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간호사 법적기준

  • 1
  • 2
  • 3
  • 4
  • 5
  • 6
>

상세정보

소개글

"학교 간호사 법적기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학교 간호사 법적기준
1.1. 지역사회간호사업을 위한 4가지 우선순위선정기법(PATCH, Bryant, BPRS, PEARL)의 개요와 차이
1.2. 우리나라 의료법에 의한 전문간호사 중 지역사회간호사업과 밀접한 3개 직종(보건, 가정, 산업)전문간호사의 역할, 활동현황, 향후방향
1.3. 우리나라 학교간호사업 관련 보건교사의 자격과 직무, 현재 활동 현황과 변화양상, 향후 발전방향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학교 간호사 법적기준
1.1. 지역사회간호사업을 위한 4가지 우선순위선정기법(PATCH, Bryant, BPRS, PEARL)의 개요와 차이

지역사회 내에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건강관련 문제들에 적용될 수 있는 PATCH 모형은 1983년 미국 질병관리본부인 CDC에서 지역 보건 요원의 보건기획사업의 지침으로 개발되었다. PATCH 모형은 5단계로 구성되어 있는데, 1단계 지역사회조직화, 2단계 데이터 수집과 분석, 3단계 우선순위선정, 4단계 포괄적 중재계획 개발, 5단계 평가로 이루어져 있다.

Bryant의 우선순위 선정기준은 앞서 살펴본 PATCH 모형과 달리 지역사회내의 한정된 자원으로 파악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제에 우선순위를 어떻게 부여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방법이다. Bryant의 우선순위 선정 기준은 ①건강문제의 크기 ②문제의 심각성 ③해당문제에 대한 지역사회의 관심도 ④문제를 다루는데 있어서의 난이도로 구성된다.

BPRS는 우선순위를 선정할 때 자의적 판단을 줄이기 위해 개발된 방법으로, (A+2B)xC의 공식을 사용하여 총점을 계산한다. 이때 A는 건강문제의 크기, B는 문제의 심각성, 긴급성, 중증도, 경제적손실과 타인에게 미치는 영향, C는 보건사업의 효과를 의미한다. 또한 PEARL 검사는 사업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어려운 경우 사용하는 질문형식의 방법으로, Propriety, Economic Feasibility, Acceptability, Resource, Legality에 대해 각각 1점 혹은 0점을 부과하여 5가지 항목을 곱하여 점수를 산정한다. 다섯 가지 항목 중 하나라도 불가판정을 받으면 사업을 시작할 수 없다.

이와 같이 PATCH, Bryant, BPRS, PEARL은 각각 지역사회간호사업의 우선순위를 선정하는 데 활용되는 대표적인 기법들이다. 이들 기법은 지역사회 내 파악된 다양한 보건문제들에 대해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우선순위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준다.


1.2. 우리나라 의료법에 의한 전문간호사 중 지역사회간호사업과 밀접한 3개 직종(보건, 가정, 산업)전문간호사의 역할, 활동현황, 향후방향

현대사회의 건강문제와 요구가 다양화 되면서 보건의료의 공급이 수요에 미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대한민국에서도 인적/물적 자원을 최대한 동원해 보건의료의 수요를 따라가려는 움직임이 있게 되었는데, 전문간호사 제도가 도입되게 되었다. 전문간호사는 임상에서의 간호기술 뿐이 아닌, 해당 전문 간호사의 분야에 관련된 지식이 뛰어난 간호사로 대상자에게 안전하고 질적으로 수준높은 간호를 제공 할 수 있다.

보건전문간호사는 보건복지부장관에 의해 전문간호사의 자격을 부여된 자로, 지역주민의 질병예방, 건강증진을 위한 사업, 정신보건, 노인보건, 모자보건 등의 업무를 맡는다. 보건전문간호사의 배출 현황은...


참고 자료

최선화 외 11명. 21C 지역사회보건간호학 (pp. 19-783). 신광출판사.
정재심, 설미이, 신용애, 임경춘, 임초선, 최정화. (2017). 한국 전문간호사제도의 현황과 활성화 전략.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14(1), 37-44.
장현숙. 전문간호사 종별 수요추계 및 관리체계 개발 Demand and Supply Planning for the Advanced Practice Nurses.
김현숙, 우리나라 학교보건교육의 역사적 변천 및 발전방안 History and Development Strategy of School Health Education in Korea. 학교보건학회지 Vol.25 No.2 (2012.12). pp.147-158
강경숙, 고영숙 (2016). 간호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전공만족도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의료커뮤니케이션, 11(2), 179-189.
강현숙 (2002). 임상 간호사의 전문적 정체성 재구성. 대한간호학회지, 32(4), 470-481.
권영미, 윤은자 (2007). 간호 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전공 만족, 사회성,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간호행정학회지, 13(3), 285-292.
김순희, 이선희 (2015). 간호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학업성취도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성인간호학회지, 27(1),63-72
김계현, 하혜숙 (2000). 대학생의 학과만족과 학교만족에 관한 연구. 상담학연구, 1(1), 7-20.
김정아, 이순희 (2003). 간호 이미지에 대한 논문분석. 한국간호교육학회지, 9(2), 199-211.
김소선, 김조자, 이원희, 오의금, 문성미, 김영진 (2004). 간호학생과 간호사의 전문직 사회화. 간호행정학회지, 10(3), 317-323.
김영란 (1995). 간호전문대학생의 재학 중 간호전문직관의 변화에 관한 연구. 기본간호학회, 2(2), 169-181.
노지영, 박수진, 배두이 (2012).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간호사 이미지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 동서간호학연구지, 18(2), 88-94.
문미영, 황선영 (2016). 간호대학생의 성격 강점이 전공만족도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8), 403-418.
문영숙, 한수정 (2011). 간호사의 자기효능감과 전문직관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7(1), 72-79.
문인오, 이경완 (2010). 간호대학생의 전공 만족도, 진로 탐색 효능감이 진로 탐색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6(1), 83-9.
박미영, 김순이 (2000). 전문대 간호학생들의. 한국간호교육학회지, 6(1), 23-35.
박미영, 김성수 (2000). 간호대학생의 첫 임상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6 (1), 23-35.
박현주 (2015). 일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비판적 사고 성향, 셀프리더십.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1(2), 227-236.
박현정, 오재우 (2014).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전공만족도 및 간호전문직관과의 관계. 디지털융복합연구, 12(12), 417-426.
서은희 (2009). 간호· 보건 계열 대학생이 지각하는 간호사 이미지. 간호행정학회지, 15(4), 610-616.
서은희 (2005), 간호 보건 계열 대학생이 지각하는 간호사 이미지, 간호행정학회, 15(4), 611
성지아, 염은이, 도영숙 (2014). 간호 학생이 지각한 간호사 이미지와 간호전문직관. 한국콘텐츠문화학회, 14(11), 798-809.
신혜빈, 강지민, 류경진, 이소영 (2020). 간호전문직관, 간호사 이미지, 전공 만족도가 진로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0), 1249-1265.
송효숙, 임소희 (2017).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전공 만족도와 취업 스트레스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4) ,21-36.
안태성, 송영아 (2015).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요인. 동서간호학연구지, 21(1), 10-17.
이현정 (2014), 간호학생이 지각한 첫 임상실습 전후의 간호사 이미지, 동서간호학연구지, 20(2), 129~130
임소연, 김희정. (2017). 간호역사문화 융합프로그램 수행 전․ 후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간호사 이미지 비교. 한국융합학회논문지, 8(9), 85-91.
오덕자, 최철자, 권보은, 박연환. (2005). 간호학생이 지각한 간호사 이미지가 전문직 사회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1), 64-72.
윤은자. (1996). 간호사의 전문간호이미지 유형에 관한 연구: Q-방법론적 접근. 간호행정학회지, 2(2), 17-42.
윤은자, 권영미, 안옥희 (2005). 간호전문직관 측정도구 개발. 대한간호학회지 35(6), 1091-1100.
이규은, 서임선. (2022). 간호대학생의 소명의식, 간호사이미지, 전공만족도 및 자기효능감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8(1), 37-47.
장영미 (2019), 간호학과 신입생의 간호사 이미지, 직업가치관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대한산업경영학회, 17(3), 32
정혜선, 유양숙. (2010). 일부 간호대학생의 간호사 이미지와 이미지 결정요인.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4(1), 29-38.
조하은, 안유하, 류수민, 임재영, 김혜경. (2019). 간호대학생이 느끼는 간호사 이미지와 전공만족도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화학회지, 36(3), 1008-1017.
조헌아, 김남희. (2014). 간호대학생이 인지하는 간호전문직관, 간호사 이미지, 간호전문직업성 핵심요소간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4), 548-557.
최현주. (2016). 간호대학생의 간호사 이미지와 전공만족도의 관계에서 간호전문직관의 매개효과. 보건의료산업학회지, 10(4), 225-237.
최숙영 (2018). 병원간호사의 직무착근도와 간호전문직관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24(3) 234-244
함연숙, 김화순. (2012). 학제에 따른 졸업학년 간호학생들의 간호전문직관 영향 요인 비교. 기본간호학회지, 19(3), 363-373.
허은주, 김은정, 박명남, 이종율 (2020). 간호사이미지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고찰. 인문사회 21, 11(5), 2257-2271.
황지, 루에프, 한성수, 차오에프, 김워, 리피(2009). 전문성: 한국과 중국 간호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 국제 간호 리뷰, 56 (3), 313-318.
Geiger, J. W. K., & Davit, J. S. (1988). Self-image and job satisfaction in varied settings. Nursing Management, 19(12), 50-54.
Hallin, K. & Danielson, E. (2008). Registered nurses’ perceptions of their work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1(1), 62-70.
Kotler P, Clarke RN. “Marketing for health care organizations.”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Inc.; 1986.
Schank, M. J., & Weis, D. (2001). Service and education share responsibility for nurse, value development. Journal of Nursing Staff Development, 17(5), 226-233.
리튼 스트레이치(2003). 빅토리아 시대 명사들. 서울 : 경희대학교 출판국.
박인숙(2020). 간호학개론. 경기 : 은학사.
편집부(1996). 간호학대사전. 서울 : 한국사전연구사.
플로렌스 나이팅게일(1997). 나이팅게일의 간호론. 서울 : 현문사.
https://yeoja09838.tistory.com/entry/%ED%94%8C%EB%A1%9C%EB%A0%8C%EC%8A%A4-%EB%82%98%EC%9D%B4%ED%8C%85%EA%B2%8C%EC%9D%BC-%EB%B0%B1%EC%9D%98%EC%9D%98-%EC%B2%9C%EC%82%AC
https://hi-in.facebook.com/activenursing/photos/d41d8cd9/1566910946721740/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