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뇌하수체 선종은 호르몬 분비를 담당하는 뇌의 핵심 기관인 뇌하수체에 발생하는 양성 종양이다. 이는 특정 호르몬의 과다 분비나 종괴 효과로 인해 다양한 내분비 증상과 신경학적 증상을 유발한다. 따라서 뇌하수체 선종의 정의, 분류, 임상증상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정확한 진단과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해진다. 또한 수술 전후 집중적인 간호 중재가 요구되므로, 이와 관련된 내용을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2. 뇌하수체 선종(Pituitary Adenoma)의 개요
2.1. 뇌하수체와 뇌하수체 선종의 정의
뇌하수체는 두개골 기저부의 '터어키안'이라는 움푹 들어간 공간에 위치한 1.2~1.5 cm 크기의 작은 기관이다. 이 기관에서 발생하는 종양을 뇌하수체 종양이라고 한다. 처음에는 instrasellar에 국한되지만 점차 성장하면서 뇌하수체를 압박하고 상방으로 터어키안을 벗어나 시신경 교차를 압박하게 된다. 뇌하수체 선종은 기능성 분비성 선종과 비기능성 선종으로 나눌 수 있으며, 기능성 분비성 선종은 뇌하수체 전엽 호르몬을 과다 분비하게 된다. 비기능성 선종은 호르몬 분비 없이 세포 덩어리만을 형성한다.
2.2. 뇌하수체 선종의 분류
뇌하수체 선종은 크게 기능성 분비성 뇌하수체 선종과 비기능성 뇌하수체 선종으로 구분된다.
기능성 분비성 뇌하수체 선종은 뇌하수체에서 특정 호르몬을 과다 분비하는 종양이다. 대표적인 유형으로는 유즙분비 호르몬 분비성 뇌하수체 선종, 성장 호르몬 분비성 뇌하수체 선종, 부신피질 호르몬 분비성 뇌하수체 선종, 갑상선 자극 호르몬 분비성 뇌하수체 선종 등이 있다. 유즙분비 호르몬 분비성 뇌하수체 선종은 가장 흔한 분비성 종양으로 여성에게서는 무월경과 유즙분비를, 남성에게서는 성욕감퇴와 시력장애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성장 호르몬 분비성 뇌하수체 선종은 전체 뇌하수체 선종의 약 20%를 차지하며 말단비대증, 고혈압, 당뇨 등을 유발한다. 부신피질 호르몬 분비성 뇌하수체 선종은 뇌하수체 선종의 약 4~5%를 차지하며 비만, 고혈압, 당뇨, 다모증 등의 특징적인 증상이 나타난다. 갑상선 자극 호르몬 분비성 뇌하수체 선종은 비교적 드문 종양으로 중등도의 갑상선 기능항진증을 나타낸다.
이와 달리 비기능성 뇌하수체 선종은 호르몬 분비 없이 세포 덩어리만을 형성하는 종양이다. 초기에는 증상이 없다가 종양이 성장하면서 시신경을 압박하여 시야장애 및 시력저하, 두통, 구토 등의 증상을 유발한다. 또한 정상 뇌하수체의 압박으로 인해 뇌하수체 기능 저하증상과 제3, 4, 5, 6번 뇌신경 마비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종양이 크면 중뇌실을 폐쇄하여 수두증을 유발하기도 하며 요붕증, 성선기능저하증, 갑상선기능저하증 등 시상하부 병변에 의한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종양의 크기에 따라 1cm 이상은 거대선종(macroadenoma), 1cm 미만은 미세선종(microadenoma)으로 구분된다.
2.3. 뇌하수체 선종의 임상증상
뇌하수체 선종에 따른 다양한 임상증상이 나타난다. 호르몬 비분비성 뇌하수체 선종의 경우 주변 신경조직을 압박하는 종괴 효과에 의해 시력저하, 시야감소 증상이 가장 흔하게 발생한다. 뇌척수액 흐름 방해로 인해 두통, 오심, 구토, 보행장애 등의 증상도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종양이 주변으로 파급되면 복시, 안구마비 등의 증상이 발생하고, 전반적인 호르몬 분비 감소로 성선기능 저하, 갑상선기능저하, 요붕증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반면 호르몬 분비성 뇌하수체 선종은 각각의 종양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의 과다로 인한 특징적인 증상이 발생한다. 프로락틴 분비 선종의 경우 여성에서 무월경, 유즙분비가 나타나고 남성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