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국의언어이중부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다문화 가정과 이중 언어 교육의 필요성
1.2. 연구 목적과 필요성
2. 이중언어의 개념과 유형
2.1. 이중언어의 정의 및 특징
2.2. 동시적 이중언어 발달과 순차적 이중언어 발달
2.3. 이중언어 습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 영아기 이중언어 제공의 긍정적인 측면
3.1. 균형적인 언어 발달 지원
3.2. 인지 및 상위인지 능력 향상
3.3. 치매 증상 발현 지연
4. 영아기 이중언어 제공의 부정적인 측면
4.1. 상대적 어휘력 제한
4.2. 불필요한 외래어 사용
4.3. 모국어 미묘한 차이 인식 어려움
5. 영아기 이중언어 제공을 위한 제언
5.1. 놀이 중심의 자연스러운 언어 습득
5.2. 모국어와 제2언어의 균형적 발달 도모
5.3. 전문가 및 부모 교육 지원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다문화 가정과 이중 언어 교육의 필요성
우리나라 사회에서 다문화 가정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20년 기준 우리나라 다문화 가구 및 가구원은 1,093,228 가구에 달하며, 매년 다문화 혼인 건수도 증가하고 있다. 특히 외국인 여성과 한국인 남성의 결혼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처럼 다문화 가정이 늘어남에 따라 이들 가정의 자녀들이 증가하고 있는데, 이 아동들이 겪는 언어적, 정서적, 사회적 어려움들이 주목받고 있다. 다문화 가정 아동들은 부모가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여 언어 습득에 어려움을 겪거나, 이중문화에 대한 혼란으로 정서적 문제를 겪는 등 다양한 문제에 직면해 있다. 이에 따라 다문화 가정 아동의 건강한 성장을 위해서는 이들에 대한 이중 언어 교육이 필요하다. 이중 언어 교육은 다문화 가정 아동의 언어 발달을 지원하고, 이중문화에 대한 이해와 정체성 형성을 도와 전인적인 발달을 이루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 아동의 이중 언어 교육은 사회적으로 요구되는 필요불가결한 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1.2. 연구 목적과 필요성
다문화가정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한국 사회에서 이중언어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영아기 이중언어 제공의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을 면밀히 살펴봄으로써 이중언어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영아기는 언어 발달의 결정적인 시기이므로 이중언어 습득이 균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아기 이중언어 제공의 장점과 단점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영아의 건강한 언어 발달을 도모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다문화가정의 영아뿐만 아니라 모든 영아의 이중언어 교육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영아기에 이중언어를 제공할 때의 긍정적인 측면은 균형적인 언어 발달 지원, 인지 및 상위인지 능력 향상, 치매 증상 발현 지연 등이 있다. 반면, 상대적 어휘력 제한, 불필요한 외래어 사용, 모국어 미묘한 차이 인식의 어려움 등의 부정적인 측면도 존재한다. 이에 따라 영아기 이중언어 제공을 위해서는 놀이 중심의 자연스러운 언어 습득, 모국어와 제2언어의 균형적 발달 도모, 전문가 및 부모 교육 지원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
2. 이중언어의 개념과 유형
2.1. 이중언어의 정의 및 특징
이중언어란 두 가지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일반적으로 모국어인 한국어와 제2언어로서의 영어를 의미한다. 현대 사회는 세계화되어 다문화 가정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이중언어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이중언어는 동시적 이중언어 발달과 순차적 이중언어 발달로 분류할 수 있다. 동시적 이중언어 발달은 영아가 출생 시부터 두 가지 언어에 동시에 노출되어 자연스럽게 두 언어를 습득하는 경우이다. 반면 순차적 이중언어 발달은 영아가 모국어인 제1언어를 먼저 습득한 후 제2언어를 학습하는 경우이다.
이중언어 사용자와 단일언어 사용자의 뇌가 다르게 나타나는데, 이중언어 사용자는 단일언어 사용자에 비해 뇌의 왼쪽 반구에 더 진한 회백질을 가지고 있다. 이는 만 5세 전에 제2언어를 학습한 사람에게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특징으로, 결정적 시기 가설을 뒷받침하는 근거가 된다. 결정적 시기 가설은 더 어린 나이에 제2언어를 습득하면 성인이 되어 제2언어를 학습하는 것보다 뛰어난 언어 습득력을 보인다는 것이다.
이중언어 습득에는 개인적 요인과 사회문화적 요인이 영향을 미친다. 개인적 요인으로는 사회성, 제1언어 습득력 등이 있고, 사회문화적 요인으로는 제2언어 학습에 대한 동기가 취업이나 능력 개발인지...
참고 자료
통계청, 2020, 다문화 가구 및 가구원-시군구,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JD1501&conn_path=I2
최보람(2021), 다문화가정 아동 대상 상담연구 동향, 동국대학교 불교문화대학원 불교아동심리치료전공, 석사학위 논문.
[단독] “교내 차별 너무 힘들어요”… 학업 중단 30%가 ‘부적응’ [학교 밖 떠도는 다문화 청소년들], 세계일보, 2022년 2월 22일 기사, 안병수,박유빈 기자.
http://www.segye.com/newsView/20220221514814?OutUrl=naver
건강가정론 교재 참조.
곽금주,「발달심리학」, 학지사, 2016, pp. 257-261.
성미영, 권윤정, 유주연,「영유아 언어지도」, 학지사, 2015, pp. 85-89.
임연,「이중언어교육」, 북랩, 2015, pp. 6-7, 20-28.
황혜신,「유아의 조기영어교육과 이중언어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 한국생활과학회, 한국생활과학회지 제16권 제4호, 2007, pp. 699-710.
황혜신,「조기영어교육이 유아의 이중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 한국생활과학회지 제13권 제4호, 2004, pp. 497-506.
우남희, 서유헌, 강영은, 신정숙,「영유아에 대한 조기 영어교육의 적절성에 관한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정책연구과제, 2002, pp. 10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