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조경관련 미세먼지 저감방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도시숲을 활용한 미세먼지 저감방안
2.1. 도시숲의 개념 및 기능
2.2. 도시숲의 미세먼지 저감 효과
2.3. 도시숲 조성 및 관리 현황
3. 해외 도시숲 사례 분석
3.1. 영국의 도시숲 조성 정책
3.2. 오스트리아의 도시숲 거버넌스
3.3. 독일의 도시숲 활용 사례
3.4. 일본의 지속가능한 도시숲 관리
4. 국내 도시숲 조성 방안
4.1. 도시숲 확대를 위한 정책 제안
4.2. 주민 참여형 도시숲 관리
4.3. 도시숲의 생태적 건강성 증진
5. 결론 및 시사점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도시숲은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자연기반해법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도시화로 인한 기후변화와 환경오염은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도시숲은 도시민들의 건강과 환경을 보호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도시숲은 도시 내의 녹지공간으로, 다양한 기능과 가치를 가지고 있다. 기후보호, 경관보호, 재해방지, 역사문화 보존, 휴양 및 복지 증진, 미세먼지 저감, 생태계 보전 등 도시숲은 도시의 지속가능성 제고에 핵심적이다.
더불어 도시숲은 도시민들에게 청정한 공기와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하며, 생물다양성 보호에도 기여한다. 무분별한 도시화와 개발로 인해 도시숲이 훼손되어온 현실을 고려할 때, 도시숲의 가치와 중요성은 더욱 부각된다. 따라서 도시숲 조성과 관리를 통해 도시의 기후변화 및 환경오염 문제를 종합적으로 해결할 필요가 있다.
2. 도시숲을 활용한 미세먼지 저감방안
2.1. 도시숲의 개념 및 기능
도시숲은 도시화된 지역에서 자연과 도시가 조화롭게 공존하도록 조성된 환경을 의미한다. 이는 주로 도시 환경에서 국민의 보건, 휴양 증진 및 정서 함양을 위해 조성된 숲이다. 도시숲은 도시 내의 녹지 공간으로 공원, 학교숲, 가로수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도시의 기능을 원활하게 발휘하도록 환경을 보전하는 역할을 한다.
도시숲은 기후보호형, 경관보호형, 재해방지형, 역사·문화형, 휴양·복지형, 미세먼지 저감형, 생태계 보전형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첫째, 기후보호형 도시숲은 기후 여건을 개선하고 깨끗한 공기를 순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둘째, 경관보호형 도시숲은 심리적 안정감과 시각적 풍요로움을 제공하여 자연 경관을 감상하고 보호한다. 셋째, 재해방지형 도시숲은 홍수, 산사태 등 자연재해를 방지하고 소음, 매연 등 공해를 완화하여 국민의 안전을 지킨다. 넷째, 역사·문화형 도시숲은 문화재 또는 종교적 장소와 전통마을 주변에 조성되어 역사를 보존하고 문화를 진흥한다. 다섯째, 휴양·복지형 도시숲은 체험, 놀이, 학습을 통한 교육과 산림욕, 산림치유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여섯째, 미세먼지 저감형 도시숲은 미세먼지 발생원으로부터 생활권으로 유입되는 오염물질을 차단하거나 흡수하여 저감한다. 마지막으로 생태계 보전형 도시숲은 생태계를 보전하고 복원하며 생태계가 서로 연결되도록 한다.
도시숲은 다양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먼저 도시숲은 풍부한 식물 다양성과 나무들로 이루어진 녹지 공간을 갖추고 있어, 도시 주민들이 자연의 아름다움을 감상하고 신선한 공기를 누릴 수 있다. 또한 도시숲은 다양한 동식물을 지원하여 도시 생태계를 강화하고 균형을 유지하며 생태 다양성을 지원한다. 이와 더불어 도시숲은 대기 정화, 물 관리, 기온 조절, 소음 감소 등 다양한 생태 서비스를 제공한다. 더불어 도시숲은 도시 문화의 일부로 자리 잡아 시민들에게 여가 활동이나 휴식의 장소로 활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시숲은 이산화탄소 흡수, 대기 정화, 도시 열섬 효과 완화 등을 통해 도시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2.2. 도시숲의 미세먼지 저감 효과
도시숲은 미세먼지 농도 저감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도시숲 내 나무들은 잎, 줄기, 가지 등의 미세구조를 통해 미세먼지를 흡착하고 내부로 흡수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도시숲의 높은 밀도로 인한 공기 난류 발생과 수관 밀도 조절을 통해 공기 흐름을 조절하여 미세먼지 농도를 낮추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숲은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세 가지 형태로 조성된다. 첫째, 미세먼지 발생원과 거주지 사이에 차단숲을 조성하여 오염원으로부터의 유입을 막는다. 둘째, 도시숲 내부의 공기 흐름을 최적화하고 접촉면적을 극대화하는 저감숲을 조성한다. 셋째, 도시 외곽의 산림과 연결하여 깨끗한 공기가 도심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바람길숲을 조성한다.
이러한 도시숲은 미세먼지 농도를 실제로 효과적으로 낮추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서울의 홍릉숲은 주변 지역보다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농도가 각각 255% 및 40%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경기 시흥산업단지 주변 도시숲 조성 후에도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가 각각 27% 및 2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도시숲은 효과적인 미세먼지 저감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2.3. 도시숲 조성 및 관리 현황
국내에서는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특별법에 따라 미세먼지 저감숲 조성이 추진되고 있다. 미세먼지 저감숲은 주거지역과 인근 미세먼지 발생원 사이에 차단숲, 저감숲, 바람길숲 등으로 구분되어 설치된다. 차단숲은 미세먼지가 생활권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고, 저감숲은 숲의 미세먼지 저감 기능을 극대화하며, 바람길숲은 숲에서 생성된 깨끗한 공기를 주민들의 생활권으로 공급한다. 이를 통해 나무의 ...
참고 자료
우리나라 최초로 숲 개념을 도입한 공원‘매헌시민의 숲’
https://parks.seoul.go.kr/template/sub/citizen.do
도시숲 등 사업 현장 실무가이드[미세먼지 차단숲등], 산림청, 2020.08.
이기진, “온실가스 줄이는 ‘도시숲’ 만들자” 산림청 발벗고 나섰다, 동아일보, 2023.06.23.
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230623/119902056/1
송갑수, 도시숲 활성화를 위한 국내·외 조성관리 정책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8
오충현, 도시재생 활성화를 위한 도시숲 유형분류, 동국대학교 대학원, 2020,
박미호 외(2018), 숲과 삶,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이재영(2023), 자연자원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손요환, 구창덕 외 3명(2024), 삼고 산림생태학, 향문사, 2024
공용(2022), 숲과삶, 도시에서 숲도시산림을 포함한 녹지공간으로 숲을 의미함이 도시 숲감소 및 훼손의원인 도시의숲보전방안
이경준, 2007, 산림생태학, 향문사
김인호 외(2003), 효율적인 도시숲 조성 및 보전 ․ 관리를 위한 제도 개선 방안 연구. 산림청
이도원, 고인수,박찬열, 2007, 전통마을숲의 생태계서비스, 서울대학교출판부
하성규․김재익․전명진․문태훈(2003), 지속가능한 도시론, 보성각
산림청, ‘2023년도 도시숲 경관·정원 사업계획’
정용환 특파원, 『스모그 위험성 확인?...중국 8살 폐암 확정』, JTBC뉴스
http://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aspx?news_id=NB10371104
고상민 기자, 『미세먼지 사회재난 규정 안전관리기본법 국회행안위 통과』, 연합뉴스, 2019.03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01&aid=0010685759&sid1=001
박영태 기자, 『교실 공기청정기 설치 의무화,,,미세먼지법, 교육위 통과』, 뉴시스, 2019.03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90311_0000583867&cID=10301&pID=10300
이덕환 교수, 『석탄, 석유 함부로 포기할 수 없다』, 투데이에너지, 2017.05
http://www.todayenergy.kr/news/articleView.html?idxno=123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