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애견산업 현황과 전망 배경
통계청에서 발표한 2020 인구주택 총 조사에 따르면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구가 전체가구의 15%를 차지한다. 국내 반려동물 인구 1500만 시대가 도래하면서 애견시장이 급부상하고 있다. 이러한 시장 변화에 발맞추어 미래의 애견시장 전망을 조사하고 시의 적절한 마케팅 자료를 만들어 변화에 대응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저출산, 고령화, 1인 가구 증가하고 동물을 기르는 사람이 늘면서 애견시장은 해마다 커지고 2027년까지 6조원대의 시장으로 규모가 커질 전망이다. 또한 애견에 대한 인식이 단순히 동물이 아닌 사회구성원으로 인식이 확대되어, '펫코노미'란 단어의 등장과 애완동물이란 말 대신 반려동물이란 단어를 쓰는 것을 통해 알 수 있다. 동물보호, 동물복지 등에 대한 인식확산으로 미용, 여행, 보험, 장묘, 제도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애견 용품, 사료, 서비스의 고급화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애완동물에 대한 인식 변화와 관련 산업의 급속한 발전에도 불구하고 국내 반려동물 용품 시장현황 분석과 관련된 조사가 부족한 실정이다.
1.2. 애견시장 성장 분석
통계청에 따르면 2020년 국내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구가 전체 가구의 약 30%를 차지하고 있다. 국내 반려동물 인구가 1,500만 명을 넘어서면서 애견시장이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다. 저출산, 고령화, 1인 가구 증가 등 인구구조의 변화와 더불어 반려동물에 대한 애정이 높아짐에 따라 애견시장의 양적, 질적 성장이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애견시장 규모는 2017년 14.8억 달러에서 2026년에는 27.9억 달러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관련 물품 디자인 출원 수가 2020년 기준 953건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34% 증가하는 등 다양한 제품들이 시장에 등장하고 있다.
이처럼 애견시장의 급성장과 더불어 시장 참여자들도 다양해지고 있다. 특허청 조사에 따르면 애견 관련 상표 출원이 연평균 약 12% 증가하는 등 기업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스타트업을 포함한 중소기업의 시장 진출도 활발해지고 있다. 애완동물이라는 단순한 개념에서 벗어나 반려동물을 가족의 일원으로 인식하는 '펫펨족', '맞벌이 부부딩펫족', '반려묘 집사' 등의 신조어가 등장하는 등 사회적 관심과 인식의 변화도 두드러지고 있다.
따라서 인구구조 변화와 반려동물에 대한 인식 변화, 시장 참여자 다양화 등을 고려할 때 앞으로 애견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1.3. 애견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
반려동물을 가족처럼 생각하는 현상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반려동물을 가족처럼 생각하는 펫펨족, 아이 없이 반려동물을 키우는 맞벌이 부부딩펫족, 반려묘를 기르는 집사 등 다양한 신조어의 생성은 반려동물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방증하고 있다. 반려동물을 가족의 한 구성원으로 여기는 문화가 확산되어 애견 시장 산업의 프리미엄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과거 반려인들의 편리성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던 애견 제품의 효용가치가 반려동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변화되고 있다. 특히 펫푸드 분야에서 단순한 건식 사료를 넘어서서 사람들이 지속적으로 먹을 수 있는 재료로 만든 식품, 영양식 등 스펙트럼이 다양해지고 있다. 반려동물에 대한 인식 확산으로 미용, 여행, 보험, 장묘, 제도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애견 용품, 사료, 서비스의 고급화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그리고 '펫코노미'란 단어의 등장과 애완동물이란 말 대신 반려동물이란 단어를 쓰는 것을 보면 애완동물에 대한 달라진 위상의 변화를 실감할 수 있다.
2. 본론
2.1. 애견시장 현황
2.1.1. 국내 반려동물 양육 현황
우리나라의 반려동물 양육가구 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2020년 기준 국내 반려동물 양육가구 비중은 전체 가구의 약 28%이다. 전년대비 약 8% 증가한 수치이다. 즉, 300만 가구 이상이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는 셈이다. 반려동물 중에서도 개 양육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2020년 국내 반려견 양육 가구는 전체 반려동물 양육 가구의 61.1%를 차지하였다. 이처럼 반려동물, 특히 반려견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이는 저출산, 고령화, 1인 가구 증가 등 사회 구조적 변화와 함께 반려동물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했기 때문이다. 반려동물을 가족의 일부로 여기는 '펫펨족', '맞벌이 부부딩펫족', '집사' 등의 신조어가 등장한 것도 이러한 변화를 잘 보여준다. 이에 따라 반려동물 관련 제품과 서비스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