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교수-학습 모형
1.1. 한국교육개발원(KEDI)의 기능 학습을 위한 개별확인식 수업모형의 특징
1.1.1. 기능(Skill)의 개념
기능(Skill)이란 학습한 개념이나 원리를 효과적이고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다. 또한 신체적 활동이나 학습과제를 정확하고, 신속하며, 유연하게 수행할 수 있는 학습된 능력이다. 즉, 기능은 실제 현장에서 필요한 실용적인 능력을 의미한다. 따라서 기능 습득은 단순한 지식의 전달이 아닌 실제적인 수행 능력의 향상을 목표로 한다.
1.1.2. 피츠(Fitts)와 포스너(Posner)의 기능 습득 3단계
피츠(Fitts)와 포스너(Posner)의 기능 습득 3단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적 단계에서는 기능 수행에 필요한 사실적 정보를 습득한다. 교사는 수업을 통해 기대하는 것, 준수해야 할 것, 알릴 필요가 있는 것, 달성해야 할 기준 등을 학생들에게 제공한다. 둘째, 연합적(통합적) 단계에서는 처음 시도가 실수나 부적합할지라도 연습을 통해 다양한 요소 간 연합을 이뤄내면서 기능의 유연성과 정확성을 증진시킨다. 교사는 기능의 시범을 보인 후 모방기회를 제공하고, 실제적 또는 모의 상황에서 기능의 연습을 실시하며 지도와 개인적 조력을 제공한다. 셋째, 자동화(자율적) 단계에서는 기능의 완전학습, 리듬과 조화의 획득, 외부 간섭에 대한 저항, 속도와 정확성의 점진적 증가를 통해 숙련 근로자 수준의 달성을 이루게 된다.
1.1.3. 개별확인식 수업모형의 특징 및 장점
개별확인식 수업모형은 제1단계(학습 목표 및 관련 지식 이해)와 제2단계(기본 기능 시범 관찰)에서 인지적으로 필요한 것들을 이해하고 시범 관찰을 한 뒤, 3단계(기본 기능 습득)에서 기본 기능 내의 요소기능을 스스로 연습하고 스스로 자기평가를 통하여 요소기능을 하나하나 습득한 뒤 4단계(기본 기능 습득 확인 및 평가)를 통해 완전학습을 지향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기능을 효과적이고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수 있으며, 도입 단계부터 학생 스스로 학습에 참여하여 능동적인 학습이 이루어진다. 또한 교사의 역할이 시범과 지도에 초점을 맞추어 제공되므로 교수-학습 과정이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