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수술후회복지연의위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수술 후 회복지연의 개념
1.2. 심장재활의 정의와 중요성
1.3. 심장동맥우회술 후 재활의 필요성
2. 심장재활 프로그램
2.1. 예방 프로그램과 재활 프로그램
2.2. 심장재활 교육 내용
2.3. 심장재활 운동 프로그램의 단계별 특징
2.4. 관상동맥우회술 후 주의사항
3. 심장재활 간호과정
3.1. 대상자 사정
3.2. 간호진단
3.3. 간호목표 및 계획
3.4. 간호중재
3.5. 간호평가
4. 결론
4.1. 심장재활 간호의 중요성
4.2. 대상자 교육의 필요성
4.3. 지속적인 관리의 필요성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수술 후 회복지연의 개념
수술 후 회복지연은 삶, 건강과 안녕을 유지하는 활동을 시작하고 수행하는 데 요구되는 수술 후 회복기간이 길어지는 것이다. 수술 후 회복이 늦어짐에 따라 건강에 위협이 될 만큼 취약한 상태에 놓이게 된다. 수술 후 회복지연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데, 대표적인 요인으로 수술 방법, 개인의 건강 상태, 수술 전후 관리 및 재활 정도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수술 후 회복지연을 예방하고 빠른 회복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요인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수술 후 재활 운동 및 교육, 합병증 관리 등이 핵심적인 간호중재가 될 수 있다.
1.2. 심장재활의 정의와 중요성
심장재활은 심장질환자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상태를 가능한 최적으로 하기 위한 총체적 노력이다. 심장병 그 자체만을 치료하겠다는 개념을 뛰어 넘어서 심장병 환자의 전인적인 치료와 사후 관리까지도 함께 하겠다는 개념으로 운영되고 있는 의료분야이다. 심장재활은 심장기능의 증진을 위한 운동 프로그램을 통해 심장질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한다. 이를 통해 심근경색증과 같은 심장질환의 발생을 예방하고 환자의 예후를 향상시켜 궁극적으로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한다.
1.3. 심장동맥우회술 후 재활의 필요성
심장동맥우회술 후 재활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심장수술 후 신체 기능의 저하를 예방하고 조기에 일상생활로의 복귀를 돕기 위해 심장재활이 필요하다. 심근경색증이나 관상동맥질환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운동 능력 감소, 폐기능 저하, 근육 약화 등의 합병증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해 체계적인 재활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또한 심리적 불안과 우울감을 감소시키고 긍정적인 신체상 형성을 도와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관상동맥우회술 후 환자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기능을 최적의 상태로 회복시키기 위해 심장재활이 반드시 필요하다.
2. 심장재활 프로그램
2.1. 예방 프로그램과 재활 프로그램
심장기능의 증진을 위한 운동 프로그램은 그 목적에 따라 예방 프로그램과 재활프로그램으로 나뉜다. 예방 프로그램은 외견상 건강하거나 심장질환의 발병가능성이 많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며, 재활 프로그램은 심근경색증 등의 심장질환을 가지고 있거나 심장 수술을 받은 사람을 대상으로 한다.
예방 프로그램은 심장질환의 발병가능성이 많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운동 등을 통해 심장질환을 예방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된다. 이를 통해 심장질환으로 인한 피해를 사전에 차단하고자 한다.
재활 프로그램은 심근경색증 등의 심장질환을 가지고 있거나 심장 수술을 받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이들의 심장 기능과 신체 기능을 회복시키고자 하는 목적에서 운동 요법을 중심으로 한 재활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재활 프로그램은 발병 후 기간, 장소, 운동부하검사 결과에 따라 1기에서부터 4기까지 단계로 나뉘어 시행된다. 제1기 재활은 급성기 환자를 대상으로 한 제한적인 운동 프로그램이며, 제2기 재활은 회복기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본격적인 운동 중심의 재활 프로그램이다. 제3기와 제4기 재활은 운동 능력의 심화와 일상생활의 복귀를 목적으로 한다.
이처럼 심장재활 프로그램은 심장질환 발병 예방을 위한 예방 프로그램과 심장질환자의 회복을 위한 재활 프로그램으로 나뉘어 운영된다. 예방 프로그램은 잠재적인 위험군을 대상으로 하고, 재활 프로그램은 이미 심장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그 목적과 대상이 구분된다.
2.2. 심장재활 교육 내용
심장재활 전문간호사는 심장질환에 대한 이해와 치료과정을 설명하며, 심장질환을 일으킬 수 있는 위험인자를 감소시키고 조절하기 위한 목표를 제시하고 심장재활팀과 함께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다. 관상동맥질환의 증상과 치료, 위험인자의 규명과 조절방법, 응급대처방법, 심장질환 후 회복과 일상생활 활동에 대한 지침, 심장질환 환자에서의 운동의 중요성과 그 방법 등을 전반적인 교육내용으로 다룬다.
환자의 교육 수준과 건강상태에 따라 개별화된 교육이 이루어지며, 심장질환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질병관리를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안내한다. 또한 심장재활 프로그램의 각 단계별 특징과 운동방법, 주의사항 등을 안내하여 환자가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재활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를 통해 환자는 자신의 건강상태를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되며, 심장재활에 대한 동기부여와 참여도가 향상된다. 또한 심리...
참고 자료
심장재활 정의│대한재활의학회│ https://www.karm.or.kr/info/disease11.php
심장재활에서의 운동 프로그램│김좌준, 김대경, 김민수│대한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학회│2010년 9월 제 8권 제3호
삼성서울병원 심장재활예방팀│심장재활 교육과 상담, 심장재활 프로그램의
단계│http://www.samsunghospital.com/dept/main/index.do?DP_CODE=XB301&MENU_ID=002007
CASE│심장재활의 프로그램│서울아산병원 심장재활 간호사 유영숙│
심장병 환자 운동방법│김명화, 변재종, 최희남│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2004
심장동맥우회술│693p│성인간호학 상권│현문사 제 7판│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main.asp
Lippincott Advisor,
http://advisor.lww.com.ssl.ymlproxy.yonsei.ac.kr:8000/lna/home.do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2016), 여성건강간호학2, 수문사
질병관리본부,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health.cdc.go.kr/health/HealthInfoArea/HealthInfo/View.do?idx=1320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여성건강간호학 제10판 I』 , 수문사 , 2020 , 324~326쪽, 363~372쪽.
황옥남 외 , 『성인간호학 제7판 상권』 , 현문사 , 2019 , 182~195쪽.
N 의학정보 (자궁근종 [myoma uteri]) ┃ 건강정보 ┃ SNUH 서울대학교병원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
자궁의 평활근종 ┃ 질환백과 ┃ 의료정보 ┃ 건강정보 ┃ 서울아산병원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822&tabIndex=0
복강경 자궁절제술 ┃ 검사/시술/수술정보 ┃ 의료정보 ┃ 건강정보 ┃ 서울아산병원
http://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204
건강정보 < 질병정보 – 인제대학교백병원
https://www.paik.ac.kr/pmc/health/disease_info_view.asp?p_sid=335&p_cate=A
자궁근종으로 인한 자궁적출술 ┃ 질병정보 ┃ 건강 정보 ┃ 아주대학교병원
http://hosp.ajoumc.or.kr/HealthInfo/DiseaseView.aspx?ai=314&cp=1&sid=
심부정맥혈전증 ┃ 질환백과 ┃ 질환정보 ┃ 건강정보 ┃ 삼성서울병원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content/contenView.do?CONT_SRC_ID=09a4727a8000f2ae&CONT_SRC=CMS&CONT_ID=1280&CONT_CLS_CD=00102000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