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유방암 예방프로그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중요성
1.2. 연구목적
1.3. 국내·외 의료정책동향과 지역사회보건 현황 자료제시
2. 본론
2.1. 선택한 이론 : MATCH모형
2.2. 중재계획
2.3. 프로그램 개발
2.4. 실행준비
2.5. 평가 및 기대효과
3. 결론
3.1. 연구 요약
3.2. 기대효과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중요성
유방암 예방의 필요성과 중요성
유방암은 여성에게 발생하는 전체 암 중 두 번째로 흔한 암으로, 전 세계적으로 여성암의 23%를 차지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유방암 발생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데, 최근 10년간 약 4.3배 증가하여 연간 2만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유방암의 예방과 조기 진단 및 치료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유방암은 조기 발견할 경우 매우 높은 치료 성적을 보이므로 정기적인 유방암 검진이 필요하다. 그러나 국내 유방암 검진율은 OECD 국가 중 가장 낮은 수준이며, 미국과 영국에 비해서도 낮은 편이다. 따라서 여성들의 유방암 검진에 대한 인식 제고와 실천율 향상이 중요하다.
1.2. 연구목적
유방암 예방프로그램의 목적은 만 30세 이상 여성과 유방암이 의심되는 여성의 유방암 발생 예방을 위해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유방암 발생 예방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둘째, 대상자들에게 교육을 통해 유방암 자가진단 및 정기검진의 필요성을 이해시킨다. 셋째, 대상자들에게 6개월 동안 주 3회 유방암예방프로그램을 정기적으로 시행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예방한다. 넷째, 개발된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대상자에게 미치는 효과를 평가·검증한다. []
1.3. 국내·외 의료정책동향과 지역사회보건 현황 자료제시
유방암은 전 세계적으로 여성암 중 가장 높은 발생률을 보이는 질환이다. 한국의 유방암 발생률은 가파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어 향후 국내 유방암 환자 수가 연간 2만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유방암의 예방 및 조기 진단과 치료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
한국의 유방암 5년 생존율은 최근 2006~2010년 91.0%로 세계 최고 수준을 기록하였다. 이는 적극적인 유방암 검진 활성화와 치료기술 발전의 성과로 분석된다. 그러나 유방암 검진률은 2012년 71%에서 2013년 59.7%로 감소하여 평균 암 검진 수검률 64.7%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이는 미국(66.5%)과 영국(73.4%)에 비해서도 낮은 수치로, 국민의 유방암 검진에 대한 인식 제고가 필요한 상황이다.
지역사회 보건현황을 살펴보면, 광주 남구의 경우 2009~2012년 기간 동안 연령별 성별 유방암 판정 현황을 보면 40대 여성과 50대 여성에서 가장 높은 판정 건수를 보였다. 또한 2012년 광주광역시 구별 유방암 검진 결과, 남구의 유방암 판정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광주 남구 지역의 유방암 발생과 검진 현황이 타 지역보다 심각한 수준임을 알 수 있다.
종합해볼 때, 국내 유방암의 발생률과 사망률이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세계 최고 수준의 유병률을 보이고 있다. 특히 광주 남구와 같은 일부 지역에서는 유방암 발생이 더욱 심각한 것으로 나타나, 지역사회 맞춤형 예방과 관리대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 본론
2.1. 선택한 이론 : MATCH모형
MATCH모형
MATCH모형은 지역사회 보건 다단계 ...
참고 자료
이주열 외(2013). 계축문화사. 보건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제2판, 63-65.
http://health.mw.go.kr/HealthInfoArea/HealthInfo/View.do?idx=4980&subIdx=5
국립암센터(2020). 국가암관리사업 소개 > 국가암검진사업. https://www.ncc.re.kr/main.ncc?uri=manage01_4
국립암센터(2018). 암예방사업. https://ncc.re.kr/main.ncc?uri=manage01_3
부산지역암센터(2020). 암예방 및 홍보사업. https://www.busancancercenter.or.kr:444/bcc/contents/contentsView.do?rbsIdx=74
부산지역암센터(2020). 부산지역암센터 대학생 서포터즈 『제6기 암예방 지킴이』모집 안내(2020). https://www.busancancercenter.or.kr:444/bcc/board/view.do?rbsIdx=98&idx=367
부산지역암센터(2020). 2019년『제12회 암 예방의 날 기념행사』 안내. https://www.busancancercenter.or.kr:444/bcc/board/view.do?rbsIdx=98&idx=355
가천대 길병원 인천지역 암센터(2019), 암 검진 사업, http://www.ircc.re.kr/work/checkup.php
대한민국 정부 블로그(2015), 암 질환 관련, 국가지원 정책 총정리, https://blog.naver.com/hellopolicy/220439827680
보건복지부(2016), 제3차(’16~’20년) 국가암관리 종합계획(안), www.mohw.go.kr
국립암센터(2020), 지역암센터지원사업, 암환자 의료비지원 사업, https://www.ncc.re.kr/main.ncc?uri=manage01_6
국립암센터(2016), 재가암관리사업, https://www.ncc.re.kr/main.ncc?uri=manage01_7
국립암센터(2020), 호스피스•완화의료사업, https://www.ncc.re.kr/main.ncc?uri=manage01_8
국가암정보센터(2020), 호스피스•완화의료, https://www.cancer.go.kr/
대한암협회(2017), 국가암종합관리계획 어디까지 왔나?(1) -제 3차 국가암종합계획 주요 내용, http://www.kcscancer.org/bbs/board.php?bo_table=info1&wr_id=14
대한암협회(2017), 국가암종합관리계획 어디까지 왔나?(2) -제 3차 국가암종합계획 주요 내용, http://kcscancer.org/bbs/board.php?bo_table=info1&wr_id=15
국립암센터(2019), 국가암관리사업 지원, https://ncc.re.kr/main.ncc?uri=info_important_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