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세계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세계 각 국의 다문화 정책과 우리나라 정책 비교
1.1. 우리나라의 다문화 정책 동향
1.2. 세계 주요국의 다문화 정책
2. 우리나라 아동 다문화 교육의 비전
2.1. 다문화가족 아동 교육 현황 및 과제
2.2.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의 개선방안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세계 각 국의 다문화 정책과 우리나라 정책 비교
1.1. 우리나라의 다문화 정책 동향
우리나라의 다문화 정책 동향은 다음과 같다.
여성가족부의 제3차 다문화가족정책기본계획(2018~2022) 2022년도 시행계획을 살펴보면 우리나라는 다문화 전체 37만 가구(가구원 109만명)로 전체 가구대비 1.8%(가구원 2.1%)를 차지하며, 다문화 출생 증가 등 다문화 가족 증가세가 강화되고 있다. 또한 결혼이민자·귀화자는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로 최근 귀화자가 결혼 이민자에 비해 급격히 증가하는 등 국내체류가 장기화 되고 있다. 다만 코로나 19로 증가 추세에 있던 국제결혼은 일시적 감소한 반면 다문화 이혼은 건수와 비중 모두 감소하는 추세이다. 다문화가족 자녀 규모('20년 26.6만명)는 증가 추세로 미취학 자녀에 비해 초등학교 학령기 자녀 비율이 크게 증가되었다. 제3차 다문화가족 시행계획 5년차를 맞아 기본계획 과제들의 안정적인 마무리 추진이 필요하며 전체 출생 중 다문화 출생 비중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취학 연령대의 다문화 자녀도 증가하여 포용적 성장환경 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다. 또한 역차별 논란 및 집단 간 갈등 심화에 따른 다문화 수용성 제고를 위한 사회 전방위적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보건복지부는 참여와 공존의 열린 다문화 사회라는 비전을 가지고 모두가 존중받는 차별없는 다문화 사회 구현, 다문화가족의 사회·경제적 참여 확대, 다문화가족 자녀의 건강한 성장 도모를 목표로 다음과 같은 정책 과제를 제시하였다. 첫째, 다문화가족 장기 지원 지원이다. 이를 위해 결혼이주여성 인권보호 강과 및 국제결혼 피해예방 지원, 안정된 가족생활 지원, 서비스 연계 활성화가 필요하다. 둘째, 결혼이민자의 다양한 사회참여가 확대되기 위해 자립역량 강화, 취·창업 지원 서비스 내실화, 사회참여 기회 확대가 필요하다. 셋째, 다문화갖고 자녀의 안정적 성장 지원과 역량 강화를 위해 안정적 성장을 위한 환경을 조성하고 학업 및 글로벌 역량 강화가 필요하며 진로 준비 및 사회진출을 지원하고 중도입국자녀를 위한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다. 넷째, 상...
참고 자료
제 3차 다문화가족정책 기본계획(2018~2022) 2022년도 시행계획. 여성가족부.
김미나 다문화 사회의 진행 단계와 정책의 관점 주요국과 한국의 다문화정 .“정책 비교 연구” 행정논총 제 47권 제 4호. (2009), pp. 193-223
최웅선, 이용모, 주운현 중앙정부의 다문화정책 조정에 관한 연구 : 한국과 독일의 다문화정책 비교를 중심으로. 한독사회과학논총 제 22권 제 1호(2012. 3)
박성혁, 곽한영 다문화교육정책 국제비교를 통한 우리나라 다문화 교육정책의 방향 모색. 시민교육연구 제41권 2호(2009.6) pp.97-127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황 성철 공동체
프로포절 작성의 실제 김 승의 공동체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우수프로포절 사례집 2011
사회복지 욕구조사와 프로그램 평가 강 병로 나눔의 집
사회문제론 박 정호 여 진주 신정
보건복지가족부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유아교육 / 지옥정, 조혜진 저 / 창지사 / 2021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