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대응 로직모델 사례

  • 1
  • 2
  • 3
  • 4
  • 5
  • 6
  • 7
>

상세정보

소개글

"코로나 대응 로직모델 사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코로나 대응 로직모델 사례
1.1. 사례연구 개요
1.1.1. 대상기업 소개 및 선정 이유
1.1.2. 대상기업의 산업환경
1.2. 대상기업의 SCM 사례분석
1.2.1. SCM 구축 배경 및 목적
1.2.2. SCM 주요 추진 전략
1.2.3. 기업 또는 기업간 SCM 업무 프로세스
1.2.4. SCM 시스템 구성도
1.2.5. SCM 구축에 따른 운영 및 경영성과
1.3. 결론 및 시사점
1.3.1. 사례분석 결과 요약
1.3.2. 사례분석에 따른 시사점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코로나 대응 로직모델 사례
1.1. 사례연구 개요
1.1.1. 대상기업 소개 및 선정 이유

애플(Apple)은 스티브 잡스를 CEO로(후속 CEO 팀 쿡) 아이폰(iphone)이 주력상품인 IT기업이다. 전세계적으로 공급망을 보유하고 소비자에게 제품을 공급하는 애플은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가트너'에게 'SCM의 교과서'라 일컬어질 정도의 경영능력을 높게 평가받고 있었다. 다만 이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반응과 부정적인 반응이 모두 있었다.

코로나 19 이후 애플과 삼성전자의 SCM 방식에 관한 차이점이 드러나며 삼성이 애플을 제치고 SCM 방식에 대해 극찬받기도 했다. 이는 불가피한 국경 폐쇄로 인해 벌어진 상황이었으나, 자연재해 등으로 공급업체가 잠기게 될 상황은 언제든 발생할 수 있었던 일이었기에 애플의 SCM 방식에 관하여 비평하는 경제저널 포스트가 업로드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코로나로 애플이 이득을 보지 않은 것은 아니다. IT산업은 '비대면' 시대를 준비 중이었기에, 코로나19 사태 이후 SCM(공급사슬관리)가 재조명되었을 때 발빠른 변화를 보일 수 있었다. 특히나 가전 및 소형가전제품 부문에선 특정기업이 양대산맥을 이룬다는 점에서 그 파급력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유연한 조치를 취한 국내 기업 삼성전자와 해외 기업 애플의 변화에 전세계가 이목을 집중시켰던 2020년, 국내 자료가 충분한 삼성전자와 달리 영문자료를 다수 보유하고 국내 자료가 적은 애플에 대해 연구심이 들었다. 또한 2023년 APEC 회의에서 대한민국의 부품업체 200여개가 애플의 공급망 협력 대상에 계약되며 애플 구매 부품 30%을 공급하게 되어 애플을 대상기업으로 선정하게 되었다.


1.1.2. 대상기업의 산업환경

애플은 2018년까지 제품 디자인과 설계는 미국이, 생산 및 제조는 중국이 담당하는 이원화 전략을 사용하였다. 주요 공급업체 220개 중 약 20%인 41곳을 중국에 배치하였으며 중국 생산 비중이 90%에 달하였다. 이는 이원화 및 단일제조국 전략을 사용한 애플이 경쟁업체에 비하여 압도적으로 이익을 낼 수 있었던 이유이다.

그러나 현재는 2024년, 코로나19가 발발한 지도 4년이 지나가는 해이다. 애플은 코로나19라는 시련을 어떻게 넘어갔는가? 애플의 이원화 기법으로 위기를 극복하였는가? 애플은 예측할 수 없었던 코로나19 상황에 직면하면서 인간적인 면모를 보였으며, 주요 공급업체 폭스콘(Foxccon) 공장이 중단됨에 따라 아이폰 생산까지 잠정 중단을 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애플은 삼성전자와의 대립 구도에서 처참한 혹평을 받은 시점이기도 하다.

이에 팀 쿡이 애플 Operation 팀 총괄 이후로 공급업체 수를 파격적으로 줄이는 "Cut Down" 전략을 선보이며 재고 관리와 단가 절감에 큰 효과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국한된 공급업체 국가로 인해 애플은 중국 국경 폐쇄 당시 큰 손실을 입게 되었다. 2019년 11월 발매 예정이었던 아이폰 11 모델의 생산 가능 수량이 급감하여 전 세계적으로 품절 대란이 일어났고, 예약제를 통해 무기한으로 보급이 지연되는 일이 빈번하였다.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애플은 2020년 4월부터 2021년 3월까지 1년간 아이폰 생산량을 4% 증가시켜 2억 1천 300만 대로 설정하고 아이폰 12(2020년 신작) 시리즈를 미리 대비하는 등의 변화를 보였다. 이는 시장 수요 회복보다는 부품 조달 차질을 우려한 조치로 판단되었으며, 추가적으로 공급망(SCM)과 관련한 새로운 실험에 도전한다는 사실까지 보도되었다. 이는 같은 해 연말 대통령에 당선된 바이든이 미국 중심의 신뢰 가능한 공급망(SCM)을 만드는 데 힘을 쏟을 전망이라는 기사를 내보낼 정도로 영향과 파급력이 컸다.


1.2. 대상기업의 SCM 사례분석
1.2.1. SCM 구축 배경 및 목적

애플은 1976년부터 설립되어 1980년 주식상장 이후 지속 발전을 거듭해온 기업이다. 따라서 초창기 애플사의 SCM 구축 배경 및 목적을 확인하기는 쉽지 않았다. 이에 시점을 변경하여 현재 CEO인 팀 쿡이 입사할 당시 애플의 경영 행태를 확인해보았다.

팀 쿡이 입사한 1998년, 애플은 평균 70일 넘게 쌓여 있던 악성 재고를 2년만에 10일분으로 낮추는 데 성공했다. 또한 부품 공...


참고 자료

SARAH KIM (2023/11/21), [윤 대통령, 애플 CEO와 깜짝 만나 공급망 협력키로], Korea JoongAng Daily, https://koreajoongangdaily
이수빈 (2020/04/30), [코로나에 희비 엇갈린 애플, 삼성... ‘계란’ 나눠담은 삼성이 옳았다.], 한경뉴스, https://www.hankyung.com/article/*************
SupplyChain247(2013/09.02), [Is Apple’s Supply Chain Real the No.1?], https://www.supplychain247.com/article/is_apples_supply_chain_really_the_no._1_a_case_study
김은빈(2012/07/10), [“순위는 순위일뿐 오해하지 말자” <2012 가트너 SCM TOP25 분석>], SHIPPER’S Journal, http://www.shippersjournal.com/news/article.html?no=324
LoTIS(2015/07/03), [애플 사례로 본 ‘착한 SCM’], LoTis,
https://www.lotis.or.kr/news/2181
한주엽(2013/05/29), [애플이 6년 연속 1위?... 가트너, 기업 SCM 평가 로직 바꿔야], 디지털데일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138/0002006519?sid=105
Prabhat Ranjan(2023/6/5), [Apple’s Supply Chain Model: The Best in the World], Medium,
https://medium.com/@prabhathitee/apples-supply-chain-model-the-best-in-the-world-64162461954f
TRADLINX(2024/05/21), [iPhone 탄생과 여정 : 애플 공급망 관리(SCM) 전략], TRADLINX,
https://www.tradlinx.com/blog/guide/iphone-%ED%83%84%EC%83%9D%EA%B3%BC-%EC%97%AC%EC%A0%95-%EC%95%A0%ED%94%8C-%EA%B3%B5%EA%B8%89%EB%A7%9D-%EA%B4%80%EB%A6%ACscm-%EC%A0%84%EB%9E%B5/
TRADLINKX(2022/08/17), [공급망 위기 속 애플의 SCM 전략과 탈중국], TRADLINX, https://www.tradlinx.com/blog/guide/%EA%B3%B5%EA%B8%89%EB%A7%9D-%EC%9C%84%EA%B8%B0-%EC%86%8D-%EC%95%A0%ED%94%8C%EC%9D%98-scm-%EC%A0%84%EB%9E%B5%EA%B3%BC-%ED%83%88%EC%A4%91%EA%B5%AD/
정유현(2024/03/14), [시스템적 사고 전문가, 이신영 구매 SCM부문장 - ‘코로나 19’ 시기 공급망 안정화 관리 앞장, 이익 체력 키우는 핵심 인력], the bell,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8640107273
주호재, 현장 컨설턴트가 알려주는 공급망 관리(SCM) 성공전략, EPUB
송의달(2020/01/17), [아무도 놀라지 않았지만 눈부신 경영 성적, 비결은?], WEEKLY BIZ, http://weekly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1/16/*************.html
강영운(2021/05/24), [애플의 성공 뒤에는 ESG 경영이 있었다], 매일경제, https://www.mk.co.kr/news/culture/9881818
케이머그(2016/04/06), [스티브잡스의 애플과 팀쿡의 애플은 어떻게 다른가?], brunch story, https://brunch.co.kr/@kmug/19
SupplyChain247, [A Case Study of Apple Computer’s Supplier Hubs: A Tale of Two Cities (STANFORD univ(1994/6)],
https://www.supplychain247.com/paper/a_case_study_of_apple_computers_supplier_hubs_a_tale_of_two_cities
케이머그(2012/05/29), [애플 공급망의 비밀], brunch story,
https://kmug.com/2012/05/29/%ec%95%a0%ed%94%8c-%ea%b3%b5%ea%b8%89%eb%a7%9d%ec%9d%98-%eb%b9%84%eb%b0%80/
E트렌드(2021/08/11), [반도체 슈퍼사이클 진입], brunch story,
https://brunch.co.kr/@e2c67f679a52441/58
KOSIS 국가통계포털. 과학.기술 – 2021년 이후 – 기술 경쟁력 및 기술 수준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42&tblId=DT_34006H_039_9&vw_cd=MT_ZTITLE&list_id=N2_17_001_004&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MT_ZTITLE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저널 (2024.05)
https://www.tta.or.kr/tta/publicationHosuView.do?key=80&rep=1&searchKindNum=1&searchHosu=213
"유지보수 비용 25% 절감"··· 인프라 산업의 '디지털 트윈' 사용 사례, CIO , 2022.08.18., Nicholas D. Evans
https://www.ciokorea.com/news/250768
[특별기고] 스마트 건설기술의 미래와 가능성-경희대 김인한 교수, 국토일보, 2024.03.25.
https://www.ikld.kr/news/articleView.html?idxno=291296
[스페셜리포트] 필수된 ‘OT-IT 융합’, 스마트 제조의 미래를 말하다, 인더스트리 뉴스, 2024.03.08., 조창현
https://www.industr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2541
반도체 패권 경쟁은 국가대항전, 한국 이대론 안 된다, 양항자, 중앙일보, 2023.01.14
글로벌 반도체 패권경쟁 심화...파운드리 투자 경쟁 각축전, 삼성전자 뉴스룸, 2021.11.24
미국이 K-반도체를 몽땅 빼앗아 간다고?, 노정태, 신동아, 2023.04.08
[현장] 반도체 ‘잃어버린 30년’ 되찾겠다…들썩이는 일본, 김소연, 한겨레, 2023.02.15
반도체 혹한기 우려 현실로···반도체 사이클 언제 회복될까, 이윤정, 경향신문, 2023.01.06
'4년→1년' 반도체 사용주기 사이클이 바뀐다..."붐은 이제 시작", 한지연, 머니투데이, 2022.02.23
‘반도체의 법칙’ 수퍼사이클이 흔들린다, 곽창렬, 조선일보, 2023.02.24
“반도체 경기 하반기 회복” 믿어도 될까 [김상철의 경제 톺아보기], 김상철, 시사저널, 2023.02.20
‘반도체 혹한기’에도 투자 시계는 빨라졌다, 이호길, 시사저널, 2022.09.27
"내년 깜짝 호황 기대"…'적자'SK하이닉스 장담한 근거, 한지연, 오문영, 머니투데이, 2023.02.01
SK하이닉스도 반도체 호황 타고 날았다... 지난해 사상 최대 매출 43조원, 이승엽, 한국일보, 2022.01.28
정부, 시스템반도체 생태계 강화·세제 지원 확대, 유혜진, ZDNet Korea, 2023.03.16
SK하이닉스의 성장역사와 생존전략, 박준범, 정상욱, 한국경영사학회, 2016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