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가계도와 생태도는 사회복지 영역에서 널리 활용되는 사정 도구이다. 이를 통해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전반적인 사회관계망과 문제를 파악할 수 있다. 본 보고서에서는 가계도와 생태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고자 한다. 가계도와 생태도의 작성 방법과 구체적인 활용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가족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2. 가계도 작성방법
2.1. 가족구조의 도식화
가계도는 가족구조와 가족성원들의 관계를 도식화하여 나타낸다. 가족구조를 도식화하는 것은 가계도 작성의 첫 단계이다. 가족구조의 도식화를 통해 가족성원들 간의 관계와 가족의 유형, 세대 간 연결 등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가족구조를 도식화할 때는 가족성원들을 상징하는 기호와 성원 간 관계를 나타내는 선으로 표현한다. 이를 통해 가족의 구성과 그들 간의 연계성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가족구조의 도식화는 가계도 작성의 기초가 되며, 가족의 역동과 문제점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준다. 가족구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가족에 대한 정보를 보다 체계적으로 기록할 수 있다.
2.2. 가족에 대한 정보 기록 방법
가족에 대한 정보 기록 방법이다. 구성원의 이력이란 연령, 출생 및 사망 시기, 주소, 직업, 교육수준 등을 의미한다. 가족의 역할이란 가족성원 각자의 신체, 정서, 행동에 관한 비교적 객관적인 정보를 말한다. 중요한 가족사건은 과도기, 인간관계의 변화, 상실과 성공과 같은 것이다. 이러한 정보가 있으면 가족을 역사적 관점으로 볼 수 있으므로 가족 역사가 각 개인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알 수 있게 된다.
2.3. 가족 관계 표현
가족의 보고와 치료자의 직접적 관찰에 근거하여 가족 성원간의 관계를 묘사하는 것이다. 가족 성원인 두 사람의 다양한 관계를 각각 다른 선으로 나타낸다. 예를 들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