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급성췌장염은 담석, 음주, 대사장애, 약물, 복부 손상 등의 다양한 원인에 의해 췌장선 세포(이자의 외분비세포)의 손상이 발생하고, 광범위한 간질성 부종, 출혈 등을 유발하는 췌장의 급성 염증성 질환이다. 약 90%는 과도한 알코올섭취와 담도계 질환으로 발생하며, 이자 손상, 이자관 폐쇄, 대사 장애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급성췌장염의 병태생리적 과정으로는 지방분해과정, 단백분해과정, 혈관 및 췌관의 탄력섬유 용해과정, 그리고 염증 과정이 있다.
급성췌장염의 주요 증상은 상복부의 심한 통증, 구역, 구토, 백혈구 증가, 발열, 빈맥 등이며, 배꼽 주위 피하 출혈(Cullen's sign), 옆구리 부위 피하출혈(Turner's sign)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진단을 위해 혈청 아밀라아제(serum amylase) 수치 상승, 복부 초음파, 조영제강화 컴퓨터단층촬영 등이 이용된다.
치료 목표는 통증 감소, 이자액 분비 감소, 혈액순환 체액량 유지이며, 통증 조절을 위해 meperidine, 이자액 분비 억제를 위해 항콜린제, 체액량 유지를 위한 전해질과 단백질의 정맥 투여 등이 시행된다. 또한 합병증 관리를 위해 항생제 투여, 코위관 삽입 등이 이루어진다. 간호중재로는 통증 및 불편감 정도 사정, 편안한 자세 취하기, 코위관 지속적 흡인, 구강섭취 금지, 영양상태와 수분전해질 사정, 혈당 관리 등이 포함된다.
급성췌장염은 중증 경우 비가역적 쇼크, 당뇨병, 전격성 췌장염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급성췌장염 환자의 증상과 징후, 진단 및 치료 과정, 간호 중재 등을 포괄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급성췌장염 환자의 효과적인 간호 관리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1.2. 문헌고찰
급성췌장염은 담석, 음주, 대사장애, 약물, 복부 손상 등의 다양한 원인에 의해 췌장선 세포(이자의 외분비세포)의 손상이 발생하고, 광범위한 간질성 부종, 출혈 등을 유발하는 췌장의 급성 염증성 질환이다""
약 90%는 과도한 알코올섭취와 담도계 질환으로 발생하며, 췌장 손상으로는 담도계수술, 쓸개절제술, 위장·샘창자절제술 등의 수술로 인한 상처와 내시경적 역행성 췌.담관 촬영술(ERCP) 후의 췌관 손상 등이 있다""
췌장에서 발생하는 병리적인 변화는 췌장의 단백질 분해 효소(trypsin)와 지방 분해 효소(lipase)의 조기 활성화로 유발되며, 지방분해과정, 단백분해과정, 혈관 및 췌관의 탄력섬유 용해과정, 염증 등 4가지 주요 병태·생리적 과정이 일어난다""
상복부의 심한 통증, 구역, 구토, 백혈구 증가, 발열, 빈맥, 황달 등의 증상과 징후가 나타나며, 배꼽 주위 피하 출혈(Cullen's sign), 옆구리 부위 피하출혈(Turner's sign) 등이 확인된다""
진단은 복부 통증과 압통의 증상, 혈액 췌장효소(Lipase, Amylase) 수치 상승, 복부초음파, 복부 CT 또는 복부 MRI에서 급성췌장염소견이 있을 때 내린다""
치료는 통증 감소, 이자액 분비 감소, 혈액순환 체액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