 있으며, 빈 강의실의 난방기와 전등을 제어하여 에너지 소비를 낮출 수 있다. 이처럼 고려대 SK미래관은 사물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캠퍼스의 다양한 시설과 공간을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1.1.1.2. 스마트 캠퍼스

스마트 캠퍼스는 개방형 사물인터넷 플랫폼인 '오아시스'를 통해 구현되고 있다. 오아시스 컨소시엄은 한양대학교 캠퍼스에 10가지 서비스를 적용하고 있다. 스마트 도서관과 스마트 휴게실, 스마트 피트니스 등 5가지의 교내 편의시설과 스마트 쓰레기통, 스마트 화장실, 스마트 제설 등을 단계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스마트 도서관은 좌석현황을 모니터링해서 예약관리가 가능하고 도서관 내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감지하여 관리자에게 알려준다. 스마트 휴게실은 휴게시설 내에 방문자와 쿠폰을 체크하고, 대여한 휴대폰 충전기 등에 센서를 달아 도난 방지를 제공한다. 스마트 주차는 주차지역 내에 빈자리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사용자의 주차 위치와 빈 주차 칸을 파악할 수 있게 한다. 스마트 제설이란 기상 상태를 감지하고 자동이나 원격으로 제설제를 살포한다.

이처럼 한양대학교 스마트 캠퍼스는 사물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캠퍼스 내 다양한 편의시설을 지능화하고 있다. 학생들은 언제 어디서나 스마트폰으로 시설물을 관리하고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스마트 캠퍼스는 대학의 교육·생활 환경을 혁신하고 학생들의 편의를 증진시키는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1.1.2. 산업 현장에서 제공되는 사물인터넷 서비스
1.1.2.1. 크레인 충돌 방지 시스템

크레인 충돌 방지 시스템이다. 조선소나 건설 현장에서 많이 사용하는 크레인끼...


참고 자료

한양대서울 캠퍼스 스마트캠퍼스로 변신.. IoT 생태계 활성화 계기, 전자신문, 2018.01.31.
https://www.etnews.com/20180131000265
정민규, 고려대, SK미래관 선보여, 더 리더, 2019.11.12.
https://theleader.mt.co.kr/articleView.html?no=2019111216467847593
사물인터넷으로 산업현장 안전사고 사전에 막는다!, 무스마
https://musma.net/press/%EC%82%AC%EB%AC%BC%EC%9D%B8%ED%84%B0%EB%84%B7%EC%9C%BC%EB%A1%9C-%EC%82%B0%EC%97%85%ED%98%84%EC%9E%A5-%EC%95%88%EC%A0%84%EC%82%AC%EA%B3%A0-%EC%82%AC%EC%A0%84%EC%97%90-%EB%A7%89%EB%8A%94%EB%8B%A4-2/
이형민, Tech Issue - 사물인터넷(IoT) 신기술 성공사례 3가지_세상을 바꿀 사물 인터넷의 전망, 기술과 혁신
http://webzine.koita.or.kr/201809-technology/Tech-Issue-%EC%82%AC%EB%AC%BC%EC%9D%B8%ED%84%B0%EB%84%B7IoT-%EC%8B%A0%EA%B8%B0%EC%88%A0-%EC%84%B1%EA%B3%B5%EC%82%AC%EB%A1%80-3%EA%B0%80%EC%A7%80%EC%84%B8%EC%83%81%EC%9D%84-%EB%B0%94%EA%BF%80-%EC%82%AC%EB%AC%BC-%EC%9D%B8%ED%84%B0%EB%84%B7%EC%9D%98-%EC%A0%84%EB%A7%9D

박준식(2011) 정보봉사론
김현숙(2008) 웹기반 한국어교육 현황과 유비쿼터스 교육으로의 발전 방안 (The Current State of Web-based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Ubiquitous Education Strategy).
안상민(2007) 고문서 웹서비스현황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도서관법
문화체육관광부(https://www.mcst.go.kr/)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