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일본 통합 교육"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일본 통합 교육
1.1. 특수교육의 성립과 배경
1.2. 특수교육의 현황 및 정책
1.3. 통합교육의 현황 및 제도
1.4. 특수교육의 문제점 및 전망
2. 영국
2.1. 특수교육의 성립과 배경
2.2. 특수교육의 실태
2.3. 통합교육의 현황 및 제도
2.4. 특수학교의 정체
3. 이탈리아
3.1. 특수교육의 성립과 배경
3.2. 특수교육의 현황 및 실태
3.3. 통합교육의 현황 및 제도
3.4. 통합교육의 사회적 효과와 과제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일본 통합 교육
1.1. 특수교육의 성립과 배경
현재 일본은 맹, 농, 양호학교와 특수학급에서 전체 학령아동의 약 1%가 특수교육을 받고 있다. 특수교육에서는 심신에 장애가 없어도 특별한 교육적 요구가 있는 아동은 모두 특수교육 대상으로 하려는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다. 따라서 특수교육은 일반교육과 분리된 별도의 교육이 아니라 일반교육 속에 특수교육이 있으며, 특수교육 속에 일반교육이 있다고 하는 일반교육과 특수교육이 혼연일체가 된 형태의 특수교육으로 발전을 시도하고 있다.
동양과 서양이 호응하여 맹, 농학교를 설립함으로써 전국 각지에서 맹,농학교 설립이 고조되었으며, 1890년 개정초등학교령에는 맹아학교의 설립, 폐지의 규정도 개정되어 1897년까지 4개교, 1907년에는 38개교가 설립되었으나, 심신장애아 교육이 초,중등 의무교육으로서 재정적 이유로 완전히 보장되어 실시되기 까지는 시간이 걸렸다.
일본에서 처음 양호학교가 설립된 1940년에는 맹, 농, 양호학교의 설치를 의무화 시켰다. 1979년 양호학교의 의무제도가 시작되었을 때, 400교까지 증가하여 취학유예자의 수가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아동의 장애 정도와 종류에 따라 양호학교와 특수학급으로 나누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그리고 1993년부터 통급지도가 제도화되어 제6차 의무교육 학교교직원 배치 개선계획이 실시됨으로써 심신장애아동이 일반학급에 수업을 받고, 장애에 따라 통급지도교실에 특별지도를 실시하고 있다.
1.2. 특수교육의 현황 및 정책
현재 일본은 맹, 농, 양호학교와 특수학급에서 전체 학령아동의 약 1%가 특수교육을 받고 있다. 특수교육에서는 심신에 장애가 없어도 특별한 교육적 요구가 있는 아동은 모두 특수교육 대상으로 하려는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다. 따라서 특수교육은 일반교육과 분리된 별도의 교육이 아니라 일반교육 속에 특수교육이 있으며, 특수교육 속에 일반교육이 있다고 하는 일반교육과 특수교육이 혼연일체가 된 형태의 특수교육으로 발전을 시도하고 있다.
도(都), 도(道),부(府),현(縣)별 의무교육 연한 내의 특수학교와 특수학급 재적률의 비교에 나타난 바와 같이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의 재적률은 최고수준에 있는 현과 최소 수준에 있는 현에서 2배 이상의 차이가 있다. 이러한 원인으로는 지역간의 문화적, 역사적인 배경이나 특수학급의 설치율 등도 크게 관여하고 있다.
또 역사적으로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의 재적률을 보면 크게 나누어 두 개의 패턴이 있다. 카가와 현은 1997년대에 일본에서 최고의 재적률을 보인 현이며, 전국적으로도 특수교육제도에서의 재학률은 1970년대 전반으로 최고치를 보인다가 서서히 낮아지고 있다. 반면 후쿠시마현은 1977년에 일본의 특수교육 역사상 최고의 재적률을 경험하였다. 그러나 이후에는 서서히 낮아지고 있다.
그림에서 보는 봐와 같이 이후에는 서서히 낮아지고 있다. 그러나 1000명당 특수학급 설치 수의 경향을 보면, 후쿠시마현과 카가와 현은 근년 들어 특수학급 설치율의 상승이 현저하다. 이는 통계적으로는 밝혀지지 않은 독자적인 시책을 지방이 독자적으로 시행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1983년부터 후쿠이 현립 특수교육센터에서 실시하고 있는 순회지도가 있다. 5명의 지도교사가 2개소의 사무소에서 후쿠이 각지의 순회지도를 맡고 있다. 이러한 조직이 아이 찌현에도 있다. 아오모리 현이나 야마나시 현의 양호학교에도 교육 상담이라는 형식으로 실시하고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특수교육제도 내의 취학률을 상승 혹은 유지하기 위해서는 특수학급의 설치를 어찌했든 많이 늘릴 필요가 있을 것이다. 양호학교 의무제 ...
참고 자료
W. G. 비즐리 저 , 일본 근현대사, 을유문화사. 2004
연민수 저, 일본 역사, 보고사, 1998
폴 발리 저, 박규태 역, 일본 문화사, 경당, 2011
기타, 네이버 지식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