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복막투석은 신장 기능이 없는 신부전 환자에게서 몸 안의 노폐물과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시행하는 투석의 일종이다. 환자의 뱃속(복강)에 부드러운 관을 삽입하고 이 관을 통해 깨끗한 투석액을 주입한다. 투석액이 뱃속에 수 시간(대개 2시간 내지 8시간) 머무르는 동안에 몸 속의 노폐물과 수분은 뱃속(복강)의 투석액 쪽으로 빠져나간다. 이와 같은 투석액 교환 과정을 1일 2~4회 정기적으로 반복함으로써 몸 안의 노폐물을 제거하는 과정이 복막 투석이다. 복막투석은 신장 이식을 제외하면 만성콩팥부전의 치료에 첫 번째 방법이다. 복막투석은 별도의 기계가 필요없고 환자 스스로 집에서 할 수 있으며 여행이나 휴가 시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감염의 위험이 있으며 적절한 자가 관리가 필요하다. 복막투석 환자의 자가관리가 성공적이기 위해서는 환자 교육이 매우 중요하다. 자가 관리 수행 능력은 복막투석의 결과를 결정하므로 이에 대한 교육은 복막투석 간호에서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2. 문헌고찰
2.1. 만성신부전의 정의
만성신부전은 콩팥의 기능이 심각하게 저하되어 치료로 회복이 되지 않는 비가역적인 상태이다. 반복되는 감염과 콩팥염 악화, 요로계 폐색, 전신 질환 오랜 기간의 고혈압이나 당뇨병으로 인한 혈관 파괴 등이 콩팥의 기능을 서서히 저하시킨다. 콩팥기능의 15%정도 감소된 경우 말기콩팥기능상실이라 하며, 가장 흔한 원인은 당뇨병이고 그 다음으로 고혈압, 사구체신염 등이다. 만성콩팥기능상실의 발병률은 남녀 동일하며 중년기에 가장 높고 치료는 만성콩팥기능상실로의 진행을 늦추고 조절하는데 중점을 둔다.
2.2. 만성신부전의 원인
만성신부전의 원인은 다양하다. 수개월에서 수년에 걸쳐 콩팥기능이 심각하게 저하되어 치료로 회복이 되지 않는 비가역적인 상태를 말한다.
반복되는 감염과 콩팥염 악화, 요로계 폐색, 전신 질환 오랜 기간의 고혈압이나 당뇨병으로 인한 혈관 파괴 등이 콩팥의 기능을 서서히 저하시킨다.
가장 흔한 원인은 당뇨병이고 그 다음으로 고혈압, 사구체신염 등이다. 만성콩팥기능상실의 발병률은 남녀 동일하며 중년기에 가장 높다.
당뇨병성 신증, 고혈압으로 인한 신경화증, 사구체신염, 다낭성신질환, 루푸스 신염, 재발성 신우신염, 요로폐쇄, 신독성 물질 등이 만성신부전의 주요 원인이 된다.
이외에도 혈관성 신장 이상, 사구체성 질환, 요세뇨관간질성 질환, 폐쇄성 질환 등이 만성신부전을 유발할 수 있다.
결국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콩팥단위가 파괴되고 기능이 소실되어 만성신부전이 발생하게 된다.
2.3. 만성신부전의 병태생리
만성신부전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콩팥단위가 파괴되어 기능이 소실됨으로써 사구체 여과율과 청소율이 감소하여 혈액 내 요소질소와 크레아티닌이 상승한다. 콩팥단위는 비대해지고 요 농축능력이 감소하여 다량의 희석된 요를 배출시키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