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C57BL/6"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C57BL/6 쥐를 이용한 실험
1.1. 초록
1.2. 서론
1.3. 재료 및 실험 방법
1.4. 결과
1.5. 고찰
2. Stereotaxic injection 방법을 이용한 마우스 뇌의 특정 부위 염색
2.1. 초록
2.2. 서론
2.3. 재료 및 실험 방법
2.4. 결과
2.5. 고찰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C57BL/6 쥐를 이용한 실험
1.1. 초록
인간과 뇌 구조가 유사한 C57BL/6 쥐(마우스)의 뇌 특정 부위에 염색약을 주입하는 Stereotaxic injection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목적은 뇌 입체 해부도를 기반으로 쥐의 뇌 특정 부위를 정확히 염색하는 것이다. 실험에서는 쥐의 해마를 염색하기 위해 두개골의 Bregma와 Lambda 지점을 기준으로 (-2.0, -1.95, -2.0) 좌표에 염색약을 주입하였다. 그러나 실제 염색 결과는 목표 부위인 해마가 아닌 다소 다른 부위에서 확인되었다. 이는 실험체마다 뇌 구조가 다소 상이할 수 있어 Stereotaxic coordinates만으로는 정확한 좌표를 설정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험체의 수를 늘려 보정하거나 좌표값을 수정하는 등의 추가 실험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1.2. 서론
동물실험은 인간과 유사한 특징을 갖는 동물 실험체를 이용하여 개발 중인 신약의 안정성, 독성 등을 평가하고 특정 질병의 발병 과정을 알아내는 데에 사용된다. 이때, 동물실험을 통해 얻는 과학적·사회적 이로움이 동물에게 주는 고통과 피해보다 더 크다고 인정되는 경우 타당성(과학적 정당성)이 확보(Harm-Benefit Analysis)되므로, 연구자가 제시한 연구목적 및 동물실험의 필요성에 근거하여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해당 동물실험을 반드시 하여야 하는지에 대하여 면밀하게 검토하여야 한다. 이는 인체에 직접적으로 실험하지 않고 실험동물에 적용하여 앞서 결과를 확인하고 보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실험과정이라 볼 수 있다. 이때 사용하는 실험 동물들은 수명은 길지 않고 번식력은 우수하며 최종적으로 약물이 적용될 인간과 생리적인 특성이 유사하다는 점 때문에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이번 실험에서도 사용된 마우스의 경우 C57BL/6에 속하는 C57BL/6J로서 이 종은 세대교체가 빠르게 일어나고, 번식능이 우수하며 사육이 간편하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동물실험 시동물의 고통 절감을 위한 마취 과정이 중요한데 나이(주령), 성별, 체중에 따라 적합한 마취제의 양이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실험 전 투여 량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1.3. 재료 및 실험 방법
마우스는 몸무게 25g인 C57BL/6J종을 이용하였다. 사용한 시료는 Alfaxan: Rompun (5:1) 비율의 마취제(150ul)를 1mL 주사기로 주입을 하였고, 소독을 위한 70% ethanol, 염색약인 Dye (2% Evans blue) 1ul이다. 이 외에 사용한 기구는 Stereotaxic 장치, 드릴, 면봉, brain matrix, Hamilton syringe, 네임 펜, 면도날, 수술용 가위와 칼, 집게이다.
먼저 실험체인 C57BL/6J(이하 '마우스')를 마취하기 위해 손으로 고정하여 움직이지 못하게 잡아 둔 후 마우스의 왼쪽 뒷다리에 Alfaxan: Rompun (5:1) 비율의 마취제를 150ul주사했다. 이후 약 10분 후 마취 되어있는 마우스의 사지를 핀셋으로 건드려 제대로 마취가 되어있는지 확인하였다. 이후, Stereotaxic장치의 고정용 틀 중, 앞니 고정용 틀을 이용하여 마우스의 앞니를 고정하였고, Stereotaxic장치에 엎드린 상태로 머리가 양옆으로 흔들리지 않게 몸을 고정시켰다. 이때, 머리를 눌러 좌우로 움직임이 없게 만드는 것이 중요했는데 이는 AP축을 일직선으로 만드는 과정이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머리가죽을 가위를 이용하여 AP축을 따라 약 1cm정도를 가른 후 Bregma지점을 찾았다. Bregma지점을 찾은 후, 70% ethanol을 묻힌 면봉을 이용하여 두개골을 감싸고 있는 막을 제거하고 바늘이 bregma지점에 위치하도록 조작하였다. 이때 bregma지점에 위치한 바늘의 좌표를 Stereotaxic장치에 (0, 0, 0)로 설정한 후 AP축을 따라 바늘을 이동시켜 Lambda지점까지 ML축의 좌표가 그대로 0인 것을 확인하여 마우스가 일직선으로 고정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하였다. 기준점 설정이 끝난 후 실험에 앞서 설정한 x, y좌표인 (-2.0, -1.95)에 바늘을 위치한 후 그 부위의 두개골에 네임펜을 이용하여 작게 표시하였다. 이후 Stereotaxic 고정 틀을 빼낸 후 네임펜으로 표시된 부위를 작은 드릴을 사용하여 구멍을 뚫었다. 틀을 다시 고정시킨 후, bregma 부분으로 바늘을 이동시켜 x, z축 좌표가 0인지 재확인하였는데, 드릴을 이용해 두개골을 뚫는 과정에서 기준점이 어긋날 수 있기 때문에 재확인 과정을 거친 것이다. 이후 원하는 좌표로 다시 이동하고 바늘을 뚫어 놓은 구멍 안으로 z축 좌표가 -2.0이 되도록 위치시킨 후 염색용 약품을 천천히 주입하였다. 주입 과정은 약 5분간 이루어졌으며, 이때 QSI(quintessential stereotaxic injector)를 이용해 volu...
참고 자료
Maxam AM, Gilbert W. A new method for sequencing DNA. Proc Natl Acad Sci U S A. 1977 Feb;74(2):560-4. doi: 10.1073/pnas.74.2.560. PMID: 265521; PMCID: PMC392330.
Geoffrey M. Cooper (2019), The Cell_ A Molecular Approach, 8th ed, Oxford University Press, pp.315-321
Satoshi Inouye, Kazuhiko Umesono, Frederick I. Tsuji, [37] Special properties of green fluorescent protein-S65A, Methods in Enzymology, Academic Press, Volume 302, 1999, pp. 444-449
강영희 (2014) 생명과학대사전, 개정판, 도서출판
Yair Adereth, Kristen J. Champion, Tien Hsu & Vincent Dammai (2018) Site-directed mutagenesis using Pfu DNA polymerase and T4 DNA ligase, Biotechniques, VOL. 38, NO.6, pp. 864-868
Roger Heim, Roger Y Tsien, Engineering green fluorescent protein for improved brightness, longer wavelengths, and fluorescence resonance energy transfer, Current Biology, Volume 6, Issue 2, 1996, pp.178-182
A. S. Motahari, G. Bresler and D. N. C. Tse, (2013) "Information Theory of DNA Shotgun Sequencing," in IEEE Transactions on Information Theory, vol. 59, no. 10, pp. 6273-6289
Dave Nelson, Michael Cox (2021) Lehninger principles of biochemistry, eighth edition, W. H. Freeman, pp.1210-1214
Neil A. Campbell et al. (2017) - Biology_ A Global Approach (Global Edition) 11 edition, Pearson, pp.448-449
식품의약품안전처 “실험동물운영위원회(IACUC) 표준운영 가이드라인” 동물실험의 필요성
Engber, Daniel (17 November 2011). "The Trouble with Black-6: A tiny alcoholic takes over the lab"
Geiger, B. M., Frank, L. E., Caldera-Siu, A. D., Pothos, E. N. (2008). "Survivable Stereotaxic Surgery in Rodents"
Hawkins BT, Egleton RD (2006). "Fluorescence imaging of blood–brain barrier disrup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