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소요법핵심술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상세정보

소개글

"산소요법핵심술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산소요법의 이해
1.1. 호흡기계의 구조와 기능
1.2. 산소요법의 정의와 목표
1.3. 산소요법의 적응증

2. 산소 공급 체계
2.1. 비강캐뉼러
2.2. 단순 안면마스크
2.3. 부분 재호흡 마스크
2.4. 비재호흡 마스크
2.5. 벤튜리 마스크

3. 산소요법의 실제
3.1. 산소공급 체계에 따른 간호중재
3.2. FiO2의 정의와 계산
3.3. 산소요법의 합병증과 간호중재

4. 천식 환자 간호
4.1. 천식의 정의와 병태생리
4.2. 천식 환자 간호진단과 중재
4.3. 천식 관리를 위한 핵심술기
4.4. 천식 환자 교육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산소요법의 이해
1.1. 호흡기계의 구조와 기능

비강은 비중격에 의해 좌우로 나뉘며, 비강 상부에는 후각신경이 분포되어 있어 냄새를 맡을 수 있다. 비강의 내측 벽에는 3개의 비갑개가 있으며, 흡입된 공기는 코털로 여과되고 점막으로 습화되며 풍부한 혈관망으로 데워진다. 부비동은 비강을 둘러싼 뼈의 빈 공간으로 공기가 차 있으며 발성 시 공명을 하고 두개골의 무게를 가볍게 한다.

인두는 구강과 비강 뒤쪽에 있으며 비인두, 구인두, 후인두로 구분된다. 비인두에는 아데노이드와 유스타키오관의 개구부가 있으며, 구인두에는 공기와 음식이 통과하며 구개편도가 위치한다. 후인두는 혀 기저부에서 식도까지 위치한다.

후두는 갑상연골, 윤상연골, 2개의 모뿔연골로 구성되어 있으며, 거짓성대와 진성대가 후두 안쪽에 있다. 후두개는 후두 위쪽에 위치하여 음식물을 삼키는 동안 성대문을 덮어 음식물이 기도로 들어가지 못하게 하고 호흡과 기침을 하는 동안에는 열려 있다.

기관은 C자 모양의 연골로 구성되어 있으며, 좌우 기관지로 갈라진다. 폐는 가볍고 스펀지 모양의 원추형 기관이며, 횡격막과 늑간근이 중요한 호흡근 역할을 한다. 폐포와 폐포관, 세기관지, 기관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관지의 상피세포에는 섬모가 있어 하부기도에서 기관 쪽으로 점액을 밀어낸다. 폐포는 편평세포조직으로 된 고무풍선 모양의 얇은 막으로 가스교환에서 가장 중요하며, 폐포 바깥쪽에 많은 모세혈관망이 있어 가스교환이 쉽게 된다.[]


1.2. 산소요법의 정의와 목표

산소요법은 공기 중의 산소 농도(FiO2)보다 더 높은 산소를 흡입시키는 방법이다. 산소요법의 목표는 저산소증의 완화 및 예방, 조직에 나타난 생리적 이상의 회복, 심근 운동 부하 감소, 호흡 운동 부하 감소와 함께 SpO2 수준을 95~100% 사이에 유지시켜 일반적으로 환자의 신체가 제대로 기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산소요법은 기도의 산소 공급을 증가시켜 저산소증을 개선하고, 조직으로의 산소 공급을 늘리며, 호흡 및 심근의 부담을 줄여 환자의 건강 상태를 최적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저산소혈증, 호흡 부전, 심부전 등의 증상을 완화하고 예방할 수 있다.


1.3. 산소요법의 적응증

산소요법은 공기 중 산소 농도(FiO2)보다 더 높은 산소를 흡입시키는 방법으로, 저산소증의 완화 및 예방, 조직에 나타난 생리적 이상의 회복, 심근 운동 부하 감소, 호흡 운동 부하 감소와 함께 SpO2 수준을 95~100% 사이에 유지시켜 일반적으로 환자의 신체가 제대로 기능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이다.

산소요법의 주된 적응증은 다음과 같다. 만성 폐쇄성 폐질환, 폐렴, 심한 천식 발작, 말기 심장 마비, 낭포성 섬유종, 수면 무호흡증, 기관지 폐 이형성증, 신생아 폐 발육 부진, 심장마비, PaO2의 감소, 호흡곤란, 빈호흡, 청색증, 안절부절 못하며 지남력 상실, 서맥을 동반한 저혈압, 울혈성 심부전, 급성 심근경색, shock, 유독가스 중독, 대사 항진, 마취 중 호흡곤란, 수술 후 호흡부전 등이 해당된다. 이처럼 산소요법은 다양한 호흡기 및 순환기 질환에서 저산소증을 완화하고 조직 기능 회복을 돕는 중요한 치료법이다.


2. 산소 공급 체계
2.1. 비강캐뉼러

비강캐뉼러는 1분에 1~6L의 산소를 전달할 수 있다. 만성 폐질환 환자와 같이 장기간 산소 투여가 필요한 경우에 자주 사용된다. 하지만 만성적으로 이산화탄소가 정체된 대상자에게 고농도의 산소를 투여하면, 호흡자극이 억제되어 호흡정지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2~3L/분 이상의 산소를 투여하지 않는다. 또한 4L/분 이상의 유량은 비강과 인두점막을 자극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하며, 콧구멍 윤활제로 바셀린을 사용하면 캐뉼러의 구멍을 막을 위험이 있다. 간호사는 점막이 건조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습화기구를 사용하며, 장기간 사용 시 귀 뒷부분에 패드를 대어 비강 및 귀 주변 피부에 손상을 예방해야 한다. 비강캐뉼러는 단순하며 편안하고 적용이 쉽고, 먹고, 말하고, 기침하는 등 비교적 자유롭다는 장점이 있지만, 제 위치에 놓이기 어렵고, 쉽게 잘 빠지며, 비강 및 귀 주변 피부 손상 위험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2.2. 단순 안면마스크

단순 안면마스크는 단기간 산소를 투여하거나 응급상태에서 5~10L의 산소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한다. 호기된 공기의 재호흡을 막기 위해 최소 5L/분의 유속이 필요하다. 단순 안면마스크를 사용하기 전 2...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 (현문사, 2018), 호흡기장애 대상자 간호
기본간호학 (현문사, 2016), 산소요법
분당서울대학교병원 호흡기내과, ”환자교육-정량식흡입기”
서울아산병원, “신경계 사정: 의식, 동공, 운동기능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천식”,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1』 9판개정, 수문사, (2021), pp. 597-670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2』 9판개정, 수문사, (2021), pp. 1121-1122, 1135-1136
임경춘 외, 『건강사정』 8판, 학지사메디컬, (2020), pp. 49, 519
한양대학교병원, “한양 story-[만성질환, 꾸준한 관심이 답이다] 천식치료, 증상 완화하고 면역력 높인다”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