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선천성심질환 동맥관개존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선천성 심질환
2.1. 선천성 심질환의 개념
2.2. 출생시 순환 변화
2.3. 혈역학적 변화
3. 비청색증형 결손
3.1. 폐혈류 증가 결손
3.1.1. 심방중격결손
3.1.2. 심실중격결손
3.1.3. 동맥관 개존증
3.1.4. 방실중격결손
3.2. 좌심실 유출 폐쇄 결손
3.2.1. 대동맥축착
3.2.2. 대동맥협착
3.2.3. 폐동맥협착
4. 간호
4.1. 활력징후 관찰
4.2. 호흡기능 유지
4.3. 수액 관찰
4.4. 휴식과 점진적인 활동 제공
4.5. 편안함과 정서적 지지 제공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선천성 심질환은 영아 사망의 주요 원인이다. 선천성 심질환은 임신 중 내적 요인이나 외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심장의 구조적 또는 기능적 변화로 이어진다. 이러한 선천성 심질환은 출생 시 정상적인 순환 변화에 이상이 생기고, 혈역학적 변화가 발생하여 다양한 증상과 병태생리를 초래한다. 따라서 의료진은 선천성 심질환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적절한 간호를 제공해야 한다.
2. 선천성 심질환
2.1. 선천성 심질환의 개념
선천성 심질환의 개념이다. 선천성 심질환은 출생 시부터 발생하는 심장 관련 기형으로, 빈도는 1,000명 출생아 중 4~10명 정도이며 영아 사망의 주요 원인이다. 선천성 심질환을 가진 아동은 심장 이외의 결함을 동반하는 경향이 있다. 선천성 심질환의 높은 발생률과 관련된 요인에는 임신 기간 중 어머니의 풍진감염, 알코올 중독, 고령 출산, 당뇨병, 유전적 요인, 다운증후군 등이 있다.
2.2. 출생시 순환 변화
태아기 제대 정맥(umbilical vein)은 하대정맥(inferior vena cava)으로 흘러 난원공(foramen ovale)을 통해 좌심방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때 태아기에는 우심장과 폐동맥은 높은 압력을 가지고 있어 태반순환과 동맥관을 통해 다시 하행대동맥으로 흐르게 된다. 그러나 출생과 함께 첫 호흡이 이루어지면서 폐혈관이 확장되고, 태반이 제거됨에 따라 체순환 압력이 증가하여 폐순환 압력이 감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정상적으로 난원공이 닫히고 동맥관도 차례대로 폐쇄되어 심장의 정상적인 순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처럼 출생 시 심장과 혈관의 구조적, 기능적 변화가 일어나 심장의 새로운 순환 체계가 확립되는 것이다.
2.3. 혈역학적 변화
정상적으로 심장의 오른쪽 부위의 압력이 왼쪽보다 낮고, 폐순환의 저항이 체순환보다 낮다. 그러나 중격결손 같이 심방들(chambers)사이의 비정상적인 통로가 있는 경우, 혈액은 당연히 압력이 높은 곳(좌측)에서 낮은 곳(우측)으로 흐른다. 이를 좌우단락(left to right shunt)이라 한다. 반면, 청색증을 일으키는 심장결손은 폐혈관 저항의 증가나, 폐동맥판과 폐동맥을 통과하는 혈류의 폐쇄 초래한다. 이로 인해 혈액을 심장의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흐르도록 하는 우좌단락(right to left shunt)이 발생한다.
3. 비청색증형 결손
3.1. 폐혈류 증가 결손
3.1.1. 심방중격결손
심방중격결손은 좌우심방 사이의 비정상적인 연결이다. 정상적으로 심장 좌측의 압력이 높기 때문에 압력이 높은 좌심방의 혈액이 압력이 낮은 우심방으로 흐른다. 이로 인해 우심방과 우심실의 혈액량이 증가하고 폐혈류도 증가한다.
심방중격결손은 비청색증형 결손으로 학령기까지 발견되지 않을 수 있다. 심방중격 하부에 생긴 일차공 결손과 심방중격 중심부에 생긴 이차공 결손, 상대정맥과 우심방 연접부분의 정맥동 결손 등 세 가지 유형이 있다.
심방중격결손은 좌심방의 높은 압력으로 우심방으로 혈액이 흐르게 되어 우심방과 우심실의 용적이 증가한다. 그러나 우심실은 이 증가한 혈량을 잘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단순한 심방중격결손은 심부전을 일으키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심방중격결손 환아는 무증상이지만, 폐동맥으로 가는 혈류량의 증가로 심잡음이 들리며 심방리듬장애의 위험이 있다. 또한 장기간 폐혈류 증가로 폐색성 폐혈관질환과 색전 형성의 위험이 있다.
3.1.2. 심실중격결손
심실중격결손(Ventricul...
참고 자료
김희순 외 공역. 아동청소년 간호학Ⅰ. 수문사. 2021.
안영석, 김인욱, 양무열, 정혜령 and 김희섭. (2014). 만삭아의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과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에서 혈청 효소의 의미. Perinatology, 25(4), 284-291.
최용성. (2015).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에서 인공 폐표면활성제의 사용. 대한의사협회지, 58(4), 330-335.
김영혜 외 (2005), 아동간호학 각론, 서울: 현문사, 387-396.
김희순 외 (2007), 아동간호학 II, 서울: 수문사, 825-839.
안전행정부 (2013), 제목. Retrieved March 6, 2014, from 안전행정부 Web site:
http://www.mospa.go.kr/gpms/ns/mogaha/user/userlayout/bulletin/userBtView.action?userBtBean.bbsSeq=1023915&userBtBean.ctxCd=1291&userBtBean.ctxType=21010002¤tPage=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