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디지털 야구 박물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디지털 야구 박물관 개요
1.1. 디지털 야구 박물관 설립 목적
1.2. 디지털 야구 박물관 주요 특징
2. 디지털 야구 박물관 구성 및 기능
2.1. 메인 페이지
2.2. 프로야구사 카테고리
2.3. B-Story 카테고리
2.4. 아카이브 카테고리
3. 디지털 야구 박물관 데이터 구축 및 서비스
3.1. 영상, 문서, 실물자료 데이터 공개 현황
3.2. 데이터 검색 및 활용 기능
4. 디지털 야구 박물관 평가 및 개선방안
4.1. 장점
4.2. 개선점
5. 결론
5.1. 요약
5.2. 전망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디지털 야구 박물관 개요
1.1. 디지털 야구 박물관 설립 목적
디지털 야구 박물관은 한국야구위원회(KBO)가 보관 중인 약 2만여 점의 기록물과 역사적 자료들을 정리하고 아카이빙하여 2020년 3월 5일 개관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야구계의 숙원인 야구박물관 건립의 기반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또한 과거 야구의 향수를 그리워하는 팬들이 소중한 한국야구의 역사와 좀 더 가까이 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디지털 야구 박물관은 한국야구 역사의 보존과 해당 정보에 대한 팬들의 접근성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
1.2. 디지털 야구 박물관 주요 특징
디지털 야구 박물관은 종스크롤 화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단에 검색어 입력을 통해 원하는 자료를 찾아볼 수 있다. 또한 주요 키워드는 검색창 하단의 해시태그를 통해 바로 검색할 수 있다. B-Story 카테고리에서는 레전드 플레이어의 기록과 스토리를 확인할 수 있으며, 관련 기록물도 열람할 수 있다. 오늘의 야구역사 카테고리에서는 접속일의 날짜에 따라 지금까지 프로야구에서 일어났던 일을 확인할 수 있다. 하단에는 프로야구 주요장면 카테고리가 위치하고 있는데, 프로야구의 주요장면들을 연표로 정리하여 제공하고 있다. 또한 디지털 야구박물관 기록물 공개현황에서는 구단별, 연도별, 형태별 기록물을 검색할 수 있으며, 출처별 기록물의 시대현황을 인포그래픽으로 제공하고 있다.
2. 디지털 야구 박물관 구성 및 기능
2.1. 메인 페이지
디지털 야구 박물관 메인 페이지는 종스크롤 화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단에 검색어를 입력하여 원하는 자료를 찾아볼 수 있으며, 주요 키워드는 검색창 하단의 해시태그를 통해 바로 검색할 수 있다. B스토리를 통해 레전드 플레이어의 기록과 스토리를 볼 수 있으며, 스토리 하단에서 관련 기록물을 열람할 수 있다. 오늘의 야구역사 카테고리는 접속일의 날짜에 지금까지 프로야구에서 일어났던 일을 확인할 수 있는 코너이다. 하단에는 프로야구 주요장면 카테고리가 위치하고 있는데, 이 부분에서 프로야구의 주요장면들을 연표로 정리해 두었다. 기증안내 화면에서는 야구박물관에 물품을 기증한 개인과 단체의 목록과 기증절차를 안내하고 있다. 디지털 야구박물관 기록물 공개현황에서는 구단별, 연도별, 형태별 기록물 검색이 가능하며, 맨 아래쪽의 기록물 그래프 검색을 통해 출처별 기록물의 시대현황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2.2. 프로야구사 카테고리
1981년부터 2019년까지의 프로야구사 연표를 서비스하고 있다. 연도 일자별 검색이 가능하며 상단에 검색어를 입력하여 특정 키워드의 연표를 검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해당 연도의 프로야구 주요 일정과 사건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통합프로야구가 출범한 1982년부터 최근까지 한국 프로야구의 주요 역사와 과정을 연도별로 살펴볼 수 있어, 야구팬들이 한국 프로야구의 발전 과정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검색어 입력을 통해 사용자가 관심있는 특정 사건이나 선수, 팀 등을 중심으로 프로야구사를 조회할 수 있어 편의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디지털 야구박물관의 프로야구사 카테고리는 한국 프로야구의 발자취를 연대순으로 정리하여 제공함으로써 역사적 이해와 관심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
참고 자료
체육사, 영산대학교 평생교육원
조선 말기 야구의 도입과 강건한 기독교주의에 관하여, 2019. 김용현, 신의연, 김연수
디지털야구박물관(출처 : www.koreabaseballmuseum.com)
이슈메이커, 코로나 시대, '홈루덴스족'을 잡아라, 2020년 8월 27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9대 사회·경제적 변화 등 [주간농업농촌식품동향 Vol.21], 2020년 5월 25일.
아주경제, [新경제, 中企 현주소 ⓻포스트코로나]비대면의 일상화…“新소외계층 생길수도”, 2020년 8월 21일.
스포츠서울, ‘홈트 전성시대’…상표출원도 크게 증가, 2020년 7월 19일.
에너지경제, 코로나19로 스포츠 경기 또다시 ‘안갯속’…“게임으로 달랜다”, 2020년 8월 30일.
베리타스알파, 20대 10명 중 7명, ‘코로나 블루’ 겪고 있다. 2020년 8월 23일.
KTV국민방송, 안전 최우선 ‘언택트 여행’…차 캠핑 ‘차박’인기, 2020년 8월 18일.
투데이코리아, [코로나19가 가져온 변화②] 취미, 새벽배송, 집안일, 2020년 7월 24일.
데일리팝, 집에서 문화생활; 코로나19 변화에 맞게 즐기자 ‘언택트문화’, 2020년 5월 1일.
아시아경제, 코로나19로 유튜브‧틱톡‧인스타 쇼핑 급증한다, 2020년 8월 27일
데이터넷, 코로나19로 온라인 소비 전환 가속…유통 산업‧오프라인 양극화 ‘심화’, 2020년 8월 14일
한국리서치, 코로나19 인식조사 1차-14차, 한국리서치 정기조사 ‘여론속의 여론’.
동아일보, 늘어나는 코로나 블루… 치료제는 위로와 격려, 신수정, 2020년 8월 26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