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모성간호 28주ptl"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선정이유
1.2. 연구 진행 방법
1.3. 사회적 의의
2. 본론
2.1. 문헌고찰
2.1.1. PTL
2.1.2. GDM
2.1.3. Placenta previa totalis
2.2. Case Study
2.2.1. 간호과정 1
2.2.2. 간호과정 2
3. 결론
3.1. 연구하면서 잘한 점, 못한 점
3.2. 제언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선정이유
동탄제일병원 산부인과 6층 병동에서는 조기진통(PTL)과 자궁경부무력증(IIOC) 환자들을 가장 많이 볼 수 있었다. PTL과 다른 질환을 함께 가지고 계신 환자분을 추천해 주셨고, 학교 이론 시간에 배운 여러 질환들을 실제 환자분의 사례를 보며 공부할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하여 PTL과 Placenta previa totalis, GDM을 가진 환자분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조산율이 계속해서 상승하고 있으며, 조산은 많은 산과적 문제를 발생시키므로 조기진통 산모에 대한 효과적인 간호와 치료에 관한 연구의 가치가 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실제 PTL 환자의 간호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1.2. 연구 진행 방법
동탄제일병원 산부인과 병동의 EMR과 차트 기록에서 가장 많은 자료를 얻었으며 활력징후 측정과 라운딩 시에 환자와의 대면을 통해 추가 자료를 수집하였다. 여성간호학교과서Ⅱ권 등 교과서를 보며 질환과 간호에 관하여 공부하였다.
1.3. 사회적 의의
조산율이란 전체 출생아 중 임신(재태)주수 37주 미만에 출생한 출생아의 비중을 말한다. 통계청 보도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조산율은 2007년 5.2%, 2012년 6.3%, 2018년 7.8%로 계속해서 상승하고 있다. 조산율 상승의 원인으로 고령산모와 다태아 분만의 증가로 보고되었다. 조기진통은 조산을 초래하며, 조산은 많은 산과적 문제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조기진통 산모에 대한 효과적인 간호와 치료에 관한 연구는 그 가치가 있다.
2. 본론
2.1. 문헌고찰
2.1.1. PTL
조기진통(PTL)은 임신 20주 이상~ 37주 이전에 자궁경관의 개대와 소실이 동반되면서 규칙적으로 자궁수축이 시작되는 것을 의미한다. 조산은 임신 20주를 지나 37주 이전에 분만하는 것으로 정의되며, 모든 조산의 약 75% 정도는 34~36주에 발생한다. 조산과 관련된 신생아 사망률의 33% 이상이 조기진통과 관련되어 있어, 간호의 목표는 조산의 예방이다.
조기 진통의 원인은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조기양막파열을 동반하거나 동반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임신성 고혈압과 태반이상 등의 고위험 임신으로 인해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기산통의 원인은 산과적, 내과적 합병증, 사회 행동적 요인의 영향을 받으며, 이 중에서도 전치태반, 임신성 당뇨병, 고령 등의 요인이 대상자에게 해당된다.
조기 진통의 증상과 징후는 포착하기 어려운데, 10분 보다 더 자주 발생하는 자궁수축, 갈색 질 분비물, 골반압박감 등이 있다. 조산의 위험을 사정하기 위해서는 감염을 알아보기 위한 혈구검사, 요로감염을 확인하는 소변분석검사, 양수분석검사 등의 진단적 검사가 활용된다. 태아섬유결합소 수치 증가, 질식초음파를 통한 자궁경부 길이 측정 등으로 조산 위험을 예견할 수 있다.
조기 진통은 산모에게 자궁수축억제제 투약과 절대안정, 제왕절개술 등의 치료와 관련된 문제를 야기한다. 산모는 자궁수축억제제 투약 시 저혈압, 빈맥, 불안 등의 부작용을 겪을 수 있고, 장기간 침상안정으로 인한 혈전형성 위험, 근육쇠약, 우울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신생아의 경우 폐의 미성숙, 감염, 출혈 등의 심각한 후유증의 위험이 있다.
조산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건강한 생활양식 격려와 함께 위험요인 관리가 중요하다. 조기진통이 나타나면 안정을 취하며, 자궁수축억제제 투여, 항생제 투여, 글루코코르티코이드제 투여 등의 약물요법이 시행된다. 그러나 경관 개대가 진행되어 조산이 불가피한 경우 신생아 소생술 등의 준비가 필요하다.
2.1.2. GDM
임신성 당뇨병(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은 임신 중 발생한 탄수화물 대사 장애이다. 대부분의 임부는 인슐린 저항을 극복하고 정상혈당을 유지할 수 있지만, 일부는 충분한 인슐린을 생산하지 못하거나 효과적으로 사용하지 못하여 GDM이 발생한다. GDM은 임신 말기에 주...
참고 자료
「여성건강간호학Ⅱ」,현문사, 박영주 외 공저, 제5판, 299~306p, 171~172p, 143~146p, 29~39p
「사례중심의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메디컬에듀케이션, 이동숙 외 공저, 2021, 263~393p
「최신 기본간호학Ⅰ」, 수문사, 송경애 외 공저, 2021, 170~177p
동탄제일병원 산부인과 EMR
사회보장위원회, 사회보장통계, 조산율,
https://www.ssc.go.kr/stats/infoStats/stats010100_view.do?indicator_id=456&listFile=null&chartId= 2014, 2022.08.07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조기진통,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952, 2022.08.06
네이버 지식백과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전치태반,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6862&cid=51007&categoryId=51007, 2022.08.06
약학정보원, 라보파주,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210B0046, 2022.08.06
약학정보원, 대한멸균생리식염수,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BBBBB2743, 2022.08.06
약학정보원, 동광베타손주,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130B0008, 2022.08.06
약학정보원, 유트로게스탄질좌제,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5071300015, 2022.08.06.
서울아산병원 검사/시술/수술 정보, 경구 당부하 검사,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172, 2022.08.06
서울아산병원 검사/시술/수술 정보, 당화혈색소,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105, 2022.08.06.
네이버 지식백과 간호학 대사전, C-펩티드검사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495509&cid=60408&categoryId=55558, 2022.08.06.
서울아산병원 검사/시술/수술정보, 중성지방,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82, 2022.08.06.
서울아산병원 검사/시술/수술정보, 고밀도 콜레스테롤,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84, 2022.08.06.
서울아산병원 검사/시술/수술정보, 콜레스테롤,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81 , 2022.08.06.
서울아산병원 검사/시술/수술정보, 혈소판,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114, 2022.08.06.
혈액검사 수치 알아보기, 인슐린 수치와 임상적 의의, https://normalvalue.tistory.com/109, 2022.08.06.
태동검사 / 태아안녕검사 / 비수축검사 (NST), https://blog.naver.com/aprilfam/222700125309,
2022.08.07.
자양방문요양센터, 손 씻기 6단계, https://blog.naver.com/klee6925/222793259090, 2022.08.07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편, 『여성건강간호학Ⅰ, Ⅱ』, 수문사, 2016년
이동숙·홍영혜·박미성·장희경 외 편저,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포널스출판사, 2016년
드러그인포; https://www.druginfo.co.kr/ (약물 참고)
한국임상의학연구소; http://www.kcllab.com/ (진단검사 참고)
하영수 외(2022), 여성건강간호학Ⅱ, 신광출판사
서울아산병원 의료정보(조기진통)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9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