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유도분만 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유도분만의 정의 및 원인
3. 유도분만의 유형
3.1. 옥시토신을 이용한 유도분만
3.2. 프로스타글란딘을 이용한 유도분만
3.3. 인공 양막파막술
4. 유도분만의 적응증 및 금기증
5. 유도분만 시 간호 중재
5.1. 옥시토신을 이용한 유도분만 간호
5.2. 프로스타글란딘을 이용한 유도분만 간호
5.3. 인공 양막파막술 간호
6. 대상자 사정
6.1. 일반적 특성
6.2. 가족력
6.3. 과거력
6.4. 월경력
6.5. 과거 분만력
6.6. 현 건강상태
7. 간호진단
8. 간호중재 및 평가
9. 결론
10.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유도분만은 자연적인 자궁수축이 있기 전에 인위적으로 자궁수축을 유도하여 분만시키는 것이다. 임신의 지속이 모체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거나 모체의 상태가 태아의 생존에 영향을 미칠 때, 만삭이 되어도 분만이 시작되지 않을 때 시행한다. 유도분만은 옥시토신, 프로스타글란딘 등의 약리적 방법과 인공 양막파막술의 물리적 방법이 있다. 유도분만은 산모와 태아에게 이점이 있지만, 과도한 자궁수축은 태반기능부전, 태아 산소결핍증, 자궁파열 등의 위험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유도분만 시 산모와 태아의 준비상태를 면밀히 평가하여 유도분만의 성공 가능성을 판단해야 한다.
2. 유도분만의 정의 및 원인
유도분만이란 자연적인 자궁수축이 있기 전에 임신유지에 비해 분만하는 것이 산모 또는 태아에게 이득이 된다고 판단될 때 인위적으로 자궁수축을 유도하여 분만시키는 것이다. 유도분만은 임신의 지속이 모체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거나 모체의 상태가 태아의 생존에 영향을 미칠 때, 만삭이 되어도 분만이 시작되지 않을 때 시행한다. 옥시토신을 이용한 분만 선행조건은 태아가 종위이고 선진부가 두위이며, 경부소실이 시작되고 태아 생존력이 있으며 아두골반 불균형이 아닌 경우이다. 그러나 옥시토신을 과도하게 투여하면 자궁과자극으로 인한 태반기능부전, 태아 산소결핍증, 뇌외상, 강직성 수축으로 인한 태반조기박리나 자궁파열, 경관열상, 산후출혈 등의 위험이 있을 수 있다. 프로스타글란딘(PGE₂)은 자궁경관을 숙성시키는 작용이 있으며, 과숙아의 약 80%가 자궁경관이 숙화되지 않기 때문에 태아 생존을 위해 경관 숙성 과정이 필요하다. 인공 양막파막술은 자궁경관상태가 양호할 때, 자궁 수축을 자극하여 분만을 촉진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24시간이 지나면 양막염 등 감염의 우려가 있다.
3. 유도분만의 유형
3.1. 옥시토신을 이용한 유도분만
옥시토신은 자궁수축제로서 자궁경관의 소실과 개대가 충분히 진행되었으나 자연스러운 자궁수축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에 분만을 유도하기 위해 사용된다. 옥시토신은 혈관 주사로 투여되며, 정맥 투여 시 약효가 지속되는 시간은 약 3분 정도이다. 근육 주사로 투여할 경우에는 약 1시간가량 지속된다. 일반적으로 포도당이나 링거액 1000ml에 옥시토신 10unit(10,000mU)을 섞어 주입펌프로 투여한다.
옥시토신을 이용한 유도분만을 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선행조건이 필요하다. 첫째, 태아는 종위(head-first position)를 취하고 있어야 한다. 둘째, 자궁경관이 소실되기 시작해야 한다. 셋째, 태아의 생존력이 유지되고 있어야 한다. 넷째, 아두골반 불균형이 없어야 한다.
옥시토신 투여 시 주의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우선, 옥시토신의 투여 목적, 투여 과정, 주의사항 등을 산모에게 사전에 충분히 설명해야 한다. 그리고 투여 후에는 태아 심박동과 자궁수축 양상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한다. 만약 태아 심박동에 후기감퇴(late deceleration)나 심한 가변성 감퇴(severe variable deceleration) 현상이 나타나면 즉시 옥시토신 투여를 중단해야 한다. 또한 태변 배출이나 제대압박 등의 태아 질식 징후가 관찰되면 산모를 좌측 위로 눕히고 마스크를 통해 산소를 공급하며, 담당 의사에게 보고해야 한다.
옥시토신의 이뇨 억제 작용으로 인해 신장에 부담을 줄 수 있으므로, 수액 투여량과 소변량을 주기적으로 기록하고 소변량 감소 시 의사에게 보고해야 한다. 자궁수축 변화에 따라 산모에게 호흡법과 이완법 등을 교육하여 적절히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다.
3.2. 프로스타글란딘을 이용한 유도분만
프로스타글란딘(PGE₂)은 자궁경관을 숙성시키는 작용이 있다. 과숙아의 약 80%가 자궁경관이 숙...
참고 자료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편(2020), 「제 10판 여성건강간호학」, 수문사, p 456~462, p 471~473, p 499
약학 정보원, https://www.health.kr/searchDrug/search_total_result.asp
서울 아산병원, “회음열상”,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950
서울 아산병원, “유도분만”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281
소변검사, 질병관리본부 국가건강정보포털, 건강/질병 정보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
건강사정(2020), 「제 8판」, 학지사메디컬, p.95~104
여성건강간호학 2 제10판 수문사
비판적사고와 간호과정 계축문화사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편, 2020, 제 10판 여성건강간호학 Ⅰ,Ⅱ, 수문사
약학정보원 “중외옥시토신주”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210A0250
김선희. "산부의 피로정도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서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