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이론가 소개
로이(Sister Callista Roy)는 1939년 10월 14일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출생하였다. 1963년 마운트 성 메리 대학에서 간호학 학사학위를 취득하였고, 1966년 UCLA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1977년 UCLA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대학에서 신경과학 간호학 박사 후 연구원으로 재직하였다. 로이는 소아과 병동에서 근무하면서 아동들의 주요 신체적·정신적·사회적 변화에 반응하는 능력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1964-1966년 대학원 재학 중 존슨 교수의 간호모델 개발 촉구에 힘입어 연구를 시작하여 이론의 기초 개념을 발전시켰다. 1991년에는 Boston Based Adaptation Research in Nursing Society(BBARNS)를 설립하였고, 2017년 Boston College에서 은퇴 후 Carondelet의 St. Joseph 수녀원에 속하게 되었다. 로이의 주요 저서로는 1976년 및 이후 개정판인 1984년 출간작이 있으며, 다수의 수상 경력을 보유하고 있다.
2. 이론의 배경
2.1. 철학
인본주의적 원리(Humanism)는 앎과 가치가 중심이 되는 인간경험의 주관적 영역 및 인간을 존중하는 심리학과 철학의 광범위한 정신운동이다. 인간 자신의 창조력에 대한 믿음 또는 인간 자신의 대처능력이 안녕을 증진할 것이라는 믿음이 이 원리의 주된 특성이다.
로이 간호모형의 총체적 접근은 인본주의에 근거한다. 인간은 변화하는 환경과 끊임없이 상호작용하며 전체로서 기능하는 개방적 적응체계 또는 생물심리사회적인 존재이다.
철학적 가정으로는 인간들이 세계 및 신과 상호적인 관계를 가지고, 인간의 의미는 우주의 최고의 경지로서 수렴에 뿌리를 두며, 신은 창조의 다양성에 직접적으로 드러나고, 인간들은 인간의 창조적인 인식, 이해, 믿음, 능력을 사용한다는 것이다. 또한 인간들은 우주를 지탱하고 변화시킬 책임이 있다.
문학적 가정으로는 문학적 경험이 로이 적응 이론을 표현하는 방식에 영향을 주고, 문화의 중심 개념이 로이 적응 이론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며, 로이 적응 이론의 문화적 표현은 간호사정과 같은 실무 활동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로이 적응 이론이 어떤 하나의 문화 속에서 발전하는 경우, 간호사가 시사하는 바는 이 이론이 처음 개발되었던 문화 속에서의 경험과 다를 수 있다.
2.2. 관련 이론
<관련 이론>
심리생리학자 H. 헬슨(Harry Helson)의 적응이론은 로이의 적응이론 개발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헬슨은 인간을 적응체계로 보았으며, 적응을 환경변화에 긍정적으로 반응하는 과정이라고 정의하였다. 이에 따라 로이는 초점자극, 상황관련 자극, 잔여자극 등의 개념을 도입하여 인간의 적응과정을 설명하였다.
또한 로이는 사회적 상호작용론, 생물학, 행동과학 등의 이론들과 Maslow의 개인의 신념과 가치 개념을 활용하여 자신의 이론적 틀을 구축하였다. 특히 도로시 존슨(Dor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