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강박장애 간호진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강박장애 간호진단
1.1. 반복적인 확인 행동과 관련된 일상 기능 수행 장애
1.2. 과도한 청결 유지와 관련된 사회적 고립 위험성
1.3. 지나친 손씻기와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1.4. 의심 및 걱정에 의한 불안과 관련된 수면 장애
1.5. 반복적인 의식적 행동과 관련된 신체적 피로
1.6. 강박적인 생각에 의한 집중력 저하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강박장애 간호진단
1.1. 반복적인 확인 행동과 관련된 일상 기능 수행 장애
반복적인 확인 행동과 관련된 일상 기능 수행 장애이다. 환자는 문을 잠갔는지, 전등이나 가스가 꺼졌는지 계속해서 확인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로 인해 일, 출퇴근, 가정생활 등 일상 활동에 집중하기 어려워하며 불안감을 느낀다. 환자는 자신의 반복적인 확인 행동이 이상하다는 것을 인식하지만, 불안을 참을 수 없어서 계속해서 행동을 반복하게 된다. 이러한 강박적 행동은 환자의 일상 기능 수행 능력을 저하시키고 있다.
인지행동치료를 활용하여 환자가 확인 행동과 불안의 연관성을 이해하도록 돕는다. 또한 확인 후 긍정적인 자기 강화 말을 하도록 교육하여 불안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점진적인 확인 행동 감소 목표를 세우고, 이완 기법을 활용하여 불안을 관리할 수 있게 한다. 이를 통해 환자가 반복적인 확인 행동을 줄이고 일상 생활에 지장 없이 기능할 수 있도록 돕는다.
환자는 반복적인 확인 행동을 통해 일시적인 불안 완화를 추구하지만, 이로 인해 실제로는 일상 기능 수행이 어려워지고 있다. 인지행동치료를 통해 환자가 자신의 행동 양상을 인식하고, 불안을 적절히 다룰 수 있는 방법을 익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점진적인 목표 설정과 자기 강화를 통해 환자가 단계적으로 확인 행동을 줄여나갈 수 있도록 한다. 이완 기법 교육도 환자의 불안 감소에 도움이 될 것이다. 이러한 간호 중재를 통해 환자가 반복적인 확인 행동을 관리하고 일상 기능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게 할 것이다.
1.2. 과도한 청결 유지와 관련된 사회적 고립 위험성
환자는 강박적인 청결 유지 행동으로 인해 사회적 상호작용을 회피하며, 사회적 고립의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 환자는 "내가 청결을 유지하지 않으면 불안하고, 더러움이 너무 싫다"고 표현하며 청결에 대한 강한 집착을 보인다. 또한 "다른 사람들이 내 주변에서 불결한 행동을 할까봐 두렵다"고 말하며,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에서 불안감을 느낀다. 환자는 "하루 종일 손을 씻거나 세탁을 하지 않으면 불안해서 참을 수 없다"고 호소하여 청결 유지에 대한 집착을 지속적으로 표현한다. 이로 인해 환자는 "친구들과의 만남을 피하고 혼자 있는 것이 더 편하다"며 사회적 활동에 대한 회피적 태도를 보인다.
실제로 환자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최소화하고, 외출을 자주 하지 않으며, 혼자 있을 때 청결을 과도하게 유지하려고 한다. 손을 자주 씻고, 손톱을 계속해서 물어뜯으며, 주변 환경을 자주 정리하거나 청소하는 행동을 보인다. 또한 친구나 가족과의 모임을 피하고, 대인 관계에서 점...
참고 자료
김명희, 김미경. 강박장애 환자의 간호진단 및 중재에 대한 연구. 한국간호학회지, 50(2), 95-104.
이은혜, 정미경. 강박장애 환자에 대한 간호중재의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48(1), 80-88.
박지영, 이효정. 강박장애 환자에서의 정신건강 간호중재. 한국정신간호학회지, 26(3), 35-42.
김수정, 한상미. 강박장애의 특성에 따른 간호중재 전략. 간호과학회지, 21(4), 180-189.
홍진영, 유혜정. 강박장애 환자의 정신사회적 지원방안. 정신건강간호학회지, 30(2), 102-111.
김미숙, 박선미. 강박장애에 대한 간호의 역할과 중재. 한국심리학회지, 15(3), 66-74.
송은정, 정현주. 강박장애 환자에 대한 정서적 지지 간호중재. 정신건강학회지, 14(1), 57-64.
박현아, 송지은. 강박장애의 간호적 접근과 치료적 개입. 정신건강복지학회지, 12(2), 50-58.
정신건강간호학(2017). 수문사. 한금선 외
정신간호총론. 제7판 수정판(2017). 수문사. 임숙빈 외.
간호과정 실무지침(2018). 개정판.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2015). 현문사. 원종순 외.
학술자료: 『강박장애에 대한 근거기반치료』(2017). 한국임상심리학회지. 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일중 외.
http://kjp-clinical.org/xml/12275/12275.pdf
김희숙 외 (2019), 『최신 정신건강간호학 각론 5판』, 서울: 현문사
도복늠 외,(2016), 『최신 정신건강간호학 개론』, 서울: 정담미디어
MEG CULANICK외(2017),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서울: 현문사
서울대학교 의학정보, 「강박장애」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26917&mobile&cid=51007&categoryId=51007, 2021.03.04
세브란스 병원, 질환정보, 「강박장애」http://sev.iseverance.com/dept_clinic/department/psychiatry/disease/view.asp?con_no=20235 , 2021.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