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수술실 사전학습보고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상세정보

소개글

"성인간호학 수술실 사전학습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수술실 환경
1.1. 물리적 설비(온도, 습도, 공기질)
1.2. 구역의 의미
1.3. 청소

2. 수술실 안전관리
2.1. Time Out
2.2. Spongy /Gauze count
2.3. 욕창 예방
2.4. 화상 예방

3. 수술실 간호사의 역할 및 기능
3.1. 소독간호사
3.2. 순환간호사

4. 수술을 위한 대상자의 피부 준비
4.1. Skin preperation
4.2. 피부소독

5. 수술체위 종류

6. 수술을 위한 기본 준비
6.1. 대상자의 피부 준비
6.2. 수술을 위한 기본 준비

7. 수술 기본장비

8. 수술기구
8.1. 자르는 기구
8.2. Scissors
8.3. Bone cutters / Debulking tools
8.4. Other sharp dissectors
8.5. Grasping/Holding forceps
8.6. Retractor

9. 전신마취의 단계

10. 전신마취의 방법

11. 흡입마취제의 종류

12. 척수마취 간호

13. 국소마취의 종류

14. 회복실 간호

1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수술실 환경
1.1. 물리적 설비(온도, 습도, 공기질)

수술실의 물리적 설비는 효율성과 안전성, 감염조절을 고려하여 설계된다. 수술 업무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지하고 무균술을 잘 지킬 수 있도록 수술실 규모, 출입구 위치, 지원 서비스 배치 등 물리적 조건들이 조정된다. 수술실 내 온도는 세균의 성장을 억제하고 수술팀의 편안함을 고려하여 19~21℃로 유지되며, 습도는 20~60%로 유지한다. 수술실에 충분한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감염 위험도에 따라 공기정화설비의 기준이 다르다. 감염 고위험수술의 경우 HEPA 필터 사용, 층류 환기시스템, 시간당 20회 이상의 공기순환과 시간당 3회 이상의 외부 공기 유입이 필요하다. 감염 중등도 위험 수술의 경우 HEPA 필터 사용, 시간당 15회 이상의 공기순환과 시간당 3회 이상의 외부 공기 유입이, 감염 저위험도 수술의 경우 95% 이상의 고성능 필터 사용, 시간당 15회 이상의 공기순환과 시간당 3회 이상의 외부 공기 유입이 필요하다. 수술실에는 조도와 열이 적절한 무영등,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술대와 Mayo대, 수술에 필요한 소독기구와 물품을 준비하는 후방 테이불 등이 구비되어 있다. 수술실 내에는 비인화성, 비폭발성 물질을 사용하며 절대 금연한다. 수술실 청소는 업무 시작 1시간 전, 수술 종료 후, 수술 중 중간 청소 등 단계별로 이루어지며, 젖은 마대 걸레로 바닥을 닦고 소독제로 다른 부분을 닦는다.[1]


1.2. 구역의 의미

수술실 내 공간은 크게 비제한구역, 준제한구역, 제한구역으로 나뉜다. 비제한구역은 수술실 입구에서 환자, 의료진, 물품을 관찰할 수 있는 중앙통제구역이며, 수술실 주변 복도와 수술실 외부 식당, 회의실, 환자대기공간 등 환자와 외부인이 출입할 수 있는 구역이다. 평상복을 입고 출입이 가능하다. 준제한구역은 수술실과 인접한 공간으로 청결도 유지를 위한 주변 지지 구역이며, 멸균물품 보관 구역, 기구 재처리 과정이 이루어지는 영역, 스크럽 구역 및 제한구역과 연결되는 복도, 회복실, 수술 전 준비실, 창고, 장비창고, 수간호사실, 통제실 등이 해당된다. 제한구역은 수술복, 수술모, 수술실 전용 실내화를 착용하고 출입할 수 있는 지역으로 수술실, 주요 청결구역, 수술실 복도가 포함된다. 구역 구분을 통해 청결구역과 오염구역을 명확히 하여 감염예방을 도모한다.


1.3. 청소

수술실 청소는 철저히 관리되어야 한다. 아침 수술 전, 수술 후, 하루 수술 종료 후, 각 수술이 끝날 때마다 청소를 실시한다. 매일 소독제를 이용하여 청소한다. 무영등, 가구의 표면은 낮은 수준의 환경소독제로 닦는다. 수술도중 장비나 환경표면에 혈액, 체액 등으로 눈에 보이는 오염이 발생하였을 때 다음 수술 전에 염소계 소독제 5000ppm에 적신 걸레로 닦아낸다. 이외 수술실 바닥전체 염소계 소독제 500ppm에 적신 새로운 걸레를 이용하여 닦는다. 소독제는 매일 새것으로 준비한다.


2. 수술실 안전관리
2.1. Time Out

타임아웃은 의사소통에 관한 안전계획 중 하나로, 수술부위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고안되었다. 수술 전 마취 유도 또는 조직 절개 전 모든 팀원이 자신의 이름과 역할을 소개하고, 개방형 질문으로 환자의 이름, 팔찌, 생년월일, 수술부위, 수술부위 표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다른 확인도구(환자이름, 등록번호 등)를 사용하여 확인한다. 수술팀원 모두가 정확한 환자, 정확한 수술, 정확한 부위/측면, 정확한 체위, 수술 직전 투여한 예방약물 등의 정보를 구두로 상호 확인해야 한다. 이후 수술 부위와 수술명에 대해 절개 직전과 피부봉합 전에 재확인한다. 타임아웃 절차를 통해 수술부위 오류를 방지하고 환자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2.2. Spongy /Gauze count

Spongy /Gauze count는 수술간호사의 주요 임무로, 거즈나 바늘, 수술기구 등의 이물질이 체내에 잔류하여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절차이다. 수술실에 들어온 물품의 이름과 개수를 기록하며, 수술 전, 상처 봉합 전, 피부봉합 전의 각 단계마다 수술에 사용된 모든 품목(기구, 거즈, 물품 등)을 계수한다. 최종계수와 확인이 끝날 때까지 어떠한 물품도 수술실 밖으로 내보내지 않는다. 물품계수는 소독간호사와 순환간호사가 함께 진행하며, 계수 결과는 기록한다. 계수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즉시 의료팀과 상황을 공유하고 수술실 내에서 계수 품목을 찾는다. 물품을 찾지 못할 경우 수술부위의 X-선 촬영을 실시하며, 잔존해 있는 계수 품목을 제거하거나 수술부위에 없음이 확인된 경우 수술실 내에서 다시 찾는다. 이를 통해 사용된 거즈, 봉합침, 수술기구 등이 체내에 남지 않도록 관리한다. 이는 감염, 천공, 출혈 등 심각한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2.3. 욕창 예방

욕창 예방을 위해 수술 전 환자의 피부상태를 면밀히 관찰하고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한다.

장시간 수술로 인해 피부에 가해지는 지속적인 압박을 최소화하기 위해 부드러운 패드를 사용하고 체위를 정기적으로 변경한다. 또한 저체온으로 인한 피부 허혈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저체온을 방지한다.

수술 중 피부 소독 시에는 소독액이 침상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방포를 깔아주고, 세척을 많이 하는 경우 방포가 젖지 않도록 주의한다. 욕창 고위험군 환자나 수술 시간이 장시간 예상되는 경우에는 압력재분산 지지면을 사용한다.

수술 중 피부에 가해지는 압박을 최소화하기 위해 뼈 돌출부위에 패딩을 적용하고, 환자에게 기대거나 누르지 않으며 무거운 물건을 올려놓지 않도록 한다. 가능한 경우 수술 전후 체위를 다르게 취하여 피부 압박을 분산시킨다.


2.4. 화상 예방

전기,전열기구에 의한 화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치가 필요하다.
수술침대의 어스선(감전 예방, 피뢰침의 역할)이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선이 꺾이거나 장비 바퀴에 눌리지 않도록 유지한다.
피부 소독 시 소독액이 침대에 젖지 않도록 환자와 침대 사이에 방포를 깔아 보호하고, 피부 소독이 끝난 후 방포는 제거하며, 소독액이 피부로 흘러내려 젖으면 즉시 물기를 닦는다.
Bovie plate 부착 부위는 혈액 공급이 좋고 수술 부위와 인접한 근육조직이 좋으며, 압력을 많이 받는 엉덩이 부위, 반흔 조직, 금속 삽입 위부분, 털이 많은 부위 등은 피한다. Bovie plate가 잘 붙어 있는지 수시로 확인한다.
세척을 많이 하는 경우는 환자 몸과 침대 사이에 물이 고이지 않도록 주의한다.


3. 수술실 간호사의 역할 및 기능
3.1. 소독간호사

소독간호사는 멸균된 수술 가운을 입고 멸균 영역에서 수술간호 실무를 제공하는 간호사로, 수술 과정을 정확히 알고 집도자의 요구를 신속하게 처리하고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 수술 과정을 명확히 파악하고 있어야 하며, 수술에 필요한 기계 및 물품을 원활히 공급한다. 방포에 사용할 린넨을 준비하고, Mayo stand를 준비하며, 봉합사 및 봉합 바늘을 준비한다. 수술에 사용되는 기계와 물품, electrosurgical unit의 tip(bovie tip), suction line을 준비한다. 의사의 gowning과 gloving을 도와준다. 수술 환자의 수술 부위를 드레이핑하고, 전 수술 과정에서 무균술을 준수한다. 실혈량 계산을 위해 사용한 세척 용액을 계산하고, 국소 마취제를 포함해 의사가 투여한 약물을 확인한다. 집도의로부터 받은 검체를 순환간호사에게 건네주며, 환자가 수술실을 떠나 회복관리실로 이동할 때까지 수술실에서 수술 환자 옆에 머무른다. 순환간호사와 함께 거즈, 봉합침, 수술기구의 counting을 하고, 수술이 끝난 후 사용된 기구와 물품을 절차에 따라 처리한다. 또한 신입 수술실 간호사를 교육한다. 이처럼 소독간호사는 수술 과정에서 담당하는 주요 역할과 기능이 있다.


3.2. 순환간호사

순환간호사는 수술이 원활히 진행되도록 비멸균 영역에서 간호 실무를 수...


참고 자료

유양숙 외. (2022). 성인간호학 제8판 상권. 서울:현문사, p30-35, p.138-190
유양숙 외. (2022). 성인간호학 제8판 하권. 서울:현문사, p.648
윤혜상 외. (2023). 최신 수술실 매뉴얼 3판(수술과정, 마취, 수술 전후 및 회복간호). 포널스출판사:서울.
이은희(2021). 수술간호 강의록. 수원. 2-149 slides
「의료법 시행규칙」[별표3] 및 [별표4]의 수술실 시설규격․기준 (보건복지부령 제317호, 개정 2015.5.29.) 관련 세부기준
윤혜상 외, ˹최신 수술실 매뉴얼 (제3판)˼, 2023, 포널스출판사
황옥남 외, ˹성인간호학 상권 (제7판)˼, 2017, 현문사
송경애 외, ˹최신기본간호학Ⅱ(개정판)˼ 2020, 수문사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 건강정보 – 전신마취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