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부인과 임신성당뇨병 케이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임신성 당뇨병
2.1. 정의
2.2. 원인 및 병태생리
2.3. 임상 증상
2.4. 당뇨병이 임신에 미치는 영향
2.5. 진단
2.6. 치료/간호
3. 사례 연구
3.1. 간호 정보 조사
3.2. 진단 검사
3.3. 투약
3.4. 간호 진단
3.5. 간호 과정
4. 결론
4.1. 결론 및 느낀 점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임신성 당뇨병은 태반 호르몬의 분비 증가와 여러 생리적 변화로 원래 당뇨가 없던 사람이 임신 20주 이후에 당뇨병이 발생하는 경우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최근 5년(2015~2019년)간 임신성 당뇨 환자는 28만 9,494명으로 나타났다.
임신성 당뇨는 해마다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그 이유로 출산 전 비만 인구가 늘어났고 현대의학의 발달로 당뇨병이 있는 사람도 임신을 더 오랜 기간 유지할 수 있게 되었으며 산전 관리의 중요성으로 임신성 당뇨를 진단받은 빈도가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
혈당이 잘 조절되지 않으면, 분만 예정일 4~8주 전에 원인 불명의 태아 사망의 빈도가 증가한다고 보고되었으며, 고혈압과 거대아로 인해 제왕절개술의 빈도가 증가할 수 있다. 이 밖에도 태아에게 저혈당증, 저칼슘혈증, 고빌리루빈혈증, 적혈구 과다증, 신생아 호흡곤란증 등이 유발될 수 있어 임신성 당뇨를 조절하는 것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이번 시간에 문헌 고찰을 통해 임신성 당뇨를 이해해 보고 대상자의 사례를 통해 적절한 간호 진단을 내리고 이에 따른 간호 중재를 적용해 보고자 한다.
2. 임신성 당뇨병
2.1. 정의
임신성 당뇨병은 임신에 의해 유발되고 임신 중 당대사의 생리학적인 변화가 과장되어 나타난 결과로 임신 20주 이후에 처음 발생한 당대사 장애이다. 주로 임신 중반기, 말기에 대사 장애로 태아에게 손상을 초래한다. 그러나 드물게는 임신 초반기에도 고혈당증이 발생하여 태아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임신성 당뇨병의 치료 목표는 공복 혈당이 95mg/dL, 식후 1시간 혈당이 140mg/dL, 식후 2시간 혈당이 120mg/dL 이내로 유지되는 것이다.
2.2. 원인 및 병태생리
태아에서 분비되는 태반 락토겐 호르몬에 의해 인슐린 저항성(insulin resistance)이 증가한다. 즉, 혈당을 낮추는 인슐린의 기능이 떨어져 세포가 포도당을 효과적으로 연소하지 못한다. 정상 임산부는 이러한 인슐린 저항성을 극복하기 위해 췌장에서 인슐린 분비가 증가한다. 하지만 임신성 당뇨병이 있는 임산부는 인슐린의 저항성을 극복할 만큼 인슐린이 충분히 분비되지 못한다. 따라서 임신부에게 나타나는 인슐린 저항성과 관련된 인슐린 분비 장애가 임신성 당뇨병의 중요한 원인이 된다. 또한 임신성 당뇨병 임신부는 정상 임신부에 비하여 췌장 베타 세포의 기능이 감소되어 있다. 경구 당부하 검사 시 초기 인슐린 반응이 정상 임신부에 비하여 임신성 당뇨병 임신 시에 현저히 감소되어 있으며 정맥 당부하 검사 시에도 초기 인슐린 반응 및 2기 인슐린 반응이 감소되어 있다. 즉, 태아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인해 임산부의 인슐린 기능이 떨어지게 되면 이를 극복하기 위해 췌장에서 인슐린 분비가 증가하게 되는데, 이때 인슐린 분비가 충분치 않을 경우 임신성 당뇨병이 발생하게 된다.
2.3. 임상 증상
대부분의 임신성 당뇨병 환자들은 특징적인 증상이 없다. 임신성 당뇨병은 산전 검사를 통해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종종 피로감, 쇠약감 등의 증상을 나타내고, 임신성 고혈압을 동반하기도 한다.
대부분의 경우 특별한 증상이 없지만, 고혈당으로 인해 심한 갈증, 다식, 다뇨, 체중감소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고혈당이 지속되면 세포와 조직의 탈수 현상이 일어나 이러한 증상이 발생한다.
또한 당뇨병 합병증으로 감염, 특히 비뇨기 감염이 흔하게 나타난다. 모니리아성 질염의 발생률이 높고, 무증상의 세균뇨가 자주 발생하는데 치료하지 않으면 조산과 관련된 신우신염으로 발전할 수 있다.
임신성 고혈압의 발생률은 정상 임부보다 4배 이상 높다. 그 외에도 양수과다증의 빈도가 증가하는데, 그 원인은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삼투압, 태아 과혈당증으로 인한 이뇨작용 등과 연관된다고 한다.
2.4. 당뇨병이 임신에 미치는 영향
당뇨병은 임부와 태아 모두에게 다양한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다. 첫째, 임부에게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감염 위험이 증가하며, 특히 비뇨기계 감염, 호흡기계 감염, 산후 골반패혈증, 요로감염, 칸디다성 외음질염, 신우신염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또...
참고 자료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2020), p.253~259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2020)
서울아산병원 질환 백과, 「임신성 당뇨」
퍼시픽 학술편찬국, 『PUCIFIC KNLE 예상문제풀이 모성간호학』, ㈜퍼시픽 도도(2020), p.218~234
안숙희 외.(2021).모성·여성건강간호학 Ⅱ.서울: 현문사 P. 95-100
삼성서울병원, 건강정보, ‘임신성 당뇨병’,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content/contenView.do?CONT_SRC_ID=09a4727a8000f30e&CONT_SRC=CMS&CONT_ID=2753&CONT_CLS_CD=001020001010
서울아산병원, 의료정보 질환백과, ‘임신성 당뇨병’,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837
대한산부인과학회, 의학정보, ‘임신성 당뇨병’,
https://www.ksog.org/public/index.php?sub=1&third=8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건강정보, ‘임신성 당뇨병’,
https://health.cdc.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
대한당뇨병학회, ‘당뇨병, 습관을 바꾸면 극복할 수 있다.’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099150&cid=51005&categoryId=51005
대한진단검사의학회, https://labtestsonline.kr/
여성건강간호학 Ⅰ,Ⅱ 제 10판, 수문사 (2020)_최연순 외
산부인과학 지침과 개요 군자출판사 (2017)_구영모 외
EBN 기본간호학Ⅰ,Ⅱ 수문사 (2021)_송영신 외
김윤경 and 임경희. (2018). 조기진통 임부의 조산 발생 영향요인: 전향적 코호트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24(3), 233-242.
장영하. The Symptoms of Pregnant Women with Pruritus and Treatments – Focused on alternative medicine - 국내석사학위논문 대구한의대학교 보건대학원, 2014. 경상북도
정상협, (2018) Effects of the Temperament and Character on Depression, Anxiety, and Maternal-Fetal Attachment in High-Risk Pregnant Women
최은주, (2017) 일개 종합병원 입원환자의 낙상관련 특성 및 낙상발생 예측요인
김윤숙, (2013) 종합병원 입원 환자의 낙상 위험 요인 및 낙상 위험도 평가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서울 아산병원 의약품 정보 :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o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473
서울아산병원, 검사/시술/수술정보: https://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351
동탄제일병원 http://www.dongtanjeil.kr/main/main.html
차병원 건강칼럼 - 자궁 경관 무력증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101798&cid=63166&categoryId=51024
서울대학교병원 진단검사의학과 http://snuhlab.org/main/main.aspx
마음사랑 https://maumsarang.kr/maum/
00대학교 00병원 분만실간호 매뉴얼 2019개정
산부인과학 지침과 개요
노인장기요양기관 낙상예방 및 관리 지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