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건축공사용 콘크리트와 관련된 신재생 재료, 콘크리트 미래형 자재를 이용한 건축물 사례조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건축공사용 콘크리트와 관련된 신재생 재료
2.2. 콘크리트 미래형 자재를 이용한 건축물 사례조사
2.3. 친환경 건축물과 지속가능성
2.4. 콘크리트 제조 과정의 환경 영향
2.5. 친환경 콘크리트 기술의 등장
2.6. 친환경 콘크리트의 활용 사례
2.7. 콘크리트 대체 재료의 탐색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전 세계적으로 기후 변화와 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친환경 건축에 대한 관심과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건물은 에너지 소비와 이산화탄소 배출에 큰 영향을 미치는 만큼, 건축물의 지속가능성과 친환경성이 매우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건축물에 사용되는 주요 자재인 콘크리트가 환경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크다는 점이 지적됨에 따라, 콘크리트를 대체하거나 보완할 수 있는 신재생 자재 및 미래형 건축 자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보고서에서는 건축공사용 콘크리트와 관련된 신재생 재료와 콘크리트를 대체할 수 있는 미래형 자재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활용한 건축물의 사례를 조사하고자 한다. 친환경 건축 자재와 건축기술의 발전이 건축물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고 환경 보호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 본론
2.1. 건축공사용 콘크리트와 관련된 신재생 재료
콘크리트는 시멘트, 물, 모래, 자갈 등의 요소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중 시멘트 제조과정에서 다량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되어 환경오염의 주요 원인이 된다. 이에 따라 친환경 콘크리트 재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플라이애쉬는 화력발전소에서 석탄을 태울 때 발생하는 부산물로, 콘크리트에 20-30% 정도 혼합하면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다. 플라이애쉬 콘크리트는 작업성이 개선되고 수화열이 낮아 콘크리트 양생 시간도 늘어나지만, 장기적으로 강도와 수밀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고로 슬래그는 제철소에서 철을 생산할 때 발생하는 부산물로, 시멘트와 혼합하면 수화열이 낮아 이산화탄소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수화 과정에서 내구성과 장기강도가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실리카흄은 실리콘, 페로실리콘 제조 시 발생하는 폐가스를 여과하여 얻은 마이크로 실리카 입자로, 콘크리트의 강도와 수밀성을 높이는 데 활용된다. 실리카흄 콘크리트는 수중 콘크리트 작업에 많이 사용된다.
왕겨재는 쌀 도정 시 발생하는 부산물로, 화학성분이 시멘트와 유사하여 콘크리트 배합재로 활용할 수 있다. 왕겨재를 사용하면 실리카 함량이 높아져 반응성이 우수하다.
재활용 콘크리트나 폐유리, 폐타이어 등도 골재 대체 재료로 활용되고 있다. 이를 통해 건설 폐기물을 줄이고 천연 골재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처럼 다양한 산업 부산물과 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 콘크리트 재료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는 콘크리트 제조 과정에서의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이 되고 있다.
2.2. 콘크리트 미래형 자재를 이용한 건축물 사례조사
에코스톤은 천연 석재와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를 섞어 만든 신소재이다. 에코스톤은 천연 석재의 질감과 느낌을 보존하면서도 마모성은 콘크리트의 5배나 될 정도로 길어서 거의 영구적인 소재이다. 건축물의 외부 벽돌로도 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장 장식이나 바닥재로도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디자인과 색상으로 만들 수 있어서 마치 타일처럼 사용할 수 있는 건축 소재이다.
에코가라트는 화산재, 천연 점토로부터 추출한 '알로펜' 성분으로 만든 친환경 타일이다. 실내에 습도가 높을 때는 습기를 흡수해서 습도를 낮춰주고 건조한 날에는 습기를 방출해서 습도를 높여준다. 이러한 장점 덕분에 에코가라트는 욕실용 타일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국내의 건축물 중에는 삼성물산의 서초동 사옥과 관련해서 로이 유리에 대해 살펴볼 수 있다. 유리는 본질적으로 열 손실이 많고 외부의 열을 흡수해서 건물의 온도를 높이는 소재이다. 그래서 에너지 효율성의 측면에서 보자면 최악의 소재이다. 하지만 로이 유리를 사용하면 내부의 냉, 난방 효율이 극대화된다. 소프트 로이 유리를 사용한 삼성물산의 서...
참고 자료
정지나,김용석,이승민.[특집] 국내 친환경 건축물 사례분석.한국그린빌딩협회지 v.9 n.1
김규남.2016.6.1.지속가능한 건설 산업을 향한 친환경 콘크리트와 그 수요.국립교통과학기술진흥원
김민정.2021.6.9.저탄소 혼합물 사용, 탄소배출 않는 친환경 콘크리트 건물 세워진다.ESG경제
노승규,김형찬,이종연.2011.한탄강 홍수조절댐 RCD 공법 적용.콘크리트학회지 제23권 제6호
환경을 위하는 새로운 주거문화! 친환경 건축 재료와 건축물 알아보기.2018.11.27.현대자동차 홈페이지
(https://kids.hyundai.com/kidshyundai/AutomobileManagement/learnauto/automobileDet.kids?cotnSn=2995)
백종운.2015.9.14. 친환경 신소재 에코스톤 개발, 농어촌 생활공간 개선에 적합.한국농어민신문
이윤석.2012.Getting Greener 친환경 건축의 현실화.Korean Archetects
에이앤뉴스2017.1.9. 숲이 된 아파트, 밀라노 보스코 베르티칼레
이종혁.2012.1.12. 삼성물산, 서초 사옥 친환경인증 골드등급 받아.연합인포맥스
송설영, 구보경, 송승영(2004), 흙 및 시멘트 건축재료의 실내공기오염물질 방출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3권 4호
김범수(2019), 친환경 건축내장재의 물성 및 환경유해성에 관한 기초적 연구,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리엔건축_https://m.blog.naver.com/PostList.naver?blogId=leeandarchi
https://m.blog.naver.com/cnt_reporter/220928846222
https://blog.daum.net/chocohuh/1123542
https://m.cafe.daum.net/kopinyeoron/RZ5S/265
권양희·홍성걸(2016). 흡수성 물질과 초기 밀봉양생이 황토 모르타르의 건조수축과 압축강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제20권 제6호
최경옥(2015). 흙 건축 특허의 건축적 특성 연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주희(2019). 국내 황토의 풍화도 평가에 따른 산지별 물리적 특성,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4-6
최희용(2012). 흙건축의 동향과 현대적 이용,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12, No.5
https://kor.architecturaldesignschool.com/carbon-nanotubes-kevlar-37115
https://m.blog.naver.com/kim950605/221668116757
https://placetech.net/ko/news/graphene-concrete-revolution-kicks-off-in-wiltshire-gym/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standardgraphene&logNo=221596202835
https://conpaper.tistory.com/95233
https://www.danpalkorea.co.kr/environmental/how-to-select-the-right-green-building-materials-2/
LH한국토지주택공사 - 건축분야에 3D 프린팅 적용기술을 위한 기초조사 연구
한국 건설연구원 기고/칼럼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0318705&memberNo=2247263
https://www.m-i.kr/news/articleView.html?idxno=838320
https://blog.naver.com/hongjig/222584805265
https://www.hani.co.kr/arti/science/technology/971032.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