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승모판폐쇄부전 중환자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심장의 해부학적 구조
1.2. 승모판 기능과 특성
2. 본론
2.1. 승모판막 폐쇄 부전증
2.1.1. 정의
2.1.2. 원인 및 위험요인
2.1.3. 병태생리
2.1.4. 임상증상
2.1.5. 진단 및 검사
2.2. 승모판막 폐쇄 부전증의 치료
2.2.1. 약물 치료
2.2.2. 수술적 치료
2.2.2.1. 승모판막 수선술
2.2.2.2. 승모판막 치환술
2.3. 수술 전후 간호
3. 결론
3.1. 승모판막 폐쇄 부전증 간호 요약
3.2. 향후 과제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심장의 해부학적 구조
심장의 해부학적 구조는 다음과 같다. 심장은 흉강 내 좌우 흉막사이의 종격에 위치하는 속이 비어있는 근육성 펌프기관이다. 심장은 두 폐 사이, 흉골과 늑연골 뒤, 식도와 흉대동맥 앞 및 횡격막 상부에 위치한다. 심장은 흉골 중앙선에서 2/3가 좌측으로 치우쳐 있다. 성인의 심장은 좌·우 심방과 좌·우심실로 4방으로 구성된다. 우심방은 전신순환으로부터 탈산화된 정맥혈을 받아들여 우심실로 보내며, 우심실에서는 폐동맥으로 펌프질을 한다. 좌심방은 폐정맥으로부터 산회된 동맥혈을 받아들여 좌심실로 보낸다. 좌심실은 체순환동맥으로 펌프질하게 된다. 체순환동맥은 동맥혈을 신체의 각 조직에 운반하고, 체조직에서는 산소를 공급받고 탄산가스를 버린다. 정상적으로 심장의 좌우편 사이는 통하지 않으므로 정맥혈과 동맥혈이 섞이지 않는다. 심장은 자신의 주먹만한 크기이며 무게는 약 250∼300gm이다. 저부, 심첨, 두 개의 면, 두 개의 연 및 여러 개의 구가 있다. 심장의 저부는 우측 상후방을 향하고 좌심방과 일부 우심방으로 이루어지며, 심첨은 좌측 전하방으로 향하고 주로 좌심실로 이루어진다. 심방동은 흉골중앙선에서 좌측으로 8∼9cm 떨어진 5늑간에서 잘 들을수 있다. 방실구는 심방과 심실을 나누며 전·후 실간구는 좌우심실을 나누는 경계표시가 된다. 심장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심근이 수축하여 혈액을 박출하고 전신을 순환시키는 펌프 작용이다. 즉, 심장은 혈액을 체내의 각 기관으로 보내는 중심 펌프 역할을 한다. 이처럼 심장의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은 매우 중요하다.
1.2. 승모판 기능과 특성
심장의 좌심방과 좌심실 사이에 위치하는 승모판은 좌심실 수축 시 좌심실에서 좌심방으로의 혈액 역류를 막는 기능을 한다. 정상적인 승모판은 좌심실 수축기에 완전히 닫히며, 이를 통해 심장의 효율적인 펌프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승모판은 두 개의 판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판엽과 판륜, 그리고 건삭과 유두근 등 복합적인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승모판은 좌심실의 수축과 이완에 따른 혈액의 유입과 배출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승모판은 좌심실의 형태와 기능을 유지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정상적인 승모판의 기능은 좌심실 수축력 증가와 이완 능력 유지에 기여하여 심박출량을 증가시키고 좌심실 부하를 감소시킨다. 이처럼 승모판은 심장의 전반적인 기능 유지에 필수적인 구조물이다.
2. 본론
2.1. 승모판막 폐쇄 부전증
2.1.1. 정의
승모판막 폐쇄 부전증(mitral regurgitation)이란 심장의 좌심방과 좌심실 사이에 위치한 승모판막이 수축 시에 잘 닫히지 않아 좌심실에서 좌심방으로 혈액이 역류하는 상태이다. 이러한 과정이 지속됨에 따라 좌심실이 확장되고, 좌심실의 기능이 감소되며, 좌심방의 확장으로 인해 심방세동 등의 부정맥이 발생할 수 있다.
2.1.2. 원인 및 위험요인
류마티스열이 과거에 가장 흔한 원인이었으나 그 빈도는 감소하고 있다. 현재는 노령에 따른 승모판막의 퇴행성 변화에 의한 것이 가장 흔한 원인이다. 퇴행성 원인 중에서 심장 수축 시에 승모판막이 좌심방 쪽으로 밀려나게 되는 승모판막 탈출증이 주요한 원인을 차지한다. 또한 관상동맥 질환의 합병증으로 심장 근육에 손상이 발생할 경우, 심장이 확장되어 승모판막 사이가 벌어져서 승모판막 폐쇄 부전증이 발생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선천성 질환, 심근경색증, 심내막염, 외상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승모판막 폐쇄 부전증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나이가 들수록 승모판막의 퇴행성 변화로 인한 위험이 높아지며, 관상동맥 질환이나 심근경색증, 심내막염 등 기저 질환이 있는 경우에도 승모판막 폐쇄 부전증에 대한 위험이 증가한...
참고 자료
이영우 편저(2001), 순환기학, 일조각, p.306~309, 392~393, 586, 588~589
이원로 편저(1998), 임상심장학, 고려의학, p.546
오현자 외 공저(1999), 인체해부학, 현문사, p.219~222
김형묵 편역(1997), 심장수술 환자의 처치와 간호, 고려의학, p.127~128, 176, 178
http://www.ekims.co.kr/
서울아산병원, ‘승모판기능부전’,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157
MAYO CLINIC, ‘Mitral valve regurgitation’, https://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mitral-valve-regurgitation/diagnosis-treatment/drc-20350183
Consultant 360, ‘New Onset of Severe Mitral Valve Regurgitation Status Post COVID-19 Recovery’, https://www.consultant360.com/photoclinic/new-onset-severe-mitral-valve-regurgitation-status-post-covid-19-recovery
서울대학교병원, ‘승모판막폐쇄부전증’,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578
저자 전시자 외 ,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2005년, p.800-p.850
저자 정희순, 참살이 의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년, p.698-p.746
저자 김조자 외, 성인간호학 2, 현문사, 2002년, p.740-p.735
저자 손덕옥 외, 심맥관장애 대상자 간호, 현문사, 2007년, p.103-p.130
네이버 의학사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27150&mobile&cid=51007&categoryId=51007)
코리안 메디안
(http://m.koreanmedi.com/medi/detail.php?Groups=35&part=35&Hid=2791)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health.mw.go.kr/Main.do)
드러그인포
(www.druginf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