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응급의료 체계 변화 과정 및 문제점 개선방안

  • 1
  • 2
  • 3
  • 4
  • 5
  • 6
  • 7
  • 8
>

상세정보

소개글

"국내외 응급의료 체계 변화 과정 및 문제점 개선방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국내외 응급의료 체계 변화 과정 및 문제점 개선방안
1.1. 응급의료 체계의 구성요소
1.2. 응급의료 체계 변화 과정
1.3. 국내 응급의료 체계의 문제점
1.4. 국내 응급의료 체계 개선방안
1.5. 국외 응급의료 체계의 특징
1.6. 국외 응급의료 체계 변화과정

2. 가슴압박소생술(hands-only CPR)
2.1. 가슴압박소생술 도입의 과학적 근거
2.2. 가슴압박소생술 권장 상황

3. 심실세동과 무수축의 차이
3.1. 심실세동 정의 및 치료과정
3.2. 무수축 정의 및 치료과정
3.3. 심실세동과 무수축의 차이점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국내외 응급의료 체계 변화 과정 및 문제점 개선방안
1.1. 응급의료 체계의 구성요소

응급의료 체계의 구성요소이다. 응급의료 체계는 응급환자의 발생부터 병원에서의 응급치료와 재활에 이르기까지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응급의료 체계의 구성요소에는 인력, 신고접수 및 반응, 교육 및 훈련, 정보·통신체계, 이송체계, 응급의료기관, 전문응급의료시설, 대중교육 및 정보제공, 감독 및 질 개선, 업무지침, 의료 지도, 재정 등이 있다.

응급의료 체계의 인력은 병원 전 단계에서 활동하는 최초 반응자, 응급구조사와 병원 단계에서 주로 활동하는 응급의학 의사, 응급전문 간호 인력 등으로 구성된다. 최초반응자는 일반인, 경찰, 공익요원 등 응급처치 교육을 받은 자들이며, 응급구조사는 병원 전 단계 응급의료 수행의 핵심 인력이다. 전문의와 응급전문간호사 등도 병원 전 단계에서 활동할 수 있다.

신고접수 및 반응 체계는 전화를 통해 접수되며, 고유 번호(한국의 경우 119, 112)로 신고받아 구급대 출동, 병원 안내, 응급처치 지도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인력에 대한 교육 및 훈련은 직종별로 수준에 맞게 기본 소생술부터 전문교육과 모의훈련까지 다양하게 이루어진다. 응급의료 체계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교육과 평가, 환류가 중요하다.

정보·통신체계는 응급의료 체계의 각 구성요소와 관리자를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신고접수, 의료지도, 정보교환 등을 가능하게 한다. 우리나라는 119구급대와 응급의료기관이 연계된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환자 이송은 병원 전 단계와 병원 간 이송으로 구분되며, 육로, 항공, 해상 등 다양한 수단을 사용한다. 응급환자의 중증도에 따라 일반구급차와 특수구급차를 운행하고, 항공이송과 해상이송도 이루어진다. 이송 병원 결정은 환자의 중증도와 병원의 역량을 고려하여 이루어진다.

응급의료기관은 24시간 응급환자를 진료할 수 있는 인력과 시설을 갖추어야 하며, 중앙응급의료센터, 권역응급의료센터, 전문응급의료센터, 지역응급의료센터, 지역응급의료기관 등으로 구분된다. 전문응급의료시설은 특수 질환이나 손상 환자를 위해 지정된다.

대중에 대한 교육과 정보제공은 응급의료 서비스 이용 방법과 예방법 등을 알리는 데 매우 중요하다. 정부와 지역사회가 주도적으로 대응하여 대중교육을 활성화하고 있다.

응급의료 체계의 감독 및 질 개선을 위해 신고접수, 현장처치, 병원치료 등 전 과정에 대한 표준평가 기준을 마련하고 평가-환류 체계를 구축한다.

응급의료 업무지침은 중증도 분류, 응급처치, 환자이송 등에 대한 기준을 제공하며, 현장응급처치 지침서와 프로토콜이 사용된다.

의료 지도는 응급의료 경험이 많은 의사나 구조사가 현장 응급처치에 대한 지시와 책임을 지는 것이다. 직접 지도와 간접 지도로 구분된다.

응급의료 체계 운영을 위한 재원은 세금, 응급의료서비스 이용료, 기부금 등을 통해 조달된다. 우리나라는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여 재원을 확보하고 있다.

응급의료 체계는 지역사회 자원이 협력하여 구축되는 공공재로서, 중앙정부와 지자체, 의료기관 등 다양한 주체가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운영된다.


1.2. 응급의료 체계 변화 과정

우리나라의 응급의료 체계는 199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발전해왔다. 국민의료보험 실시로 의료수요가 증가하면서 응급의료 체계 구축의 필요성이 강조되었고, 이후 응급의료 체계를 조직, 인력, 장비, 운용 측면에서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왔다.
최근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응급의료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응급의료 체계에 혼란이 야기되었고, 이를 점검하고 개선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과거부터 현재까지 우리나라 응급의료 체계의 변화 과정을 살펴보면, 1978년 의료보험 제도 실시를 시작으로 1979년 야간구급환자 신고센터 운영, 1982년 119 소방구급대로의 전환 등이 이루어졌다.
1987년 129 구명 안내센터가 설립되었고, 1989년 대한응급의학회 창립과 응급의학과 개설, 1991년 응급의료관리운영규칙 공포 및 정보-통신망 구축, 응급구조사 양성 등이 이루어졌다.
1993년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이 공포되었고, 1994년 이 법령이 시행되면서 현대 응급의료 체계 구축의 시발점이 되었다. 이후 1995년부터 응급구조사 자격시험이 시행되었고, 1996년 응급의학 전문의 자격시험도 시행되는 등 응급의료 체계가 제도화되어 갔다.
2000년대 들어서는 응급의료 정보시스템 구...


참고 자료

지역사회간호학 1. 안옥희, 김희걸, 양숙자 외 공저. 현문사. 2020.
응급의료서비스체계와 기본심폐소생술 교육. 엄태환. 대학서림. 2021.03.01
중앙응급의료센터
https://www.e-gen.or.kr/nemc/emergency_medical_services_system.do
후생신보
http://www.whosaeng.com/117621
우리나라 응급의료체계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오영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 Issue & Focus 105호, pp.1-8. 2011.09.23
코로나19 이후 응급의료 체계의 변화 진단 연구. 이희영 외 8명. 경기도공공보건의료지원 단. 2021
응급의료체계의 개선 방안 연구. 신상도. 국회예산정책처. 2018.
응급의료체계의 현황과 문제점. 유인술.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5.
중국의 병원 전 응급의료체계 개선방안. Wang Chengying, 최은숙.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16권 2호 53-66p. 한국응급구조학회 2012.
응급의료체계의 선진화 방안 연구. 박보라미. 국내석사학위논문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전라남도
대한심폐소생협회, 「2015 한국형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 2016.
정성희, 이수진, 「응급간호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2019.
조동완, 응급 환자를 위한 실시간 응급의료 안내 시스템 설계 및 구현,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국내석사, 2019.
이혜령, 인공호흡이 병행된 지속적 흉부압박 심폐소생술과 관습적 심폐소생술의 효율성 비교에 대한 실험연구, 을지대학교 보건대학원 국내석사, 2019.
이미진 외, 전문심장 소생술, 대한응급의학회지 제 27 권 제 4 호(Supplement), 2016.
김옥숙 외, 응급 및 재해간호(제2판 수정판), 2018-09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