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아동간호학 제왕절개 케이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대상자 선정 동기
2. 문헌고찰
2.1. 만삭 전 조기양막파열(PPROM)의 정의 및 원인
2.2. 만삭 전 조기양막파열(PPROM)의 증상
2.3. 만삭 전 조기양막파열(PPROM)의 진단 및 검사
2.4. 만삭 전 조기양막파열(PPROM)의 치료 및 예방
3. 간호사정
3.1. 정보(인적사항)
3.2. 엄마의 정보
3.3. 분만력
3.4. 출생력
3.5. 활동과 휴식
3.6. 영양과 배설
3.7. 호흡유지
3.8. 신체사정
3.9. 진단검사
3.10. 투여약물
4. 자료요약 및 간호문제 도출
4.1. 의미 있는 자료요약
4.2. 간호문제 도출
5. 간호진단 도출
5.1. 우선순위 선정
5.2. 우선순위에 따른 간호진단 목록
6. 간호과정
6.1. 간호진단 #1: 미성숙한 피부와 관련된 피부손상(위험성)
6.2. 간호진단 #2: 미성숙한 면역기전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
6.3. 간호진단 #3: 연령 및 성별(1세 미만의 남아)과 관련된 낙상의 위험
6.4. 간호진단 #4: 비효과적 수유 양상 및 피부손상과 관련된 부모의 불안
7. 결론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아동간호학 분야에서 제왕절개 신생아에 대한 간호는 매우 중요하다. 현재 제왕절개 시술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제왕절개 신생아의 특성과 요구에 맞는 세밀한 간호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또한 제왕절개 신생아는 자연분만 신생아에 비해 생리적 미숙성이 크므로, 이들을 위한 전문적인 간호 중재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왕절개 신생아의 사례를 통해 이들을 위한 효과적인 간호 중재를 모색하고자 한다.
제왕절개 신생아에 대한 간호 실습 사례를 분석하여 이들의 특성과 요구에 부합하는 간호 계획을 수립하고 간호 중재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제왕절개 신생아의 건강 증진과 예후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1.2. 대상자 선정 동기
실습하는 기간 동안 제왕절개의 빈도가 자연분만보다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제로 조사한 결과, 제왕절개의 빈도는 우리나라의 경우, 1994년 통계에 의하면 전체분만의 31.5%를 차지하며, 점차 증가하여 1999년 하반기에는 39.2%에 이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현재에도 제왕절개의 횟수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제왕절개에 대한 문헌 고찰을 통해 적응증, 합병증, 수술 방법 등을 조사하고자 한다. 실습하며, 제왕절개 직후의 신생아를 볼 수 있었다. 분만 직후의 신생아는 미디어에서 나온 것과 다르게 바로 울지 않았다. 간호를 통해 신생아가 첫울음을 낼 수 있었다. 이러한 부분이 기존에 미디어가 주던 이미지와는 다르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따라서, 분만 직후 신생아를 위한 간호는 구체적으로 어떻게 해야 하는지 궁금증이 생겨 '제왕절개 신생아 간호'를 간호과정 케이스로 선정하게 되었다.
2. 문헌고찰
2.1. 만삭 전 조기양막파열(PPROM)의 정의 및 원인
임신 37주 이전, 자연스러운 진통이 있기 전에 막이 파열되는 것을 만삭 전 조기양막파열(PPROM)이라 한다. PPROM의 원인은 정확하지 않다. 질로부터의 상행성 국소감염이 태아막 약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경관 무력증, 선진부의 늦은 진입, 자궁 내 압력이 높은 경우, 산부의 연령, 다산부, 흡연, 조산, 임신 중 저체중 증가와도 관련이 있다. 정확한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파수 전 산도를 통한 상행성 국소감염이 태아 막 약화에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다. 양수과다, 자궁경부 무척증, 양막천자 후, 흡연, 다태임신, 태반조기박리, 기왕의 만삭 전 조기파막, 기왕의 자궁경관수술 또는 열상 등의 요인과도 관련이 있다. []
2.2. 만삭 전 조기양막파열(PPROM)의 증상
양막이 파열되면 바로 분만을 준비해야 하는 경우이다. 자궁경부가 4cm 이상 연화되었거나, 태아 폐성숙이 확인되었거나, 태아에 기형이 있거나, 태아의 성장 장애가 있거나, 태아 곤란증이 나타나는 경우이다. 이는 자궁 내 환경이 부적절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융모양막염이 의심되거나, 산모의 감염 위험성이 높은 상태일 때, 임신중독증이나 태반조기박리 등이 발생한 경우에도 분만을 준비해야 한다. 이처럼 분만을 준비해야 하는 경우는 태아와 산모에게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이다.양막이 파열되면 조기 진통과 감염의 위험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산부인과를 즉시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한다.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산모가 물 같은 것이 흘렀다는 것을 인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흐른 양과 시간은 진단과 치료에 중요한 정보가 된다.
2.3. 만삭 전 조기양막파열(PPROM)의 진단 및 검사
양수가 흐르면 조기 진통과 감염의 위험성이 높으므로 즉각적으로 산부인과를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한다.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치명적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산모가 물 같은 것이 흘렀다는 것을 아는 것이 중요하며, 흐른 양과 흐르기 시작한 시간은 진단과 치료에 중요한 정보이다.
산부인과 의사는 이 말에 중점을 두고 진단에 접근하며, 먼저 질경으로 양수가 흐르는지를 확인한다. 그 다음 Nitrazine 검사용지의 색이 변하는 지를 관찰한다. 용지는 오렌지 색이며 양수가 묻으면 초록색 내지는 푸른색으로 변한다. 이를 Nitrazine test(NTZ test)라고 한다.
대개 이 두 가지 검사를 시행하면 진단이 되나 그래도 애매할 경우 질 후방상부를 도말하여 현미경적으로 관찰한다. 그러면 고사리 잎 모양의 결정이 형성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 외 특수 검사로 Fivronectin이라는 성분 검출 검사를 시행하기도 하고, 양수 내에 태아에게 무해한 색소를 넣어 질 쪽으로 흐르는 지 살피기도 한다.
이처럼 양막파열 유무를 알기 위해 Nitrazine test와 PROM test를 시행하며, 애매할 경우 질 도말 검사를 실시한다. 이를 통해 정확한 진단을 내릴 수 있다.
2.4. 만삭 전 조기양막파열(PPROM)의 치료 및 예방
산모는 물 같은 것이 흐르면 일단 산부인과를 빨리 오는 것이 중요하다. 만삭이라도 12시간 이상 방치하면 감염 질환에 걸릴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산모뿐만 아니라 태아에도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만삭 전인 경우의 처치는 상황에 따라 좀 다르다. 큰 병원의 경우 임신 24~25주 이상이 되면 신생아를 살릴 수 있으나 그 이전이면 생존하기가 힘들다. 이럴 경우는 유산을 초래할 수 있다. 그러므로 현재의 임신 주수와 분만 예정일을 아는 것은 중요하다.
24~25주 이상인 경우는 즉시 분만을 해야 하는 경우와 임신을 지속해야 하는 경우를 판단하고 처치한다. 임신을 지속한다는 것은 손실과 이익을 생각했을 때 자궁 내에 있는 것이 태아에게 유리하기 때문이다.
임신을 유지하는 경우의 처치로는 일단 침상 안정을 하고, 감염의 위험을 막기 위해 태아에게 가장 안전한 항생제를 사용하며, 태아 뇌출혈 발생을 줄이기 위해 비타민 K주사, 폐성숙 유도를 위해 스테로이드를 주사한다. 또한 양수의 생성을 촉진하기 위해 수액을 적절히 공급하고, 진통이 오는 경우 자궁수축 억...
참고 자료
안영미,손민,김남희,강나래,강승연,정은미,Ahn Youngmee,Sohn Min,Kim Namhee,Kang Narae,Kang Seungyeon,and Jung Eunmi. "고위험신생아의 저체온증 현황 및 관련요인."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3.4 (2017): 505-514.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가이드/ 현문사/ Meg Gulanick, Judith L. Myers/ 2019
대상자 EMR 기록지, 입원생활기록지, 투약기록지, 간호기록지
아동간호학실습 임상실습지침서/ 석정원/ 2021
아동간호학Ⅰ/ 심인옥 외/ 학지사메디컬/ 2021
이수연 외, 최신 아동간호학, 수문사, 2019년 8월 28일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 제10판 여성건강간호학Ⅰ, 수문사, 2020년 2월 21일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편, 제10판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2020년 2월 21일
양선희 외, 기본간호학Ⅰ, 현문사, 2021년 1월 25일
양선희 외, 기본간호학 Ⅱ, 현문사, 2021년 1월 25일
이은혁 외,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고문사, 2022년 10월 1일
방경숙 외 공저. 『아동간호학』. 정담미디어. 2014
강현숙 외 공저, 「근거기반 기본간호학」, 수문사, 2014
성경숙. 『2018 아동간호학 실습Ⅰ 지침서』. 수문사. 2018
성미혜 외 9명. 『비판적 사고를 이용한 간호과정의 적용』. 정문각. 2015
「KMLE의학검색엔진」. (www.kmle.co.kr)
「드러그인포」. (www.druginfo.co.kr)
국제간호진단협회 저.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정담미디어. 2016
「차병원 건강칼럼」, “조기양막파열”,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101534&cid=51003&categoryId=5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