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운수좋은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운수 좋은 날 책소개
2. 운수 좋은 날 줄거리 요약
3. 소설 속 갈등
3.1. 내적 갈등
3.2. 외적 갈등
4. 작품 읽고 느낀 점
5. 인물 분석
5.1. 김첨지 캐릭터 분석
6. 작품의 우수성
6.1. 인물
6.2. 시점
6.3. 문체
6.4. 상황적 아이러니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운수 좋은 날 책소개
1924년 발표된 근대소설가 현진건의 사실주의 단편소설인 「운수 좋은 날」은 1920년대 일제강점기 하층민들의 어려운 삶을 표현한 소설이다. 이 작품은 주인공 김첨지의 운수 좋은 하루와 아내의 죽음이라는 비극적 결말로 이어지는 극적 반전을 통해, 인간의 운명적 반어(상황의 아이러니)를 담은 구조적 특징을 지니고 있다"
2. 운수 좋은 날 줄거리 요약
주인공 '김첨지'의 하루가 운수 좋게 시작되는 것으로 이야기가 시작된다. 김첨지는 인력거를 운전하며 하루하루 삶을 살아가는 전형적인 하층민이고, 주인공의 아내는 혼자 행동을 하지 못할 만큼 병을 앓고 있다. 어느 날 아내는 오늘을 못 넘길 것을 예감하고, 김첨지가 일하러 나가려는 것을 붙잡지만 김첨지는 무시하고 일을 하러간다. 일은 과거와 달리 순조로웠고, 돈도 많이 벌었으며, 그는 오늘 하루는 운수가 너무 좋은 날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마음 한편엔 아내를 잃을지도 모르는 불안감이 있었고, 결국 아내를 위해 돈을 벌고, 그것으로 설렁탕을 사왔지만 아내는 죽어 있었다"라는 이야기이다.
3. 소설 속 갈등
3.1. 내적 갈등
주인공 김첨지는 가난한 생활을 하는 도시 하층민으로, 아침에 아내가 오늘 일하러 가지 말라고 당부하자 내적 갈등을 겪는다. 김첨지는 한편으로 아픈 아내를 걱정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하루 벌어 하루 먹고 살아야 하는 자신의 처지를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김첨지는 자신의 가족을 돌보고 싶지만 생계를 위해 일을 나가야 한다는 내적 갈등에 빠지게 된다. 아내의 당부에도 불구하고 그는 결국 가난한 가정을 위해 일하러 나가게 되는데, 이는 김첨지가 내면적으로 겪는 갈등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김첨지는 아내에 대한 걱정과 생계유지라는 상반된 욕구 사이에서 고민하며 내적 갈등을 겪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2. 외적 갈등
소설 『운수 좋은 날』에서 드러나는 외적 갈등은 주인공 김첨지와 운명 간의 갈등이다. 김첨지는 하루 동안 예상치 못한 행운을 누리며 돈을 많이 벌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운수 좋은 날에도 아내의 상태가 좋지 않다는 불길한 예감이 있었다. 결국 김첨지가 일을 하고 돈을 벌며 즐거워하던 그 날 아내가 죽음을 맞이하게 되는 비극적 결말이 나타난다.
이처럼 김첨지는 돈을 벌어 아내를 돌보고자 하지만, 운명은 그렇지 않게 전개된다. 운명이 김첨지에게 준 이 비극적 상황은 당시 식민지 시대 서민들이 처한 삶의 고통과 한계를 극명하게 보여준다. 김첨지의 노력에도 불...
참고 자료
곽상순, 「현진건 단편 소설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1998.
박선희, 「현진건 소설의 아이러니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97.
이소영, 「현진건 단편 소설 연구-인물 형상화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임은정, 「현진건의 「운수좋은날」과 김한수의 「양철지붕위에 사는 새」비교」, 2007.
김정아, 「소설 시점에 따른 한국어 문법 현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송주연, 「문체를 통한 소설교육 방법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