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식물조직배양 담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실험 재료 및 방법
2.1. 담배의 잎 절편체로부터의 기관형성
2.2. 담배의 잎 절편체 유래 신초의 발근
3. 실험 결과
3.1. 담배의 잎 절편체로부터 기관형성
3.2. 담배의 잎 절편체 유래 신초의 발근
3.3. 총 실험결과
4. 고찰
5. 인용문헌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담배는 담배 잎에 함유된 약효로 가치가 높으며 상업적으로도 매우 중요하다. 식물조직배양은 담배가 빠르게 번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업적인 재배에서 유용하다. 식물조직배양은 식물의 전형성능을 이용하여 무균상태에서 환경을 조절하고, 식물체의 일부인 조직, 기관 등에서 완전한 식물체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이처럼 재생이 가능한 식물인 담배의 조직을 배양시키는 식물조직배양은 식물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매우 필요하다. 담배의 일부를 이용하여 완전한 식물체를 얻어내기 위한 첫번째 실험은 담배 잎의 절편체로부터 기관형성을 하는 것이다. 담배 잎의 절편체를 이용해서 신초, 뿌리, 캘러스, 저장기관 등의 기관형성을 유도한다. 이 실험의 주된 목적은 생장조절제의 농도 비율(옥신, 사이토키닌)을 조절하거나 빛의 유무(명배양 혹은 암배양), 절편체의 치상방향(앞 혹은 뒤) 등의 방법을 각각 다르게 사용해서 생기는 변화와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이다. 배양 이후에 생기는 줄기, 뿌리 같은 기관과 캘러스가 형성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때 형성된 신초를 이용하여 기내에서 발근을 유도하는 것이 두 번째 실험이다. 만약 이식과정에서 뿌리가 제대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면 신초가 죽기 때문에 발근 유도는 신초 형성만큼 중요한 실험이다. 두 번째 실험을 통해서 발근이 이루어진 소식물체는 활착과정을 거쳐 토양에 이식할 수 있게 된다.
2. 실험 재료 및 방법
2.1. 담배의 잎 절편체로부터의 기관형성
실험 재료는 MS배지와 생장조절제를 첨가한 기관분화용 배지를 사용한다. 기관분화용 배지는 총 4가지로 구성되는데, 첫째는 생장조절제를 첨가하지 않은 MS배지이다. 둘째는 NAA 0.1mg/L가 첨가된 MS배지이고, 셋째는 NAA 0.1mg/L와 BA 0.1mg/L가 첨가된 MS배지이다. 마지막으로 NAA 0.1mg/L와 BA 1.0mg/L가 첨가된 MS배지이다.
실험 방법은 소독된 클린벤치 안에서 담배 잎을 채취한 후 절편체를 제작한다. 잎의 중심부에 있는 엽맥을 10mm 두께로 남기고 주변의 엽신을 제거하여 10X10mm 크기의 사각형 모양으로 절단한다. 이렇게 준비된 담배 잎 절편체를 배지 위에 치상한다. 명배양 조건과 암배양 조건에서 배양을 진행한다.
담배 잎 절편체를 배양한 결과, 명배양 조건에서는 변화가 상대적으로 적었다. 특히 NAA 0.1mg/L와 BA 1.0mg/L가 첨가된 D배지에서만 신초가 형성되었다. 그러나 D배지에서 BA의 농도를 더 높게 하면 오히려 뿌리 형성률이 낮아졌다. 명배양 조건에서는 뿌리가 전혀 형성되지 않았다.
반면 암배양 조건에서는 신초와 뿌리의 형성률이 높았다. 생장조절제를 첨가하지 않은 A, B배지에서도 잎이 자랐다. 이를 통해 빛의 유무에 따라 기관 형성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캘러스 형성...
참고 자료
기초에서 응용까지 식물조직배양/ D. E. Evans, J.O.D Coleman, A. Kearns/ 월드사이언스/ 63page
배창휴,양덕춘,이효연. 2000. "담배 (Nicotiana tabacum L. cv. BY-4) 잎절편의 기관분화에 대한 항생제 carbenicillin의 auxin 유사효과." 식물생명공학회지 27.6:469-4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