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급성 골수성 백혈병(Acute Myeloid Leukemia, AML)은 골수의 조혈모세포에서 발생하는 악성 혈액암이다. AML은 골수에서 조혈세포의 증식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여 말초혈액이나 기타 장기로 침윤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AML은 골수에서 생성되는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 등 정상 혈액세포의 생성을 저해하여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AML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효과적인 간호중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AML의 정의, 원인, 증상, 병태생리, 분류, 진단검사 및 치료 방법 등을 문헌고찰하고, AML 환자에 대한 간호과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AML 환자의 효과적인 간호 중재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2. AML(Acute Myeloid Leukemia) 질환 개요
2.1. AML 정의
골수 내의 골수구 계열의 세포를 침범하는 악성 혈액 질환으로, 백혈병 세포가 골수 내에서 증식하여 말초 혈액이나 기타 장기를 침습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골수는 뼈 중심에 있는 부드럽고 스펀지 모양의 조직으로, 골수에는 조혈모세포가 존재하며, 이 조혈모세포는 미성숙한 세포로 주로 세 가지 혈구로 분화하고 성숙하여 말초혈관으로 나온다. 혈구에는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이 있는데, 백혈병이란 골수와 혈액에 암세포가 자라는 것으로 정상세포가 성숙하지 못하고 유전자 결함으로 인해 죽지 않고 끊임없이 성장하는 병이다. 어느 골수 세포에서 발생했느냐에 따라 골수구성과 림프구성으로 나뉜다.
2.2. AML 원인
다음은 AML(Acute Myeloid Leukemia) 질환의 원인에 대한 내용이다.
AML의 원인은 유전적 소인과 환경적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유전적 소인으로는 다운증후군, 클라인펠터증후군, 파타우증후군, 판코니증후군과 같은 유전질환이 있다. 환경적 요인으로는 방사선 노출, 화학물질 노출 등이 있다.
원자폭탄 투여지역에 거주하거나, 치료를 위한 엑스레이선에 노출된 경우, 라듐에 자주 노출되는 노동자 등 방사선에 많이 노출된 경우 AML이 발병할 수 있다. 또한 벤젠, 페트로리움 제품, 페인트, 방부제, 제초제, 살충제 등의 화학약품에 지속적으로 노출된 경우 AML의 위험요인이 될 수 있다. 항암제도 AML의 발병 원인이 될 수 있다.
2.3. AML 증상 및 병태생리학적 특징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은 골수 내의 골수구 계열 세포를 침범하는 악성 혈액 질환이다. 백혈병 세포가 골수 내에서 증식하여 말초 혈액이나 기타 장기를 침습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골수는 뼈 중심에 있는 부드럽고 스펀지 모양의 조직으로, 조혈모세포가 존재하며 이 조혈모세포는 주로 세 가지 혈구, 즉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으로 분화하고 성숙하여 말초혈관으로 나온다. 백혈병은 골수와 혈액에 암세포가 자라는 것으로, 정상세포가 성숙하지 못하고 유전자 결함으로 인해 죽지 않고 끊임없이 성장하는 병이다.
AML 환자의 주요 증상은 심한 감염, 빈혈과 함께 창백, 피로, 기면, 산소결핍, 혈소판 감소로 인한 출혈이다. 백혈구의 급속한 증식으로 인해 적혈구와 혈소판 생성이 장애를 받아 이러한 증상이 발생한다. 또한 비대된 기관이 장기를 압박하여 비장종대, 간비대, 림프선종 등이 나타나며, 극도로 많아진 백혈구가 간, 비장, 림프결절과 골수에 축적되어 팽창을 유발한다. 신진대사 항진으로 인한 허약, 창백, 체중감소가 나타나고, 많은 양의 영양소를 필요로 하는 백혈구 생성 증가 및 파괴는 노폐물을 증가시켜 고요산혈증으로 인한 산통증, 신결석증, 감염, 후기에 요독증을 동반한 신부전으로 진행된다. 또한 항백혈병 약물 사용으로 거대한 수의 백혈구가 파괴되어 많은 양의 요산이 혈중으로 방출되어 후기에 나타나는 신부전은 비정상 백혈구의 신장 침윤에 의해 발생한다. 중추신경계 증후로서 두통, 지남력 상실이 나타나는데, 이는 비정상적인 백혈구가 중추신경계에 침윤되기 때문이다. 림프선종과 골통은 다량의 백혈구가 림프절과 골수에 침윤되어 발생한다.
2.4. AML 분류
AML의 분류
AML은 아세포의 종류와 성숙도에 따라 크게 M1부터 M6까지 6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M1은 미분화 골수성 백혈병으로 골수 아세포(myeloblasts)가 주로 존재한다. M2는 골수성 백혈병으로 골수 아세포, 전골수세포(promyelocytes), 골수세포(myelocytes)가 관찰된다. M3는 전골수성 백혈병으로 과립성 전골수세포(hypergranular promyelocytes)가 특징적이다. M4는 골수성 단핵구성 백혈병으로 전골수세포, 골수세포, 전단핵세포(promonocytes), 단핵세포(monocytes)가 있다. M5a와 M5b는 다핵구아세포성 백혈병으로 단핵구 아세포(monoblasts), 단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