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정신건강 관련 문헌고찰 및 연구방향 제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2. 문헌고찰
2.1. 정신건강 문제 관련 사회적 이슈 분석
2.2. 질환의 최신 지견 고찰
2.2.1. 조현병의 정의와 증상
2.2.2. 조현병 환자의 정신사회적 중재
3. 연구방법
3.1. 연구설계
3.2. 연구대상
3.3. 연구도구
3.4. 연구 중재내용 분석
4. 연구결과
4.1. 집단미술치료가 조현병 환자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4.2. 집단미술치료가 조현병 환자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
4.3. 회기별 변화 분석
5. 비판적 고찰
5.1. 잘된 점
5.2. 보완점
6. 결론 및 제언
6.1. 연구 결과 요약
6.2. 향후 연구 과제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만성 조현병 환자들은 질병의 특성상 스트레스에 대해 취약하고 대처기술이 빈약하며 독립된 생활을 영위하지 못함에 따라 의존성이 강하다. 또한, 반복되는 재발과 사회기능의 저하 질병의 진행 과정에 따라 대인관계에 있어 위축되므로 경쟁 관계 속의 직업 활동 유지 및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인지 치료는 적극적, 지시적이며 시간 제한적이고 구조화되어 있는 접근으로 개인이 세계를 구조화하는 방식이 그의 정서와 행동을 대부분 결정한다는 이론적 근거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인지 치료는 여러 정신장애를 치료하는데 사용되고 있으며 주로 우울증이나 공황장애, 사회공포증, 불안장애 등에 적용되면서 일반화된 해석 또는 자동적 사고에서 기인하는 불안유발 사고들이 교정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초기에는 인지적 접근법을 조현병 환자에게 적용하는 것이 적당하지 않다고 생각되어 졌으나 Kingdon과 Turkington을 비롯하여 조현병 환자의 양성증상을 교정하고 발병과 관련된 스트레스와 우울을 경감시키며 잔류 증상의 심각성을 감소시키는데 인지 치료가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조현병 환자들에 대한 접근은 정신증적 증상의 감소만을 목적으로 하지는 않는다. 주요한 증상의 감소 외에도 전반적인 기능 향상과 사회 적응력 등과 관련된 문제를 제외할 수 없는데 인지적인 접근이 환자들에게 이러한 측면의 문제에 대한 도움을 줄 수 있다.
1.2.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인지이론에 근거하여 조현병 환자를 위한 지역사회기반 인지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프로그램이 조현병 환자의 긍정적 정서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한다. 둘째, 인지프로그램이 조현병 환자의 정신건강 회복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한다. 셋째, 인지프로그램이 조현병 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한다. 넷째, 인지프로그램이 조현병 환자의 대인관계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한다.
조현병 환자의 긍정적 정서 향상, 정신건강 회복, 삶의 질 개선, 대인관계 변화를 위해 인지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2. 문헌고찰
2.1. 정신건강 문제 관련 사회적 이슈 분석
진주 변호사 스토킹 사건의 피의자가 조현병을 앓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조현병 환자의 범죄가 다시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렇게 강력범죄를 일으킨 조현병 환자들에 대해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면서 새로운 논쟁이 생겨나고 있다. 한 사례를 예시로 들면, 자신을 변호해준 여성 변호사의 사무실에 찾아가 불을 지르겠다고 위협한 40대 A씨의 경우, 이번이 처음이 아니었다. 지난 2007년에는 본인에게 잔소리를 한다며, 숙모를 흉기로 무참히 살해했고, 8년 전에는 함께 일하던 동료의 얼굴을 흉기로 찔렀다. 재판부는 재범의 위험성은 인정하면서도 A씨에게 각각 무죄와 징역 4년 형을 선고했다. 단지 조현병을 앓고 있다는 게 이유였다. A씨는 범죄를 저지른 뒤, 교도소가 아닌 치료감호시설에 수용돼 치료받았다. 하지만 국내 치료 감호 시설은 단 2곳뿐이라 수용자가 제대로 된 치료를 받을 가능성은 낮다. 조현병의 특성상, 상담치료가 중요한데 이곳은 의사 한 명이 담당해야 하는 대상자가 80명이 넘기 때문이다. 출소 후 A씨에 대한 국가의 관리는 거의 전무했다. 주거지나 야간통행 제한 조치는 아예 없었고, 제대로 된 보호관찰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웃들과 갈등이 있어도 강제 입원을 시킬 수 없었다. 현행법상 의사의 동의가 있어야 행정 입원이 가능한데, 담당 의사들은 A씨의 보복이 두려워 행정절차 개시조차 하지 않았다. 실제 정신질환자의 범죄율은 0.1%대로 비정신질환자에 비해 훨씬 낮다. 하지만 정신질환자의 재범률은 66%에 달한다. 비정신질환자에 비해 3배 넘게 높은 수치이다. 법의 테두리 안에는 있지만 우리 사회에서 소외되고 있는 조현병 환자들은 이러한 사건들 때문에 인식이 더더욱 안 좋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사실상 조현병이라는 질환 자체와 범죄의 상관관계는 없다. 그렇기에 조현병 환자 자체에 대한 부정적인 선입견을 가지고 있으면 안 된다고 생각한다. 다만 재범률이 높다는 통계는 분명 의미가 있어 전과가 있는 조현병 환자에 대해서는 국가가 책임을 지고 관리 감독을 해주어야 하는 사항이다. 조현병 환자들의 편견을 깨부수기 위해서는 이러한 조현병을 지닌 범죄자 관리 및 감독을 하여 재발률을 낮추는 데에서부터 시작해야 될 것 같다. 사회가 조금 더 관심을 가진다면 과거에 발생했던 사건들로 인한 인식들을 만회할 수 있을 것이다.
2.2. 질환의 최신 지견 고찰
2.2.1. 조현병의 정의와 증상
조현병(schizophrenia)은 제대로 조율되지 않은 현악기처럼 혼란스러운 상태를 보이는 심각한 정신장애 중 하나이다. 조현병은 망상과 환각, 와해된 사고와 언어, 와해된 행동과 음성 증상이 특징적인 증상이다. 조현병 환자들은 비논리적인 사고와 추상적인 이해가 어려워 개념을 형성하는 데 문제가 있으며, 이는 ...
참고 자료
Kim, Eun-Jeong, A. (2018).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the Self-efficacy and the Subjective Happiness of Schizophrenia Patients Living in the Health Care Facilities. 한국예술치료학회지, 18(1), 39-56.
Park Bo-young. (2018). "A case study of group art therapy centered on self-portrait expression in 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Master's thesis in Korea Dongguk University, Seoul.
LG HelloVision. (2022). [Minority of the law] Schizophrenia criminals, whether to manage or neglect. Retrieved October 03, 2022, from
http://news.lghellovision.net/news/newsView.do?soCode=SC20000000&idx=345407
이명순(2015. 10). 건강증진이 기반한 주요 원칙과 가치 : 오타와 헌장 및 세계보건기구 관련 문헌 등을 중심으로.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32권 제4호 pp1-11.
조유향, 박인혜, 고정은(2014). 지역사회간호학 총론. 서울:현문사
Kim, Y .S.(2015). Health promotion services in primary care. Paper session presented at the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Seo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