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간호관리학 실습 개요
1.1. 실습 목적 및 내용
간호 관리 실습의 목적은 간호관리자의 역할과 기능을 이해하고 관리 실무를 체험함으로써 간호관리의 전문성을 제고하는 것이다. 실습 내용은 병동 특성 파악, 수술 환자 관리 과정, 전산 간호 관리, 간호관리자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학습 및 실습으로 구성된다. 이를 통해 효과적인 간호 관리 기법을 익히고 실제 임상 환경에서의 간호관리 업무를 이해할 수 있다.
실습 일정은 총 2주간 이루어지며, 병동 특성 파악, 수술 환자 관리 과정, 전산 간호 관리, 간호관리자의 역할과 기능, 재무관리, 권한과 위임, 수술 술기 및 합병증, 인사고과와 평가, 멸균 관리 및 물품 보관 등의 주제로 구성된다.
실습을 통해 간호관리자의 역할과 업무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실무 능력을 배양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수술 환자 관리와 전산 간호 관리 실습을 통해 환자 간호에 대한 통합적 접근을 익히고, 간호관리자의 다양한 기능과 역량을 함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2. 실습 일정
2018년 6월 18일 월요일부터 2018년 6월 27일 수요일까지 총 2주간 간호관리학 실습을 진행하였다. 실습 첫 날인 6월 18일에는 수술실 소독법 설명을 듣고 소독을 실시하였으며, 수술실에 대한 오리엔테이션을 받았다. 이후 Hemo 수술, 경피적 척추 성형술, Hernia 수술, Open reduction of fracture 수술 등을 관찰하며 수술 과정을 파악하였다. 6월 19일에는 전체 수술실 청소를 하고, spinal stenosis 추간판 내 고주파열 치료술을 관찰하였다. 6월 22일에는 ORIF 수술을 관찰하였으며, 6월 25일에는 replacement hemiathroplasty(Hip) 수술, CRIF 수술, 경피적 척추 성형술 등을 관찰하였다. 또한 인사고과, 멸균물품 보관법 등에 대해 배웠다. 이렇듯 총 2주간 다양한 수술실 실습과 간호관리 이론 학습을 병행하며 간호관리학 실습을 진행하였다. [1]
2. 병동 특성 파악
2.1. 병동 구조 및 환경
실습한 병동은 OS 주진료과의 병동이다. 이 병동은 수술실과 인접해 있으며, 수술 및 시술 관련 환자들이 입원해 있다. 병상 수는 수술실이 6개이다. 주 시술 및 검사로는 핀 고정술, C-arm 기계를 이용한 시술과 수술, 요추천자 등이 있다.
환자들의 주 간호문제로는 수술과 관련된 불안, 침습적 처치로 인한 감염 위험성, 수술과 관련된 통증 등이 있다. 주 간호진단으로는 치핵, 골절, 탈장 등이 확인되었다. 이에 따른 간호계획으로는 전신마취를 받은 환자의 앙와위 자세 유지와 진통제 투약 요청 방법 교육 등이 포함되었다.
병동의 시설로는 간호사실, 처치실, 린넨실, 배선실, 화장실, 물품보관창고, 의사실 등이 있다. 소화전은 없었지만 소화기가 3개 비치되어 있었다.
병동 인력은 간호과장 1명, 간호사 10명, PA 1명, 간호조무사 1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간호사 경력은 1년 미만 1명, 1-3년 2명, 3-5년 3명, 5-7년 3명, 7년 이상 3명이었다.
2.2. 입원 환자 특성
병동에 입원해 있는 환자들은 주로 bronchitis, pneumonia, acute hepatitis, pneumothorax, heart failure 등의 질환을 앓고 있다. 환자들의 연령층은 다양하며, 특히 노인 환자들이 많은 편이다. 환자들의 건강 상태가 좋지 않고 침습적 처치로 인한 감염 위험성이 높으며, 수술로 인한 불안과 통증을 겪고 있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전인적인 간호가 필요하다. 입원 환자들은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간호 요구가 높은 편이며, 질병 및 치료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병동 내에서는 이러한 환자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맞춤형 간호를 제공하고 있다.
2.3. 주요 간호 문제 및 간호 진단
수술과 관련된 불안은 수술실에 입장하기 전 대상자에게 흔하게 나타나는 간호문제이다. 대상자는 수술과 마취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해 불안해하며, 이는 수술 후 회복기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간호사는 수술실 입실 전 대상자의 불안을 사정하고, 이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적절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