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아동 급성위장관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급성 아동 위장관염의 정의와 원인
1.2. 아동 위장관염의 유행 특성
1.3. 아동 위장관염의 병태생리
2. 아동 급성 위장관염의 증상과 진단
2.1. 바이러스성 위장염의 증상
2.2. 세균성 위장염의 증상
2.3. 기생충성 위장염의 증상
2.4. 진단적 평가
3. 아동 급성 위장관염의 치료
3.1. 수액 및 전해질 보충
3.2. 약물 치료
3.3. 식이 요법
4. 아동 급성 위장관염의 간호중재
4.1. 체액 및 전해질 모니터링
4.2. 피부 통합성 유지
4.3. 감염 예방
4.4. 영양 및 수분 공급
4.5. 정서적 지지
5. 교육 및 퇴원 계획
5.1. 보호자 교육
5.2. 가정 내 관리 방법
5.3. 추후 관리 지침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급성 아동 위장관염의 정의와 원인
급성 아동 위장관염의 정의와 원인은 다음과 같다. 급성 위장관염은 바이러스, 박테리아, 기생충 등으로 인해 위와 장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흔한 원인균으로는 대장균(E. coli), 로타바이러스(Rota virus), 살모넬라, 이질균 등이 있다. 로타바이러스는 아동 설사의 가장 일반적인 바이러스성 원인이며, 아데노바이러스와 노로바이러스도 주요 원인이다. 박테리아성 위장염의 대표적인 원인균으로는 시겔라, 살모넬라, 대장균 등이 있다. 이러한 병원체들이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섭취하거나 사람 간 접촉을 통해 전파되면서 발병한다. 특히 보육원, 유치원 등 집단생활을 하는 아동들에게 호발하며, 영유아기에 주로 발생한다. 이처럼 다양한 원인균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위장관염은 아동에게 가장 흔한 위장관계 질환이다.
1.2. 아동 위장관염의 유행 특성
아동 위장관염은 전세계적으로 유행하는 질병이다. 로타바이러스는 5세 미만 아동 설사의 가장 흔한 원인균으로, 미국에서 5세 이하 아동 입원의 1/3에서 1/2이 로타바이러스 감염이 원인이다. 노로바이러스 감염도 자주 발생한다. 위장염은 아동에게 가장 흔한 외래 감염성 질환이며, 개발도상국가의 5세 이상 어린 아동에게 연간 거의 25만 건의 설사가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보육원, 유치원, 오랫동안 육아시설에 맡겨진 아동과 인체 면역력이 약화된 아동들이 고위험군이다. Giardia는 보육원 내 아동에게 나타나는 가장 일반적인 기생충이다. 따라서 아동 위장관염은 전세계적으로 널리 유행하는 질병이며, 특히 어린 아동과 면역력이 약한 아동에게 더 잘 발생한다.
1.3. 아동 위장관염의 병태생리
병원체가 장점막에 유착되면 더 이상 장 연동파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그 부위에서 제거되지도 않는다. 염증반응과 상피세포의 죽음으로 상피 침입이 발생한다. 이것은 궤양, 위막형성, 출혈을 일으키며 패혈증을 일으킬 가능성도 있다. 병원체가 증가하면서 독소를 분비한다. 장독소는 수액과 전해질의 이동을 초래하여, 장내 분비물을 증가시키고 동시에 부종으로 인해 흡수를 감소시킨다. 따라서 장에서 흡수하는 용량이 커져 다량의 설사와 탈수를 일으킨다. 세포독소(살모넬라)는 국소부종, 흡수장애 및 탈수를 일으킨다. 일부의 병원체는 또한 위장관계 밖에서 작용하는 신경독소를 생산할 수 있다. [1,2,3]
2. 아동 급성 위장관염의 증상과 진단
2.1. 바이러스성 위장염의 증상
바이러스성 위장염은 다양한 양상의 설사를 일으킨다.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주로 물설사를 하게 되며, 대변에 드물게 점액이나 혈액이 섞여 있다. 로타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보통 5~7일 동안 지속되는 설사를 경험하게 되며, 대부분의 소아에게 구토가 발생하고 일부 소아에게 열이 나타나기도 한다.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설사보다는 구토를 더 유발하며, 1~3일 정도만 지속된다. 아데노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설사 시작 1~2일 후에 경증의 구토가 유발되고, 설사는 1~2주간 지속될 수 있다. 아스트로바이러스 감염 시 증상은 경증 로타바이러스 감염과 유사하다. 이처럼 바이러스성 위장염은 설사, 구토, 열 등의 다양한 증상을 나타내며, 대변에서 혈액이나 점액이 관찰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2.2. 세균성 위장염의 증상
세균성 위장염은 열 증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고 혈액성 설사를 유발한다. 설사에는 대개 피가 섞여 있으며 화장실 갈 때마다 긴박성을 호소한다. 세균성 위장염 환자의 대변은 냄새가 심하고, 혈액과 점액이 섞여 있다. 또한 세균성 위장염은 열이 있으며 오한이 동반될 수 있다. 일부 세균성 위장염의 경우 두통, 목부위 강직, 불안정, 경련 등 신경독성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세균성 위장염의 증상은 열 증상 동반, 혈액성 설사, 긴박성 등으로 구...
참고 자료
김미예 외 11인 공저, 『아동간호학의 기초』, 군자출판사, 2007.
구보타 기소, 『0~1세 아기 교육』, 북뱅크, 2017.
마스다 가오리, 『아이가 좋아하는 성장발달놀이 140』, 길벗, 2017.
박은영 외,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2019.
손정태 외, 『기본간호학Ⅰ,Ⅱ』, 현문사, 2018.
지은선 외 10인 공저, 『아동간호학 Ⅰ,Ⅱ』, 현문사, 2019.
약학정보원, www.health.kr.
아동건강회복간호 김미예외18 수문사 p. 60-63
서울아산병원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725
삼성서울병원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bv/disease/info/view.do?CONT_ID=3035&CONT_SRC_ID=09a4727a8000f1cd&CONT_SRC=CMS
서울 아산병원-(http://www.amc.seoul.kr/asan/main.do)
삼성 서울병원-(http://www.samsunghospital.com/home/main/index.do)
윤희옥 외, 2016 아동간호학Ⅱ, 현문사, P303~312p
김영희 외, 2016, 최신 아동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817~820
김미예 외, 2014, 아동건강간호학, 수문사, P138~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