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임신과 출산은 여성의 삶에 있어 가장 중요한 기간이다. 임신과 출산은 여성의 건강과 안녕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며, 따라서 이에 대한 세심한 관찰과 적절한 간호가 필요하다. 본 레포트에서는 모성간호 실습 과정에서 관찰한 산모의 사례를 바탕으로 임신과 출산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살펴보고자 한다. 사례 산모에 대한 일반사항, 임신력, 건강력, 임상검사, 약물 관리, 입원 시 정보, 신체검진, 분만 진행 과정 등을 상세히 기술하여 임신과 출산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간호사로서의 역량을 키우고 임신과 출산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갖출 수 있을 것이다.
2. 일반사항
38세 연령의 윤OO 산모는 기독교 종교를 가지고 있으며 세무 관리직 직업을 가지고 있다. 경제상태는 중간 수준이다. 임신 전 체중은 67kg이었으나 현재 74kg으로 증가하였고, 신장은 158cm이다. B형 양성 혈액형을 가지고 있으며, 체온은 37.3도, 맥박은 분당 98회, 호흡은 분당 20회, 혈압은 120/80mmHg로 정상 수준이다. 흡연과 음주 습관은 없으며 모유수유를 계획하고 있다. []
3. 현재 산과력
G:(1) T:(1) P:(0) A:(자연(0), 인공(0)) L:(1)이다. 임신 38+1주차이며, L.M.P.와 P.M.P.는 알 수 없다. 현재 임신 주수는 38+1주이고, E.D.C.는 2019년 9월 16일이다.
4. 동거가족에 대한 과거력
고혈압과 류마티스가 있는 친부와 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산모의 가족력에 고혈압과 류마티스가 있음을 알 수 있다.
5. 과거 건강력
본 산모는 2019년 6월 12일부터 2019년 8월 26일까지 R/O PTL, short cx 진단 하에 입원한 적이 있다. 이는 임신 및 출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질병으로 볼 수 있다. 또한 2016년 12월 HSG 검사 결과 양쪽 난관이 막혀있었으나 촬영 시 뚫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2017년 8월 Rubella IgG(+) 진단을 받았다. 이처럼 본 산모는 과거 임신 및 출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건강 문제가 있었다.
6. 임상검사
혈액 검사 결과 확인 결과, 산모의 WBC 수치가 점차 증가하고 있음이 관찰되었다. 8월 31일에 11.36×103/μL였던 WBC 수치가 9월 1일 11.4×103/μL, 그리고 9월 2일에는 13.1×103/μL로 증가하였다. 이는 급성 감염, 외상, 순환 장애와 관련될 수 있다.
또한 RBC 수치가 3.59×106/μL, 2.62×106/μL, 2.78×106/μL로 점차 감소하고 있어 빈혈, 류마티스열, 출혈, 백혈병, 골수 기능 부전 등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에 따라 Hb 수치도 10.8 g/dL, 7.9 g/dL, 8.6 g/dL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Hct 수치 또한 31.1%, 23.0%, 24.5%로 정상범위(33-44%) 미만으로 나타나, 빈혈, 백혈병, 실혈 등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외에도 혈소판 수치가 148×103/μL로 정상범위(150-450×103/μL) 미만으로 관찰되어 출혈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종합해보면, 산모의 WBC 증가, RBC 및 Hb, Hct 감소, 혈소판 감소 등의 임상검사 결과를 통해 감염, 빈혈, 출혈 등의 위험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7. 약물
아세클로페낙정 [Aceclofenac 100mg]은 염증 완화와 통증 감소를 위해 사용되는 약물이다. 1회 100 mg을 12시간마다 1일 2회 복용한다. 주요 적응증은 류마티스관절염, 강직척추염, 골관절염(퇴행관절염) 및 견갑상완골의 관절주위염, 치통, 외상 후 생기는 염증, 요통, 좌골통, 비관절성 류머티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