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아동문학이란 무엇인가?
아동을 대상으로 한 문학으로, 어린이를 가르치거나 즐겁게 해주기 위해 쓴 글과 거기에 달린 삽화를 아동문학이라고 통틀어서 일컫는다. 크게 아동문학의 연구, 창작, 교육으로 나누어볼 수 있으며, 아동문학을 이해하기 위한 노력으로는 아동문학을 지도하기 위한 연구, 아동문학으로 자리 잡은 텍스트를 주제로 살펴봄으로써 그 전략을 다루는 것을 순서로 볼 수 있다. 아동문학의 소재는 성인의 문학과 현실적인 것, 비현실적인 것, 공상적인 것 등의 모든 것이 대상이 될 수 있지만, 소재를 처리하는 방법, 소재를 바라보는 동시적인 눈이 다를 뿐이다. 아동문학의 특징은 아동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내용과 형식을 가지며, 소박하고 단순한 것이 많다. 다양한 대상 독자 계층이 있으며, 작품 내용의 난이도 차이가 심하고, 목적의식에 의해 제작되는 일이 많다. 아동문학은 특수문학이므로 특수성에 걸맞은 기능, 목적, 사명을 가지기 마련이다. 그것은 예술성을 상실하지 않는 선에서 단계적으로 아동의 심신을 계발하는 데 이바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아동에게 즐거움을 주는 것, 미에 대한 인식을 하게 하는 것, 문학적인 감동을 주는 것, 사물에 대한 친밀감을 느끼게 하는 것, 새로운 인식의 폭과 생활의 지혜를 갖게 하는 것, 언어발달을 촉진해주는 것, 사람이 살아가는 길을 배우게 하는 기능을 한다.
1.2. 아동문학의 역사
해방 이전의 아동문학은 유교적이고 봉건적인 요소에서 탈피하려는 아동 인권회복을 위한 개화 운동의 차원에서 출발하였다. 1930년대 들어서면서 사회주의, 리얼리즘 의식과 운동에 영향을 받았다. 해방 공간의 아동문학은 아동 문학가 일부가 범한 반민족 친일행위에 대한 비판, 남북한 분단으로 인한 좌우익의 이념 대립이 아동문학계에 큰 파장을 미쳤으며, 대다수의 문인은 미온적이거나 중립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었다. 전쟁 복구기의 아동문학은 배금주의, 각종 부조리, 무질서가 찰나주의적인 향락의 풍조를 일으켰고, 문학적인 것보다는 스토리 본위의 통속 대중문학과 이야기를 초래하였다. 경제 개발기의 아동문학은 1960년대에 국민의 주권과 부패정치에 대한 자각의 시기였으며, 아동문학의 주체성에 대한 새로운 바람이 불기 시작하였다.
2. 아동문학의 장르
2.1. 동요
동요는 아동을 대상으로 한 노래이다. 동요의 시원은 구전민요에서 찾을 수 있으며, 창작동요가 등장하면서 현대의 형태로 발전하게 되었다. 창작동요는 7・5조의 율조를 사용하며, 사회적・정치적 현실을 풍자하거나 해학, 비유의 방식으로 표현하고 있다.
동요는 아동의 동심을 고취시키고 희망적인 미래지향적 자세를 도모하는 것이 목적이다. 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