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대상자 정보
1.1. 기본정보
성명 박옥* 연령 84세(1932년생) 결혼 상태 이혼 교육 정도 초졸 종교 천주교 직업 무 의료보장 의료보호 1종이다. 주소는 인천시 계양구 작전서운동 27번지 **호이며 연립주택에 거주하고 있다. 전화번호는 032)551-****이며 휴대폰번호는 없다. 가구주성명은 박옥*(본인)이다. 성별은 여성이다. 방문일시는 신규 방문 : 2008년7월28일, 이번 방문 : 2015년11월9일이다. 대상자 군분류는 집중관리군이며 기관형태는 가구방문이다. 가족형태는 1세대 독거노인이다.
1.2. 가족관계 및 사회관계
박옥* 할머니는 84세의 나이로 이혼하여 현재 혼자 독거노인으로 살고 있다. 박옥* 할머니는 오래전부터 딸 2명이 전남편과 함께 미국에 거주하고 있어 그들과의 연락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로 인해 가족관계와 사회관계가 매우 제한적이다.
박옥* 할머니는 현재 가족이 없는 상태로 살아가고 있다. 독거노인으로 살면서 가족들과의 관계가 단절되어 있어 사회적 고립감을 느끼고 있다. 대부분의 시간을 혼자 집에서 보내며 관절염으로 인한 거동의 어려움으로 외출도 잘 하지 않는다. 경제적으로는 의료보호 1종으로 생활하고 있어 수입이 부족한 상황이다.
가족관계 측면에서 볼 때, 박옥* 할머니는 이혼 후 미국에 거주하고 있는 2명의 딸들과 연락이 되지 않아 가족 관계가 단절된 상태이다. 이로 인해 정서적, 실질적 지지를 받지 못하고 있다. 사회관계에서도 경제적 어려움과 거동의 불편함으로 인해 타인과의 교류가 거의 없어 고립감을 느끼고 있다.
종합적으로 볼 때, 박옥* 할머니는 가족과 사회로부터 고립된 채 혼자 지내고 있으며, 이로 인해 정서적,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박옥* 할머니에게는 가족 및 사회관계 회복을 위한 지지체계 마련이 시급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1.3. 건강상태
박옥* 할머니는 다양한 만성질병을 앓고 있는 고령의 독거노인이다. 할머니는 현재 고혈압, 당뇨병, 관절염, B형간염 보균자로 진단받았으며, 과거력으로는 골수염과 뇌졸증 경험이 있다.
할머니의 건강상태를 살펴보면, 현재 BMI가 24.53으로 과체중에 해당하며, 혈압은 130/90mmHg, 공복 혈당은 70mg/dL, 식후 혈당은 234mg/dL, HbA1C는 6.6%로 나타났다. 할머니는 당뇨병을 앓고 있어 혈압과 혈당 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다.
할머니는 약 복용법에 대한 지식 부족으로 인해 투약을 제대로 하지 않고 있으며, 이로 인해 혈압과 혈당이 불안정한 편이다. 또한 관절염으로 인한 무릎 통증으로 이동이 불편한 상황이다. 할머니의 건강상태를 종합해 보면, 만성질병 관리와 치매 예방을 위한 지속적인 간호 중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 문제 사정
2.1. 가족구조 및 발달주기
대상자 박옥*의 가족구조와 발달주기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박옥* 대상자는 과거 이혼 후 혼자 생활하고 있는 독거노인이다. 대상자는 딸 2명을 두고 있으나 전남편과 함께 미국에 거주 중이어서 연락이 되지 않고 있다. 가족관계가 단절되어 있는 상황이다.
나이 84세인 박옥* 대상자는 노년기 가족단계에 해당한다. 노년기는 부모와 배우자의 건강문제로 인한 전환기로, 대상자 또한 고혈압, 당뇨, 관절염 등 만성질환을 앓고 있다. 대상자는 배우자와 사별 후 홀로 생활하고 있어 건강관리와 일상생활 수행 등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자녀와의 단절로 정서적 지지가 부족한 상황이다. 노년기는 자녀들과의 관계 유지와 새로운 역할 획득이 발달과업이지만, 대상자는 자녀들과 접촉이 없어 이러한 과업을 달성하지 못하고 있다. 이로 인해 고립감과 우울감을 호소하고 있다.
이처럼 독거 노인인 박옥* 대상자는 가족관계와 사회적 관계가 단절되어있어 노년기 발달과업 수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이웃과의 관계 형성, 지역사회 자원 활용 등을 통해 대상자의 고립감을 해소하고 건강관리를 지원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2. 가족체계 유지
대상자의 가족체계 유지 문제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는 3년 전 배우자의 사망으로 인해 혼자 생활하고 있으며, 자녀 1남 1녀를 두고 있으나 생계를 위한 맞벌이로 인해 자주 왕래하지 못하고 있다. 이로 인해 대상자는 혼자 생활하면서 외로움을 호소하고 있다.
혼자 지내시며 식사를 챙겨 드시지 않고 주 2~3회 술을 드시는 등 부적절한 생활습관을 보이고 있다. 또한 치매로 인해 약물 복용을 잊는 등 부적절한 질병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대상자의 가족이 맞벌이 상황에 놓여있어 자주 연락하지 못하고 있으며, 대상자의 치매와 우울 증상에 대한 관심이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대상자의 가족체계가 유지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2.3. 상호작용 및 교류
박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