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욕창 발생 예방의 중요성
욕창 발생 예방의 중요성이다. 욕창은 신체의 일정한 부위에 지속적인 압력이 가해져 발생하는 피부 및 하부조직의 손상 상태이다. 욕창 발생 시 환자의 고통과 경제적 부담이 증가하고, 합병증 등으로 인해 생명까지 위협할 수 있다. 따라서 입원 환자의 욕창 발생을 최소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욕창 예방을 위해 체계적인 욕창관리 지침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고위험군 환자 선별과 예방활동, 욕창 발생 시 적절한 치료 및 관리가 가능해진다. 또한 욕창 발생 보고체계를 수립하여 욕창 발생 현황을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개선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체계적인 욕창 예방관리는 입원 환자의 안전과 건강을 지키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1.2. 욕창 예방 관리 지침의 필요성
욕창 예방 관리 지침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입원 환자의 욕창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욕창 예방 관리 지침이 필수적이다. 욕창 위험도 평가와 고위험군 환자 관리, 효과적인 욕창 예방 간호 활동, 욕창 발생 환자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와 기록이 필요하다. 또한 욕창 발생 보고 체계를 갖추어 발생 현황을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더불어 욕창 예방 관리 활동에 대한 성과 관리를 통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개선해나가는 체계가 갖춰져야 한다. 이와 같이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욕창 예방 관리 지침은 입원 환자의 욕창 발생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2. 욕창 발생 예방 관리 지침
2.1. 욕창 평가 도구 및 기준
욕창 평가 도구 및 기준은 다음과 같다.
욕창 위험도 평가도구로 Braden Scale을 사용한다. 욕창발생 고위험군은 12점 이하, 욕창발생 위험군은 13점 이상 18점 이하로 평가된다. 9점 이하는 최고위험군, 10~12점은 고위험군, 13~14점은 중위험군, 15~18점은 저위험군으로 분류된다. 모든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입원 24시간 이내 초기 욕창 평가를 실시하고, 고위험군(13점 이하)은 매월 1회, 13점 초과 환자는 3개월마다 정기적으로 재평가한다. 또한 급격한 신체 상태 악화 시에는 즉시 재평가를 실시한다. 욕창위험도 평가 결과 13점 이하인 경우 욕창발생 고위험군으로 분류하여 집중적인 욕창예방 간호를 실시한다.
2.2. 욕창 발생 고위험군 환자 관리
욕창 발생 고위험군 환자는 입원 시 진행하는 Braden scale 평가 결과 12점 이하로 평가되는 환자이다. 이들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욕창 예방 간호를 수행한다.
먼저 욕창 고위험군 환자의 경우 EMR에 빨간색으로 표기하여 직원들 간 정보를 공유하며, 침상에 '욕창 고위험' 표식을 부착하여 환자와 보호자에게 욕창 고위험군임을 알린다. 예방활동 시 반드시 손 위생을 실시한다.
매 2시간마다 체위변경을 실시하며, 피부는 항상 청결하게 유지하고 실금이나 설사가 있는 경우 주의를 기울인다. 필요 시 상처 보호 제품을 사용하여 피부를 보호한다. 침상머리는 30도 이하로 유지하고 완전 측위보다는 30도 측위를 취한다. 발뒤꿈치나 뼈 돌출 부위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베개나 보조기구를 사용하여 압박을 제거한다. 또한 홑이불의 주름이나 라인, 물품에 의해 피부가 눌리지 않도록 주의한다.
수분 섭취를 충분히 하도록 격려하고, 치유를 위한 적절한 영양공급을 한다. 욕창 발생 위험군 환자와 보호자에게 욕창 예방 교육을 실시한다. 욕창을 악화시키지 않는 선에서 휠체어 보행을 격려하되, 압력을 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