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미시경제학 이론으로 최저임금 관련 사회적 이슈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미시경제학 이론으로 최저임금 관련 사회적 이슈 분석
2.1. 최저임금 상승의 경제적 영향
2.2. 열등재의 가격 상승 효과
2.2.1. 대체효과
2.2.2. 소득효과
2.3. 수요의 가격 탄력성
2.3.1. 구간 탄력성
2.3.2. 점 탄력성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우리는 언제나 경제의 변동성을 장악하고 싶어 한다. 예측할 수 없는 경제변수의 흐름을 예측할 수만 있다면 지금 사회가 감수해야 하는 비효율은 상당히 줄어들 수 있기 때문이다. 경제학이 고도로 발달하고 사람들이 수많은 함수를 사용해서 경제적 역학관계를 분석하는 이유도 거기에 있다. 우리는 앞으로 경제가 어떠할 것인지에 대해서 확인하고자 한다. 정부나 은행도 마찬가지로 무슨 일이 일어날 때마다 경제전문가가 모여서 경제변수의 변동을 확인하고 앞으로 시장의 상태를 분석한다. 그들 역시 경제의 흐름을 장악하기를 원한다. 하지만 현실에서 미래의 경제를 파악하기란 불가능에 가깝다. 실제로 경제학에서 사용하는 많은 이론적 수단은 현실을 충분히 설명하지 못하고 있으며, 경제학을 배운 전문가들도 완전히 시장의 흐름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너무 복잡해진 시장은 이제 자신만의 질서로 아무도 예측하지 못하는 방향으로 흘러가기 때문이다. 그러나 경제학의 방법론이 현실경제를 충분히 설명하지 못한다고 해서 이를 무용하다고 취급할 수는 없다. 모든 학문은 자신이 설명하고자 하는 것을 완전히 설명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오히려 경제학이 더 현실을 잘 반영하도록 더 많은 연구를 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미시경제학의 요소를 분석하는 일은 현실의 경제가 변화하는 기본적인 원리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미시경제학의 요소인 최저임금과 열등재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먼저 분석하고, 이후 미시경제학의 중요한 요소인 수요의 가격 탄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2. 미시경제학 이론으로 최저임금 관련 사회적 이슈 분석
2.1. 최저임금 상승의 경제적 영향
최근 대한민국의 경제와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이슈는 소득주도성장의 일환으로 추진된 최저임금 상승이다....
참고 자료
박덕제외 (2015), 『노동경제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노동경제학 교재)
George J. Borjas 저/송헌재,강창희,박철성 공역, 노동경제학, 시그마프레스
이슈케이머, [新 계급사회 Ⅲ] 프리캐리아트 시대를 말하다, 2016.1.31.
프레시안, 살아남은 자의 슬픔, 2015.1.6.
김광호, 2017, 선형 수요곡선 간 탄력성 비교 - 가격절편을 이용한 탄력성 비교 및 활용
= Comparing the Price Elasticities of Linear Demand Curves - Comparison of Elasticities Using the Price Intercept and Its Applications
최경수, “최저임금 상승의 경제적 효과”, KDI(한국개발연구원), 2018.
이준구, “미시경제학”, 문우사,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