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지식거래소와 맥도날드화
1.1. 지식 공유 커뮤니티의 등장과 발전
최근 인터넷 상에서 지식을 주고받는 지식 공유 커뮤니티가 크게 유행하고 있다. 네이버, 엠파스, 야후 등의 검색사이트들은 이제 더 이상 단순히 사용자로 하여금 사이버스페이스 내의 지식들을 찾아서 보여주는 역할만이 아니라, 사용자들을 이어주어서 이들 간에 지식을 주고받게 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여기서 활발한 활동과 질 높은 대답을 한 사용자는 포인트를 얻어서 이를 통해 메일용량을 늘리거나 복권 등을 살 수 있는 혜택을 얻는다. 이러한 지식의 공유는 단순한 질문-답변 식의 1회성 묻고 답하기에서 그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서로 관련분야에 대한 전문지식의 교환, 그리고 이후에도 검색이 가능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획기적인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지식 공유 커뮤니티에서는 웬만한 문제에 대한 답변은 주제어를 검색함으로써 찾아낼 수 있다. 만일 커뮤니티 내에 등록되지 않은 지식이 있을지라도 질문만 하면 빠르면 몇 분, 늦어도 하루 이틀 이내에 반드시 그 대답을 들을 수 있다. 이렇게 나온 대답들에 대해서 질문자는 질문에 대한 답 중에서 가장 유용한 답을 골라 포인트를 주는 식으로 그 지식의 가치를 계량화한다. 이렇게 소비된 지식은 그대로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계속 축적되고 이후에도 여전히 참고자료로서의 가치를 지님으로써, 역사가 오래 되고 구성원들의 수가 많은 지식 공유 커뮤니티는 가히 살아있는 지식의 보고(寶庫)라고 할 수도 있다.
1.2. 해피캠퍼스: 지식거래소의 등장
해피캠퍼스는 지난 2000년, 에이전트소프트의 김정태 사장이 만든 지식거래소이다. 해피캠퍼스와 다른 지식 공유 커뮤니티와의 결정적인 차이는 회원들간의 지식 공유가 유료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해피캠퍼스에서 가장 많이 거래되는 것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리포트이다. 소비자는 우선 해피캠퍼스 내에서 자신이 원하는 주제에 대하여 검색을 한다. 검색을 해서 나온 리포트들 중에서 다른 이들이 올린 평가와 가격 등을 종합하여 무엇을 구입할 지를 판단하고 구입을 한다. 만일 자신이 원하는 자료가 없다고 해도 타 지식 공유 커뮤니티와 동일한 방식으로 질문을 한다면 며칠 내로 반드시 자료가 도착한다. 이러한 방식은 마치 패스트푸드 음식을 주문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