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복막투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투석의 개요
1.1. 투석의 정의
1.2. 투석의 목적
1.3. 투석의 적응증
2. 투석의 종류
2.1. 혈액투석
2.1.1. 혈액투석의 정의
2.1.2. 혈액투석 장치 구성요소
2.1.3. 혈액투석 방법
2.1.4. 혈액투석의 합병증
2.1.5. 혈액투석 환자의 간호
2.2. 복막투석
2.2.1. 복막투석의 정의
2.2.2. 복막투석의 원리와 종류
2.2.3. 복막투석 방법
2.2.4. 복막 투석의 합병증
2.2.5. 복막투석 환자의 간호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투석의 개요
1.1. 투석의 정의
투석의 정의는 확산, 삼투, 초여과라는 원리에 의해 수분과 용질이 반투막을 통과하여 이동하는 것이다. 확산은 환자 체내의 요소, 크레아티닌, 요산 등의 노폐물과 전해질을 제거하며, 삼투는 환자 체내의 과다 수분을 제거하는 방식이다. 초여과는 혈액과 투석액 사이의 반투막을 통한 수분의 이동으로 체내 과잉 수분을 제거하는 데 효과적이다. 혈액 투석 시에는 인공 콩팥기에 있는 투석막을, 복막 투석 시에는 배안을 둘러싼 복막을 반투막으로 이용한다.
1.2. 투석의 목적
투석의 목적은 혈액요소질소와 크레아티닌 등 단백질 최종 대사산물과 체내 과잉 수분을 제거하고, 전해질 및 산-염기 균형을 조절하며, 요독증상을 완화하고, 고혈압을 조절하며, 빈혈 상태를 개선하여 사회적 재활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혈액투석은 인공신장기를 이용한 체외순환을 통해 혈액을 정화하며, 확산과 초여과 원리에 의해 작동한다. 환자의 혈관을 이용하여 혈액을 체외로 빼내어 노폐물과 과잉 수분을 제거하고 정화된 혈액을 다시 체내로 주입한다. 혈액투석은 단시간 내 고효율로 노폐물과 수분을 제거할 수 있지만, 반복적인 병원 방문과 혈액 접근로 관련 합병증의 위험이 존재한다.
복막투석은 체내에 투석액을 주입하여 복막을 통해 노폐물과 수분을 제거하는 방식이다. 복막의 반투막 기능을 이용하여 확산과 삼투 현상으로 노폐물을 배출하고 수분을 제거한다. 복막투석은 환자가 가정에서 편리하게 투석할 수 있어 생활의 자유도가 높고 혈압 변동이 적은 장점이 있지만, 감염 위험과 지속적인 자가관리 부담이 따른다.
투석 방법의 선택은 환자의 건강 상태, 생활 방식, 경제적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해야 한다. 환자 개인의 특성과 요구사항에 맞는 최적의 투석 방법을 선택하고, 적절한 자가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의료진의 지속적인 교육과 지원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투석 치료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합병증을 예방하여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1.3. 투석의 적응증
사구체 여과율이 약 15mL/min/1.73m2 이하일 때 투석을 고려한다. 하지만 환자 상태에 따라 투석 기준은 달라질 수 있다. 오심, 구토, 식욕부진, 피로감, 호흡곤란, 소양증, 골이영양증, 발육 부진 등의 유의한 요독증이 있을 때 투석을 시행한다. 심낭염, 출혈, 운동성 신경증 및 의식장애가 있을 때도 사구체 여과율이 높더라도 긴급 투석을 실시한다. 고칼륨 혈증, 심한 대사산증, 체액과다로 인한 울혈성 심부전, 고혈압 등이 보존적 치료요법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에도 투석이 필요하다. 과도한 약물이나 독소를 제거해야 하거나 수혈 부작용으로 콩팥 기능이 멈추는 경우, 말기 콩팥 기능 상실 환자의 손실된 콩팥 기능을 영구적으로 대체해야 할 경우에도 투석이 적응증이 된다.
2. 투석의 종류
2.1. 혈액투석
2.1.1. 혈액투석의 정의
혈액투석은 인공신장기를 이용한 체외순환을 통해 혈액을 정화하는 방법이다. 혈액투석은 확산과 초여과라는 두 가지 원리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환자의 혈액을 체외로 끌어내어 인공신장기를 통과시켜 노폐물과 과잉 수분을 제거하고, 정화된 혈액을 다시 환자의 체내로 되돌려 보내는 것이다. 이를 통해 환자의 혈액요소질소와 크레아티닌 등 노폐물을 제거하고 체내 수분 균형을 조절할 수 있다.
2.1.2. 혈액투석 장치 구성요소
혈액투석은 인공신장기를 이용한 체외순환을 통해 혈액을 정화하는 방법이다. 혈액투석 장치는 크게 혈관통로, 투석기, 투석액, 항응고제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혈관통로는 투석에 필요한 충분한 혈액을 공급...
참고 자료
김영희, 「심장수술 환자의 회복의 질 영향 요인」, 《대한간호학회지》, 2014.
박은영, 「심장수술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예측요인」, 《한국간호과학회지》, 2010.
이승은, 「중환자실 내 성인 심장수술 환자의 섬망발생률 및 위험요인」, 《성인간호학회지》, 2019.
정동섭, 「판막 수술과 심방 세동 수술」, 《삼성서울병원 심장외과분과》, 2021.
최윤경, 정성희, 「성인간호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8.
Kim mi kyung et. al. Korean Society of Adult Nursing, Vol.9 No.3 1997.12 505 - 511 (7page).
김정민 외 5명, Comparison of Peritoneal Dialysis and Hemodialysis Patients Following Extended Treatment Periods in a Single Center, 대한내과학회지: 제92권 제1호 2017.
신영우, Recognition and Treatment of Myocardial Infarction, Journal of Korean life insurance medical association, v.16, 1997년, pp.73 - 76.
강경자 외 1명, The Health Behavioral Experience of Patients with Myocardial Infarction during the Recovery Period,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6 no.2, 2014년, pp.203 - 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